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창원(正倉院) 소장(所藏) 신라금(新羅琴)의 演奏法에 관한 考察 (Jeong Chang-won, director of the department A Study on the Shakyamuni’s Birthda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8 최종저작일 2019.12
27P 미리보기
정창원(正倉院) 소장(所藏) 신라금(新羅琴)의 演奏法에 관한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 / 48권 / 48호 / 3 ~ 29페이지
    · 저자명 : 곽수은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창원 신라금에 관한 일본 출판 자료들과 『악학궤범』에 설명된 가야금 도면과 설명을 참고하고 2017년 경주시와 신라문화유산연구원에서 복원한 ‘신라금잔궐’의 實物과 2008년 국립국악원에서 복원한 『악학궤범』 가야금의 實物을 연주․실험하여 정창원 신라금의 연주법을 유추해보았다. 본 연구에서 정창원 신라금과 『악학궤범』의 가야금은 구조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 두 악기와 현행 정악가야금은 네 가지의 점에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첫째, 현행 정악가야금 안족(약 7cm)의 /2 정도 되는 낮은 안족의 높이, 둘째, 저음부의 안족과 현침이 높고(3.4cm) 고음부에서 점차로 낮아지는 점(2.7cm), 셋째, 악기의 하단부에 발이 없어 평평한 바닥에서 균형을 맞추기 어려운 점, 넷째, 악기의 몸통(연주자 몸 쪽)에 끈이 부착되어 있는 점이다.
    ‘안족의 높이’가 현저히 낮으면 줄과 복판과의 공간이 좁아 현행 정악가야금의 연주법처럼 손가락을 줄에 대고 밀었을 때 안족이 흔들려서 發絃하는 것이 어렵다. 이 부분은 국립국악원에서 복원한 『악학궤범』 가야금의 실물로 실험해 볼 수 있었다. 저음부의 안족과 현침이 고음부의 것 보다 높다는 것은 양이두의 오른 편만 바닥에 닿도록 악기를 비스듬히 무릎 앞으로 세웠을 때 윗줄에 가린 저음부의 현을 잘 보기 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주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저음부의 안족을 높인 것으로 보인다. 악기를 비스듬히 놓는 이러한 연주 자세는 저음부의 안족이 높은 이유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있다.
    ‘발’이 없는 것은 악기의 양이두가 바닥에 평평히 닿도록 놓지 않았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실제로 신라금을 현행 정악가야금처럼 바닥에 놓고 무릎에 얹었을 때 양이두의 균형이 잘 맞지 않고 흔들린다. 이 발은 구한말 이후 잘 연주되지 않던 정악가야금을 1970년대에 복원하면서 악기가 흔들리지 않도록 부착한 것으로 해석된다.
    9세기의 신라금에 ‘끈’이 부착되어 있고 그 1,000년 뒤 19세기 말 『의궤』의 가야금 도면에도 ‘끈’이 있다. 그러나 신라금의 끈과 의궤 도면의 끈은 반대편에 위치한다. 신라금처럼 몸 쪽에 붙어 있으면 목이나 어깨에 걸고 연주할 수 있지만 의궤의 도면처럼 바깥쪽에 붙어 있으면 연주할 때 사용할 수 는 없다. 두 악기 모두 끈이 있지만 그 방향이 정 반대인 것으로 보아 이 끈은 연주용으로 사용한 것은 아니라고 보여 진다. 『악학궤범』의 도면에서 ‘끈’의 유무를 분명하게 식별하기 어려우나 “淡峀”라고 쓴 부분을 ‘끈’이라고 본다면 의궤의 끈 위치와 같기 때문에 연주용이 될 수 없고 따라서 ‘끈’이 악기 연주에 본질 적으로 필요한 부분은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악학궤범』 가야금에 ‘걸어 올리는 (勾)’의 연주법은 현재 산조가야금의 연주법이다. 정악가야금보다 크기가 작고 絃의 간격이 좁은 산조가야금에서 빠른 연주가 가능하도록 정악가야금의‘밀고 당기는 연주법’으로부터 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정악가야금은 양이두를 바닥에 평평히 놓고 ‘밀고 당기는 주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악학궤범』의 오른손 주법 ‘(勾)’의 설명을 통해 1000년~500년 전 신라금과 가야금은 현행 정악가야금과 다른 방법으로 연주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낮은 안족과 연관된 연주법이라 할 수 있다. 현행 정악가야금의 ‘밀고 당기는 주법’오른손 주법이 원래의 ‘드는 주법 (勾)’에서 달라진 것이라면 구한말 이후 잘 쓰이지 않던 정악가야금이 새롭게 복원되면서 생긴 변화로 보여 진다.
    현행 정악가야금은 『악학궤범』의 가야금, 정창원의 신라금과 구조적으로 같으나 안족’, ‘현침’, ‘발’, ‘끈’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으며 그로 인해 연주법도 다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정창원 신라금의 연주 자세는 양이두의 오른편을 바닥에 고이고 비스듬한 상태로 무릎에 얹은 뒤 현행 산조가야금의 연주법과 같이 걸어 올리는 주법으로 연주했을 것으로 보여 진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Japanese publication materials on Jeong Chang-won's Silla gold and the Gayageum drawings and descriptions described in 『Gakhak Gwebum』, and performed the "Shinrakum Residences" restored by Gyeongju City and the Shilla Cultural Heritage Institute in 2017 and the "Gayum" restored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in 2008 to find out how to play the Chung Chang-won Silla Music. In this study, the government confirmed that the two instruments and the current Jeongak Gayageum differ from each other in four ways.
    First, the height of the low-altitude area of /2 of the current Jeongak Gayageum (about 7cm)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instrument (2.7cm), the lower part of the instrument is gradually lowered (2.7cm), the lower part of the instrument has no foot, the fourth part is attached to the body of the instrument (the performer).
    If the height of the "eyes" is significantly lower, the space between the row and the abdomen is narrow, and it is difficult to get out of the way when you push your fingers against the strings like the current Jeongak Gayageum method. This part was tested with the original form of the Gaegeum Gaegeum, which was restored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lower part's inner legs and the chord are higher than the higher part's, so that only the right side of the yangdu touches the floor, the lower part's strings concealed in the upper row are well visible when the instrument is placed in front of the knee. It is believed to have raised the complacency of the low-pitched body to secure the performer's. This posture of playing the instrument at an angle can explain why the low-pitched inner ear is so high.
    The absence of a "foot"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instrument’s lamb did not have a flat touch on the floor. In fact, when Silla gold is placed on the floor like the current Jeongak Gayageum and placed on the knees, the yangdu is not well balanced and is shaken. The foot is believed to have been attached to Jeongak Gayageum, which had not been played well since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970s.
    There is a string attached to Silla gold in the 9th century and there is a string on the Gayageum drawing of the Uigweigum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However, the cord of Silla gold and the cord on the drawing of Uigwe are located on the other side. They can play on the neck or shoulder if they are attached to the body like Silla gold, but they cannot be used when playing outside, such as the drawing of Uigwe. Both instruments have strings, but the exact opposite direction suggests that they were not used for performance. It is difficult to clearly identify the existence of a string on the drawing of the musical instrument, but if you think of a string as a string, it cannot be used for playing the instrument because it is the same as the string location of the uigwe, and thus it is assumed that the string is not essential to play the instrument.
    The method of "walking up" to Gayageum, a musical instrument, is currently used to play Sanjo Yageum. It is known to have changed from Jeongakgaya’s "push-pulling method" to allow faster performance at Sanjo-geum, which is smaller in size than Jeongak Gayageum and has a narrow gap between the legs. Currently, Jeongak Gayageum is based on "pushing and pulling liquor" with its lamb beans flat on the floor. However, through the explanation of the right-hand liquor "악" by the "Chaengak Gwebum," we discovered that Silla Geum and Gayageum may have played in a different way from the current Jeongak Gayageum 1,000 to 500 years ago. This can be said to be a technique associated with low-eyes. If the current "push-pull" state law of Jeongak-gaya was changed from the original state law, the change is seen as a result of the restoration of Jeongak-gayum, which has not been used well since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current Jeongak Gayageum is the same structurally as Gayageum of the Gaeak Gwebum and Silla Gum of Jeong Chang-won, but the difference was made in terms of Anjab, Hyeonchim, foot, and string, and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song could be different. Jeong Chang-won's playing posture is believed to have been performed by putting the right side of the lamb on the floor and putting it on the knee at an angle and then walking it up like the current method of playing Sanjo Yag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악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