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정희 정부기 문화재정책과 민속신앙 -국사당과 밤섬부군당을 중심으로- (Policy of cultural assets and folk beliefs in the Period of Park Jung-hee -Focused on the Guksadang and Bamseom Bugundang-)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2.07
39P 미리보기
박정희 정부기 문화재정책과 민속신앙 -국사당과 밤섬부군당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39호 / 175 ~ 213페이지
    · 저자명 : 정유진

    초록

    박정희 정부는 역사와 문화를 통치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박정희 정부의 문화재 정책 역시 근대화와 민족주의에 관련된 것들을 선택하고 집중적으로 개발했으며, 그렇지 않은 문화재들은 그 중요성에 상관없이 소외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박정희 정부기 문화재 정책의 문제점으로 인해 현실의 문화재들이 겪게 되는 문제를 민속신앙, 특히 무속신앙 관련 문화재를 통해 구체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민속신앙은 박정희 정부의 문화재 정책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두드러지게 보여주는 소재이다. 1962년 박정희 정부는 「문화재보호법」을 기초로 하여 새로운 문화재 정책을 시행했다. 이 때 민속신앙은 한국 민중들의 생활과 의식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받아야 할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당시 사회에서는 민속신앙을 미신, 원시적인 것, 가난하고 배우지 못한, 즉 근대화되지 못한 사람들이 믿는 것으로 규정하는 관념이 만연하였다. 또한 민속신앙과 관련된 문화유산들은 새마을 운동의 시행으로 인해 조직적으로 훼손되고, 파괴되었다. 즉 민속신앙은 문화재로서 인정은 받지만, 사회적으로 배척을 받는 모순적인 상황에 처해졌던 것이다.
    ‘인왕산 國師堂’과 ‘밤섬 府君堂’은 민속신앙이 겪었던 문제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인왕산 국사당은 1973년 박정희 정부에 의해 ‘중요민속자료 제28호’로 선정된 굿당이다. 국사당은 조선 시대부터 왕실의 의뢰를 받아 무당들이 나라굿을 하는 장소로 의의가 있었다. 하지만 실제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건물의 건축적 가치와 무신도의 예술성만이 주목을 받았고, 무속 문화의 가치는 소외된 채 외형적인 부분만을 보호받게 되었다.
    반면 밤섬 부군당은 밤섬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지켜온 마을 제당이다. 1968년 여의도 개발공사의 일환으로 밤섬이 폭파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밤섬 사람들은 전통적인 터전을 잃고 육지로 이주할 수밖에 없었다. 이때 밤섬 사람들은 밤섬이 잘 보이는 와우산 자락에 부군당을 새로이 만들었다. 그리고 이들은 새로운 터전에서 경제적으로 힘든 삶을 살면서도 밤섬 부군당과 그와 관련한 마을 문화를 지켜냈다. 결국 ‘밤섬 부군당굿’은 2005년 서울시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며 민중들의 문화로서 인정받았다.
    이처럼 중요민속자료로 선정되었지만, 문화로서의 가치는 잃었던 국사당, 그리고 1970년대 사회적인 탄압 속에서도 민중들의 손에 의해 살아남은 밤섬 부군당을 비교해 보면, 박정희 정부의 문화재정책이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박정희 정부의 문화재 정책은 민속신앙의 문화적인 가치를 민중들의 삶에 대한 무관심과 무속신앙에 대한 편견으로 배제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정책의 결과 포섭된 문화재는 실제 문화적 가치를 잃은 채 形骸化되었다. 반면 정책으로부터 배제된 문화들은 민중들에 손에 의해 문화적 가치를 유지하며 살아남았다.

    영어초록

    Park Jung-hee administration actively exploited history and culture in its rule. Its policy on cultural assets focused on the development related to modernization and nationalism, while the cultural assets not related to them were alienated, regardless of their importance. This study was aimed to concretely investigate the problems of our cultural assets confronted, folk beliefs, specifically the cultural assets related to shamanism, due to the problems with the administration’s policy on cultural assets.
    Folk beliefs were a subject matter that could clearly indicate the problems with Park Jung-hee administration’s cultural assets related policy. In 1962, the administration enforced a new policy on cultural assets based on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At the time, folk beliefs were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that should be protected after the recognition of its value that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and consciousness of the Korean citizens. However, there was a widespread belief at the time that shamanism had to be regarded as superstition, something primitive, or something that poor, not-well-learned and uncivilized people believed. Besides, the enforcement of Saemaeul Movement boosted the organizational destruction and suppression of folk beliefs. Namely, even if it was recognized as one of the cultural assets, it had to confront the contradictory situations where it was excluded socially.
    Inwangsan Guksadang and Bamseom Bugundang were the examples that clearly showed the problems faced by folk beliefs. Inwangsan Guksadang was a Gutdang designated as ‘Folk Material No. 28’ by Park Jung-hee administration in 1973.
    Guksadang was meaningful in that it had been used as a place where shamans had conducted exorcisms for the country after being commissioned by the royal court during the Joseon period. However, when looking at the actual processes of its designation as folk material, the architectural value of its building and artistic significance of paintings of shamanic gods (Musin-do) were the only aspects that were spotlighted, while its culture was excluded, thus resulting in protecting its external parts only.
    On the other hand, Bamseom Bugundang was a village Jedang that people on Bamseom traditionally commemorated. As part of the construction of developing Yeoui-do, there was a construction that bombed Bamseom in 1968. People on Bamseom had no choice but to lose their traditional living base and move to the land.
    In the meantime, people on Bamseom made Bugundang anew at the skirt of Wau-san,from which they could see the islet at the time. While living difficult lives economically in their new living bases, they were successful in preserving the village culture related to Bugundang on Bamseom. Finally, Bamseom Bugundangje (shamanistic rite) was recognized as a folk culture by being designated as one of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of Seoul City in 2005.
    When comparing Guksadang selected as folk material but losing its cultural value to Bamseom Bugundang surviving with the aid of the people on its islet despite the social suppression in the 1970s, the study could concretely confirm the problems with the policy of Park Jung-hee administration on cultural assets. The administration’s policy on cultural assets excluded the cultural values of folk beliefs in the name of people’s indifference to their lives and prejudice against shamanism. The cultural assets embraced as a result of this policy became poorer, while losing their cultural values.
    On the other hand, the cultures excluded in policy have survived, while maintaining their cultural values with the aid of the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