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약용(丁若鏞) 『악서고존(樂書孤存)』의 ‘추려지학(鄒呂之學) 비판’ 고찰 (On Jeong Yak-yong’s Critique in Akseo gojon of Zou Yan’s and Lü Buwei’s Relic in Music Theor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8.12
34P 미리보기
정약용(丁若鏞) 『악서고존(樂書孤存)』의 ‘추려지학(鄒呂之學) 비판’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양음악(구 민족음악학) / 44권 / 9 ~ 42페이지
    · 저자명 : 김세중

    초록

    『악서고존(樂書孤存)』의 맨 앞 ‘제1소서(小序)’에서 정약용은 이 책이 추려지학(鄒呂之學) 비판을 주된 목적 중 하나로 하고 있음을 명언했다. 그러나 추려지학 비판이라는 측면에서 『악서고존(樂書孤存)』을 조명한 연구는 전무하다.
    『악서고존(樂書孤存)』의 ‘논’부는 정약용의 추려지학 비판의 전제, ‘변’부와 ‘정’부 일부는 비판의 실제에 각각 해당한다. 전제들은 음악이론적 전제와 형이상학적 전제로 나누인다. 정약용의 전제들과 추려지학 비판의 실제를 소주제별로 고찰한 결과, (1) 음악이론 측면에서는 정약용 자신이 세운 전제들이 대부분 오류이므로 그에 입각한 비판도 자연히 오류로 귀결되었고, (2) 형이상학적 측면에서는 종래의 설에 비해 정약용의 이론이 나름대로 더 큰 정합성(coherence)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는 검증⋅반증의 영역을 벗어난다는 한계가 있다. 이상을 포함해 『악서고존(樂書孤存)』 전반부의 기존 악론 비판은 과학적, 합리적인 측면보다 형이상학적 정합성을 추구하는 성격이 더 강함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In the first half of Akseo gojon 『樂書孤存』 (1811/16), Jeong Yak-yong 丁若鏞 (1762-1836, aka Dasan 茶山) severely criticizes conventional music theories, especially those influenced by the Warring States’ philosophers Zou Yan’s 鄒衍 and Lü Buwei’s 呂不韋 metaphysics.
    Jeong’s critique is carried out mainly in Part Two and parts of Part Five, on the premises posited in Part One of Gojon. As most of the premises themselves are false in music theoretical terms, most of the critique also proves wrong. In metaphysical terms, however, Jeong’s theory proves more coherent, although lying beyond empirical veri-/fals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음악(구 민족음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