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老柏軒 鄭載圭의 學問精神과 『대학』해석 (No-baek-heon Jeong, Jae-gyu's Learning Spirit & [Dae-hak] Interpretatio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0.06
42P 미리보기
老柏軒 鄭載圭의 學問精神과 『대학』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29호 / 113 ~ 154페이지
    · 저자명 : 최석기

    초록

    이 글은 鄭載圭(1843-1911)의 학문정신과 『대학』 해석에 대해 살펴본 것으로,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정재규는 인륜이 무너져 금수의 세상이 되는 것을 가장 두려워했기 때문에 守正主義를 강조했고 衛正斥邪를 부르짖었다. 그는 도를 지키기 위해 죽음을 불사하는 守死善道意識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를 보전하기 위해 讀書種子를 양성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정재규의 학문방법은 독서를 통한 지식을 실생활에서 체찰하는 隨事省察과 자신의 몸에 돌이켜 실천하는 反身踐實로 요약된다. 이는 分殊 속에서 理를 구현하려 한 주리론적 사유를 반영한 것이다.
    정재규의 『대학』 해석 기본관점은 ‘新民도 明德 속의 일’로 보는 명명덕에 치중한 해석과 팔조목 가운데 反身踐實에 해당하는 修身에 치중한 해석이다. 해석의 주요 특징으로는, 1)反身踐實의 관점에서 誠意를 『대학』의 골자로 본 점, 2)「大學章句序」의 分節이 선유들의 설과 다르며 性․敎에 중점을 두어 성인의 가르침을 따라 본성을 회복하는 일을 말한 것으로 본 것, 3)明德을 ‘天之明命’과 연관시켜 理로 보고, 心合理氣를 전제로 하되 心은 氣之精爽, 明德은 心之无妄으로 보아 理主氣資의 입장에서 心 속에서 眞實无妄한 본체를 명덕으로 본 것, 4)正心을 全體主宰處에서 照管하는 것으로 보아 장구의 ‘敬以直之’에 천착해 體까지 말한 것으로 보는 설을 따르지 않고, 用의 측면만으로 본 것 등을 들 수 있다.
    정재규의 『대학』은 해석을 경학사적 시각에서 보면, 주리론적 관점에서 明德를 理로 보아 이에 치중해 해석한 것과 反身踐實의 관점에서 성의․정심에 치중한 해석을 하면서 齊家 이하를 수신의 實事로 본 것이 시대적 변화에 대처한 그의 새로운 해석성향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research for Jeong, Jae-kyu(鄭載圭, 1843-1911)'s learning spirit and his [Dae-hak] interpretation. It summarized as follows; Jeong, Jae-kyu emphasized the conservatism because he feared collapsing the traditional system to be a beastly world. He was ready to sacrifice himself to preserve his integrity(守死善道), and put his heart and soul into education to train the well-reading younger generation(讀書種子). His learning way, in a word, is the 'activism' after reading(反身踐實). It was a kind of reflection from his principle based thinking.
    For the Basic viewpoint of Jeong, Jae-kyu's [Dae-hak] interpretation, it is peculiar that he thought that 'sin-min'(新民) belong to 'myeong- deok'(明德), so he paid attention to interpreted the word of 'su-sin'(修身) as 'reflection' and 'practice'(反身踐實).
    His interpretation features are,1) 'Seong-eui'(誠意) is the main text of [Dae-hak] in the viewpoint of 'reflection' and 'practice'(反身踐實). 2) His [Dae-hak-jang-gu- seo](「大學章句序」) chapter division is differ from the former scholar's one because he thoyght that its essence meaning is the recovery of one's mind. 3) He regarded that 'myeong-deok'(明德) as 'ri'(理) which related with 'cheon-ji-myeong-myeong'(天之明命). So he concluded that 'sim'(心) is a sort of 'gi-ji-jeong-san'(氣之精爽) and 'myeong- deok'(明德) is 'sim-ji-mu-mang'(心之无妄) as the essence of 'myeong-deok'. 4) He thought that 'jeong-sim'() is a kind of observer in the whole world, so emphasized the meaning of 'yong'(用) not including 'che'(體) of 'gyeong-i-jik-ji'(敬以直之).
    In the comprehensive viewpoint of academic history, his [Dae-hak] interpretation way of above 1) and 3) shows us a tendency that he adapt himself to the change in his surround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