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정치세력화와 여성대통령 만들기 - 박근혜정부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학적 비평 - (The Political Empowerment of Women and Making of Female President in Korea: Park Geun-hye regime Critically Viewed by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Feminist Ethic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3.08
25P 미리보기
여성정치세력화와 여성대통령 만들기 - 박근혜정부에 대한 기독교 여성윤리학적 비평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사회윤리 / 26호 / 55 ~ 79페이지
    · 저자명 : 이숙진

    초록

    18대 대선 이전의 박근혜는 ‘스타 정치인’, ‘선거의 여왕’, ‘독보적인 대통령 후보’라는 타이틀을 교체해 온 노련한 정치인이다. 여성정치인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정치적 기반을 넓게 구축한 그는, 여성정치를 기획하는 여성엘리트들에게는, 여성정치세력화의 디딤돌이 될지 걸림돌이 될지 늘 의문거리였다. 설령 여성에게 디딤돌이 된다 할지라도 그와 연대할 것인지 말 것인지에 대해서도 여성엘리트 진영 내에서는 의견이 분분했다. 그의 과거사 이력 때문이다. 박근혜에게 ‘박정희의 딸’ 혹은 ‘유신의 조력자’라는 표상은 그의 정치 입문(1998)을 도운 ‘날개’였지만, 대선(2012)에 도전하는 그에게는 절대 풀릴 것 같지 않은 ‘족쇄’였다. 그런데 어느 순간 그 족쇄에서 빠져나와 그는 ‘여성’대통령이라는 날개를 달았다. 누가 그에게 여성대표성의 날개를 달아주었는가?라는 물음은 여성정치세력화를 추진하던 여성들이 지난 10년 동안 정치인 박근혜에 대한 지지여부를 두고 벌인 논쟁을 규명하는 작업과 맞닿아있다. 이러한 물음에서 출발한 이 글은 18대 박근혜정부와 진보적 여성진영이 창조적인 갈등을 통해 성평등의 사회를 추구하는데 있어, 한국기독교 여성윤리학이 기여할 수 있는 점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영어초록

    Park Geun-hye, before the 18th president election of Korea, was a veteran politician who got various names such as “star politician,” “a queen of election,” “the only one candidate for President.” Female elites seeking for feminist politics were not assured that she could be a stepping stone or an obstacle for the political empowerment of women in Korea. Park Geun-hye has two images, “a daughter of Park Jung-hee, the late former President” and “a supporter of Yushin regime as dictatorship.” While the first helped her entering politics in the general election of 1998, the second seemed to become a leg iron for her presidential candidate in 2012. Surprisingly she, however, succeeded in becoming a president. Who supported Park, naming her as a representative of women? This question is related to the controversy among women elites over support for Park as an female politician in the past ten years. I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feminist ethics, this paper tried to contribute to the task of making gender-equality society through the creative conflicts between Park regime and progressive feminist cam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