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환선정(喚仙亭)의 장소성과 공간적 변용 양상 (The Locality and Spatial Transformation of Hwanseonjeong (喚仙亭) during the Colonial Period)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25.04
31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환선정(喚仙亭)의 장소성과  공간적 변용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도문화연구 / 54호 / 209 ~ 239페이지
    · 저자명 : 강성호

    초록

    본 논문의 일차적 목표는 전통 공간인 누정(樓亭)이 일제강점기에 어떻게 변용되었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누정이 일제강점기의 사회적 변화와 긴밀하게 조응했다는 점에 대해 충분히 주목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누정이 단순한 전통적유산이 아니라 전통성과 근대성이 교차하며 혼종성을 띤 장소였다는 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장소성에 주목함으로써 일제강점기 지역주민들이 누정 공간을 어떻게 전유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 대상은 전라남도 순천에 위치한 환선정(喚仙亭)이다. 환선정은 1544년에 순천부사 심통원(沈通源)이 '읍성 동문 밖'에 건립한 관설 누정으로서 순천을 대표하는 누정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일제강점기에 환선정은 순천의 대표적인 명소로 알려졌을 뿐 아니라, 1910년대에 '천황요배 기념공원'이자 '조선인 불교포교소'로 사용되었던 이력이 있다. 이는 환선정의 장소성이 단순히 경관적 가치에 국한되지 않고 정치적·종교적 기능까지도 포괄하는 다층적 의미를 지녔음을 보여준다.
    1920년대에 들어서면서 환선정은 지역의 여러 사회단체들이 집회와 모임을 위해 활용하는 공간으로 변화하였다. 특히 순천 농민운동의 주요 활동이 환선정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 시기 환선정은 순천뿐만 아니라 '전라남도 동부권' 사회운동의 거점 공간으로 기능하였다. 아울러 환선정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현안이 논의되는 공론장으로도 활용되었다. 이는 환선정이 단순한 물리적 장소를 넘어 사회운동의 인적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작동하는 기제였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1930년대로 접어들면서 환선정은 중요한 공간적 변화를 겪게 된다. 이는 순천이 본격적인 도시기반시설을 구축하는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비롯된 것이다. 환선정 일대는 국유지로 간주되어 택지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1935년에는 지역 유지 18명이 비용을 모아 환선정 사정을 죽도봉으로 이전하였다. 해방 이후 환선정은승평교회 예배당으로 활용되었다가 1962년 8·28 수해를 계기로 유실되었다.

    영어초록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raditional space of the nujeong (樓亭) was transform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Previous scholarship has paid insufficient attention to the ways in which nujeong spaces responded to and interacted with the sociopolitical changes of colonial rule. This study argues that the nujeong should not be viewed merely as a vestige of tradition, but rather as a hybridized space where tradition and modernity intersected. By focusing on the spatiality of the nujeong, this paper explores how local residents appropriated and redefined such spaces under colonial conditions.
    The case study analyzed is Hwanseonjeong (喚仙亭), located in Suncheon, South Jeolla Province. Constructed in 1544 by the local magistrate Shim Tong-won(沈通源), Hwanseonjeong was built outside the East Gate of the Suncheon fortress, along the banks of the Dongcheon River. Long regarded as one of Suncheon’s most prominent government sponsored nujeong, it gained recogni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s a major scenic site. In the 1910s, it also served as a “memorial park for imperial obeisance” and a site for propagating Japanese Buddhism to Koreans—revealing its multi-layered significance that encompassed aesthetic, political, and religious functions.
    By the 1920s, Hwanseonjeong had transformed into a gathering space for various local social organizations. Notably, it became a key location for the Suncheon peasant movement and served as a forum for public debate and discourse, emerging as a center for social activism in the eastern Jeonnam region.
    However, the 1930s brought significant spatial changes due to urban development projects initiated by the colonial authorities. As the land surrounding Hwanseonjeong was designated as state-owned, it was repurposed for residential use. In response, 18 local notables pooled their resources in 1935 to relocate the sajeong (射亭) to Mt. Jukdobong. After Korea’s liberation, Hwanseonjeong was temporarily used as a worship hall by the Seungpyeong Church, but was ultimately destroyed by flooding from the August 28, 1962 typho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