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茶山 丁若鏞의 관용(tolerance) 관념 : 서(恕) 개념을 중심으로 (The thoughts of Dasan Jung Yak Young's tolerance: Focusing on the concept of 'Seo(恕)')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0.10
28P 미리보기
茶山 丁若鏞의 관용(tolerance) 관념 : 서(恕) 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19호 / 235 ~ 262페이지
    · 저자명 : 안외순

    초록

    이 논문은 조선 유교의 관용 관념을 고찰하기 위한 일환으로 조선 후기 새로운 유교적 문명공동체 재건을 고민하였던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서(恕) 개념을 통해서 작금의 관용론에 대한 재인식의 토대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자신과 타인의 동등 고려(忖他心如我心)’ 원칙이 적용되는 다산의 서(恕) 개념은 ‘타인과의 호혜적 공존 추구(人與人之至也)’를 인(仁)으로 규정한데 기초한 것으로, 기존의 소극적 의미의 서(恕) 개념을 넘어 보다 적극적이고 포괄적인 함의를 지니는 것으로 재해석한 것이었다. 요컨대 다산의 경우 기존의 서(恕) 인식은 ‘소극적 배려’ 차원의 관용으로서 결국 공맹 원시유교의 서(恕) 개념을 왜곡한 것으로 이해하고 그 대안으로 ‘적극적 배려’의 준칙으로서의 서(恕)에 대한 이해를 회복할 때 인(仁)의 진정한 이상도 구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마찬가지로 오늘날 운위되는 ‘관용’ 혹은 ‘똘레랑스’가 본질적으로 ‘단지 싫지만 참아준다’는 것을 의미한다면 너무나 다양한 ‘차이’의 주체들과 공존해야 하는 다문화시대 갈등을 치유하는 적절한 관계윤리로서의 준칙이 될 수 없다. 대신 인간의 상호 호혜적 공존을 추구[仁]한다는 궁극적인 목표 하에 타인을 진정으로 자신의 처지에서 이해하려는 적극적인 서(恕) 윤리가 필요하다는 다산의 주장이야말로 다문화시대에 가장 필요한 관용의 개념의 대안이라고 본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s part of a study into the idea of tolerance especially in the Joseon Dynasty's Confucianism, aims to search for the basis of new understanding about the recent theory of tolerance through the concept of 'Seo (恕: equal consideration of myself and others, tolerance)' of Dasan Jung Yak-Young (丁若鏞, 1762-1836), who struggled to reconstruct a community for the new Confucian civiliz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myself and others' applied, the concept of 'Seo' was based on 'In (仁: benevolence)' determined as 'pursuing reciprocal coexistence with others'; this contains more active and comprehensive implication than the original, passive concept of 'Seo' and reinterpreted the older concept. In short, Dasan recognized the original idea of 'Seo' as tolerance only at the level of 'passive consideration' which after all distorted the concept of 'Seo' of Confucius and Mencius primitive Confucianism and he believed that the true ideal of 'In' would be realized when understanding on 'Seo' as a rule of 'active consideration' that can replace the original concept is restored. Likewise, if 'tolerance' just fundamentally means 'enduring yet unwillingly,' it cannot be a standard of appropriate relational morality that can heal the conflicts of the multicultural age at which so many 'different' individuals must coexist. Instead, under the ultimate goal of pursuing mutual, reciprocal coexistence of humans [仁], Dasan's persuasion that the active morality of Seo (恕) under which one truly understands others by putting himself in their place is needed and this can be presented as an alternative for the concept of tolerance, which is most needed especially for the multicultural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