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자료 <해운정유람가>를 통해 본 내방가사의 전통과 근대 (The Reading Method of Newly Reported “Haeunjeong Yuramga (Song of Haeunjeong)” -With a Focus on the Course of Moern Naebanggas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24.02
24P 미리보기
신자료 &lt;해운정유람가&gt;를 통해 본 내방가사의 전통과 근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60권 / 267 ~ 290페이지
    · 저자명 : 박애경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1930년대 창작된 신출 내방가사 <해운정유람가>를 소개하고, 이 작품을 근대 내방가사의 진로와 관련하여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해운정유람가>는 신행연을 계기로 친정에 모인 여성들이 문중 여행의 체험을 그린 장편 가사이다. 이 작품은 놀이문화에 대한 여성의 관심이 적극적으로 드러난 작품으로, 전통시대 여성의 능동성과 문화적 소양을 담아낸 작품으로 꼽을 수 있다. 동시에 이 작품은 신구가 교차하는 시대의 풍속도로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친정 방문의 계기가 된 혼례 장면과 가족 모임 묘사에서는 반가의 전통적 가족관계와 가문의식이 드러나고 있다. 동시에 이 작품에는 철도, 사진기, 유성기 등 근대 문물이 바꾼 풍경이 유람 체험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처럼 전통과 근대가 교차하는 시대의 징후를 포착한 이 작품은 1930년대 내방가사의 동시대성을 재구하는 데 유용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끊임없이 발굴되고 보고되는 내방가사 신자료는 1930년대가 ‘규방가사 시대의 종언’이 아니라 여성의 소통과 기록의 방식으로 여전히 채택되었던 시기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이 시기 내방가사는 지역의 생활문화이자 가문 내 나아가 가문 간을 연결하는 매개의 장으로 여전히 유효했음을 웅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newly reported Naebanggasa “Haeunjeong Yuramga” created in the 1930s and reveal the meaning of this work in relation to the course of modern Naebanggasa. “Haeunjeong Yuramga” is a full-length lyric depicting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gathered at their parent’s house on the occasion of the New Year’s Festival and their family’s travels.
    This work actively reveals women’s interest in sightseeing and entertainment and can be considered a work that captures the activity and cultural knowledge of women in the traditional era. The traditional family relationships and family consciousness of the family are revealed in the wedding scenes and descriptions of family gatherings that serve as an opportunity to visit the parents’ home. At the same time, in this work, landscapes changed by modern civilization such as railroads, cameras, and phonographs are interspersed with sightseeing experiences.
    This work, which captures the signs of an era where tradition and modernity intersect, can be said to be useful data for reconstructing the contemporaneity of Naebanggasa in the 1930s. New data on Naebanggasa that has been continuously discovered and reported to date shows that the 1930s were not the ‘end of the Gyubanggasa era’ but a time when it was still adopted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and recording for women.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Naebanggasa during this period was still effective as a local living culture and a medium to connect within and between famil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