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부기관 신뢰도와 정책 관여도에 따른 정부광고의 창의성 요소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reativity Factors by Government Agency Credibility and Policy Involvement)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08.08
18P 미리보기
정부기관 신뢰도와 정책 관여도에 따른 정부광고의 창의성 요소 인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21권 / 4호 / 175 ~ 192페이지
    · 저자명 : 정창준

    초록

    정부정책광고는 정부의 각종 정책과 정부정책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의 발전과 유지, 국민의 참여와 신뢰를 획득하며, 지지를 확보하는 데에 훌륭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활용된다.
    특히 정부정책광고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광고창의성 향상이 요구되는 시점에 있다. 강력한 광고창의성은 높은 주목효과와 기억상의 효과로 하여금 강한 인상을 주어 광고수용자의 마음을 움직여, 광고주가 의도한대로 행동으로 옮길 수 있다.
    정부정책광고는 설득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일반 국민들을 향한 원래의 목표를 달성하게끔 구성되어야 하며, 광고의 효율성을 위한 창의성의 문제는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정책광고에서 창의성요소의 실제적 내용인 정보중심과 제작방식의 표현 중심 중 어느 방향이 효과적일 것인지를 광고수용자들의 인식을 통해 방향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방향성에 결정적으로 작용하는 독립변인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들이 두 가지 창의성 요소의 방향과 어떤 관계를 가지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서는 먼저, 주요 연구문제에 대한 통찰을 얻기 위해, 전국의 일반인 남녀 20~60대의 25명에 대해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실시 결과, 광고창의성 요소 인식의 방향에 결정적인 변인이 정부정책기관에 대한 신뢰도와 정부정책에 대한 관여도임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사전조사로서 정부기관 신뢰도, 정부정책 관여도에 대한 개념의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3차에 걸친 사전조사를 하였으며, 요인분석과 타당도 확보, 신뢰도 확보를 거친 설문항목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본 조사에서 이 설문항목을 사용하여 주요 독립변인인 정부정책기관 신뢰도와 정부정책 관여도의 차이가 광고창의성 요소의 방향성 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 보고자 전국 남녀 20~60대 61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기본 연구문제에 기초한 6 가지의 가설을 설정하고, 광고창의성 요소의 두 가지 방향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 및 연구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정부기관 신뢰도는 주요변인으로서, 실제적 내용의 정보 인식은 신뢰도가 낮을 경우에 높았으며, 제작방식의 표현 중심 인식은 신뢰도가 높을 경우에 높았다.
    둘째, 정부정책에 대한 관여도도 주요 변인으로서, 실제적 내용의 정보중심 인식과 제작방식의 표현중심 인식 모두가 관여도가 높을 때에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부정책기관 신뢰도와 정부정책 관여도의 상호작용효과에서는 관여도가 조절변수로 나타났으며, 신뢰도도 중요하지만, 관여도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결과 나타난 본 연구의 의미를 추가적으로 해석하고 논의했다.

    영어초록

    The Government Policy Advertising Campaign is used to improve and maintain a positive image regarding all kinds of public policy, obtain citizens' participation and trust, and gain their support as a good communication tool.
    Especially, the Public Policy Advertising Campaign is requiring the improvement of advertising creativity as part of an effort to administrate them more effectively. Strong advertising creativity takes great attention and recollection.. Consumers strongly impressed by advertisements are persuaded and the probability that they make a move increases.
    The Public Policy Advertising Campaign should successfully persuade the general public, and the matter of creativity can be an important task.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what types of advertising appeal to a consumer’s recognition- centered responses and what types appeal to their expression-centered responses in the Public Policy Advertising Campaign. It examines the independent variables which work decisively in those directions, how they are connected with two types of creativity factors, and what influences they have on consumers.
    To have an insight into the main research problems, I interviewed in-depth 25 persons consisting of the general public, which included males and females between their twenties and sixties across the country. As a result, independent variables which worked decisively on the direction of advertising creativity were government public policycredibiltiy and the involvement ingovernment public policy.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619 persons composed of males and females in their twenties through sixties across the country on how they recognized the direction of advertising creativity on the basis of demographical variables, age and sex, and what influence they have on them.
    And I conducted a main survey throughout the preparatory research, an analysis of factors, a feasibility study, and a credibility procurement three times to develop a measurement device that tracked a general idea regarding their belief in government public policy agencies and their involvement in the government public policy.
    I could derive the following conclusions by forming 10 hypotheses on the basis of the basic research subjects and surveying, analyzing, and researching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on two types of the direction of advertising creativity.
    Firstly, credibility on government agencies was a main variable and recognition in the information of practical contents was high when the credibility was low, andthe expression-centered responses to production were high when the credibility was high.
    Secondly, involvement in government's public policy was also a main variable. Both of the information-centered recognition of practical contents and the expression-centered recognition of production were high when the involvement was high.
    Thirdly, the involvement was the control variable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itizens' belief in government public policy agencies and their involvement in government public policy. Credibility was important, but the level of involvement appeared even more decisive.
    The meaning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urvey is interpreted and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