•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문집 간행의 경위와 편찬 체제에 관한 일고찰 - 鄭道傳 『三峯集』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ublication of Munjip in Joseon Dynasit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4.02
34P 미리보기
조선 문집 간행의 경위와 편찬 체제에 관한 일고찰 - 鄭道傳 『三峯集』의 사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62호 / 119 ~ 152페이지
    · 저자명 : 심경호

    초록

    한국에 남아 있는 最古의 문집은 崔致遠의 『桂苑筆耕集』이다. 이후 고려 때 李仁老가 林椿의 사후에 임춘의 문집 『西河先生集』을 엮었다. 그 직후 한국에서는 본격적인 문집의 체제를 갖춘 李奎報의 『東國李相國集』이 나왔다. 이후 고려와 조선시대의 문집은 한국고전번역원의 한국문집총간을 기준으로 볼 때 정 350집, 속 94집을 포함하여, 총 1,079종 1,078인(최치원 2종)에 이른다.
    고려와 조선의 문집은 사회적 토대라 볼 수 있는 물질적 기반과 독서층, 가문의 요구와 사회적 요구 등 여러 요인의 연관관계 속에서 편집되고 판각되고 유통되었다. 문집의 체제와 원 자료의 수집 방식에 관한 고찰은 물론, 行卷・轉寫本・간행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그 자체가 한문학 연구의 대상이 된다.
    고려와 조선시대의 문집은 自編과 初刊 이후에 중간되는 일이 적지 않았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시문을 망라하고 관련 문헌을 초록하여 완비하려는 경향이 더욱 짙어졌다. 또한 국가에서 恩典을 내려 문집을 완비하여 간행하도록 명하기도 하였다. 한편 문집의 편집은 여러 가지 체제를 취하였다. 주류를 이룬 것은 詩와 文을 분리하고, 시를 창작연대순, 문을 문체별로 편찬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체제를 취하지 않은 예도 상당수 있는데, 그러한 예외들은 각각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다. 또한 한국의 문집에는 年譜를 붙이고 교류 인맥의 관련 시문과 후대인의 평가문을 정리한 附錄를 붙이는 일이 많다.
    본고는 鄭道傳의 『三峯集』을 예로 들어, 한국문집의 성립과 重刊 경위, 시문 등 저술 수록의 체제 , 연보 등 부록의 작성 방식을 살펴보았다.
    정도전은 생전에 스스로의 시문을 편찬하고 또 문집을 간행하였는데, 사후에 아들이 문집을 再刊하고 이후 후손들이 그의 복권을 시도하여 문집을 重刊하였으며, 정조 때 이르러 복권의 가능성이 처음으로 가시화되는 때에 奎章閣은 문집을 再編하였고 아마도 경상도 監營의 主宰로 대구에서 그것을 간행하였다. 『삼봉집』의 자편, 재간, 중간, 개간 경위는 근대 이전의 한국에서 문집 간행이 지니는 의미를 극명하게 예시한다.
    근대 이전 한국의 문집은 完整性을 지향하고 저술의 망라를 이상적으로 생각하였지만, 편찬 의도에 따라 시문을 取捨하려는 경향도 지니고 있어서, 간행된 문집은 결락의 부분이 적지 않았다. 그것은 ⓐ 衆體具備와 顯示意圖의 모순 ⓑ 樣式分類에 따른 情報集成의 限界 ⓒ 變格漢文 문장의 처리 등과 관련된 사항이 대부분이다. 『삼봉집』의 경우 ⒜ 道統 속에서의 位相 ⒝ 衆體의 구비 ⒞ 經國文章 ⒟ 華國文章에 초점을 맞추어 수록 시문을 선별한 흔적을 남기고 있다.
    『삼봉집』은 재간과 중간, 개간에 이르기까지 편찬자 혹은 간행자들은 정도전의 저술을 具備하려고 하였지만, 원래의 저술이 수록되지 못한 예도 상당히 있고, 다른 사람의 글로 알려져서 문집에 수록되지 못한 글마저 있다. 『삼봉집』의 예에서 드러나듯, 한국의 문집은 完整性과 具備를 지향하였지만 현재의 관점에서 ‘求備’를 바랄 수 없는 결함을 지니기도 하였다. 한국 문집에 대한 연구는 이 점에 유념하여 輯佚을 시도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oldest munjip(a collection of one's works) of traditional Korea still extant refers to Choe Chiwon(崔致遠)‘s Gyewon Pilgyeong Jip(桂苑筆耕集). Whereafter, in Goryeo period, Lee Inro(李仁老) edited Lim Chun(林椿)'s Seoha Seonsaeng Jip(西河先生集) after his death. Right after that, Lee Gyubo(李奎報)'s Dongguk Isangguk Jip(東國李相國集) which is recognized to have regular form of munjip, was published. Munjips in Goryeo and Joseon period were edited, published and distributed, while having connections with the economic conditions, readers, needs of family and social demands etc. It is needed to treat not only munjip itself including its constitution, the way of gathering sources etc, bu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Hanggwon(行卷), manuscript(轉寫本) and published books, as the resourses of Hanmun study.
    Munjips in Goryeo and Joseon period was often republished. Some of them were published with the support of the royal government. In Joseon period, the dominant tendency was to collect one's whole works of poetry and prose, including related documents. The most common constitution of munjip was to separate poetry from prose and to line up by chronological order(in case of poetry) or by style of writing(in case of prose). But there were also not a few authors who didn't follow this constitution for certain reasons. And in many cases supplement was added which includes a chronological list of author's life, related works of his fellows, and criticism of descendants etc.
    This paper is to analyze publicatiion and republication of munjip, the constitution of munjip, and the manner of adding supplement, with the case of Jeong Dojeon(鄭道傳)'s Sambong Jip(三峰集).
    Jeong Dojeon complied his works and published his own munjip during his lifetime. After his death, his munjip was republished by his son, and again by the government under the reign of King Jeongjo after the restoration of his honor. This process shows eminently the meaning of publishing munjip in traditional Korea.
    Munjips in traditional Korea aimed for constitutional perfection and complete collection of author's whole works. Meanwhile, in the process of editing munjip not a few works were omitted, as there also was a tendency to select certain works with a certain editorial intention. It was in many cases due to (a)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intention of collection of whole works and of manifestation of editorial intention (b) the limit of information caused by classification of style (c) the question of Korean style Hanmun. In case of Sambong Jip, several evidences disclose the editorial intention of (a) making Jeong Dojeon's position firmly in Tao succession(道統) (b) collecting author's whole works (c) ruling a country with literature (d) ornating a country with literature. There are also some omitted works in spite of editer's all endeavor, including works that have been known to be other's.
    Although munjips in traditional Korea aimed for constitutional perfection and complete collection, they could not satisfy all expectations under restricted circumstances. It needs to collect related literature and to establish open text with chronological or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