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보사회의 소비문화성향에 따른 디자인 패러다임 연구 (A study on Design Paradigm about Consumption Culture Patterns of Information Society)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08.06
8P 미리보기
정보사회의 소비문화성향에 따른 디자인 패러다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지식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지식저널 / 6호 / 143 ~ 150페이지
    · 저자명 : 강현응, 오은석

    초록

    현대 디자인의 연구에 있어서 디자인 패러다임의 연구는 새로운 매스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등장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이 분명하고, 오늘날 전개되는 사이버적 환경에서의 테크놀로지는 결코 시스템적 접근의 확장이 아니라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원초적 기능, 즉 시간 및 공간적 확장으로 보아지고 있다.그렇다면 디자인의 학문적 연구에 있어서 물리적 현실세계의 시간, 공간을 뛰어넘는 새로운 시대의 도래에 있어서도 구시대에 성립된 디자인적 학문의 패러다임이 여전히 유효할 것인가?디자인은 소비에서 창출된다. 소비는 곧 문화를 의미하며 이 문화는 인간을 중심으로 한다는 것은 변하지 않는 사실인 것이다. 디자인의 패러다임이 유형(有形)의 형태에서 무형(無形)의 형태로, 디자인의 대상이 제품이나 산업사회의 부산물에서 가상공간(Cyber Space)의 문화 창출로 그 영역을 전이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과연 인간의 디지털적인 행태가 디자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을 근간으로 한 가까운 미래사회의 예측을 기반으로 새로운 디자인의 패러다임을 찾아가야 할 것이다.지금까지는 현물적(現物的)이며 가시적(可視的) 디자인의 결과가 우리 디자인의 전부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앞으로의 디자인은 우리 눈에 실제로 보이지 않는(Invisible) 대상으로 나타날 수 도 있고, 우리 눈에 실제로 보이는 공간이 가상의 공간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는 가까운 미래에 다가올 새로운 시대에는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의 대상이 바로 자신의 파생된 실재가 존재하는 시대가 도래 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리고 이러한 커다란 변화의 바람에도 새로운 디자인 패러다임 안에는 항상 인간의 삶에 기여하려는 디자인이 그 중심에서 있어야 할 것이다. 사회변화를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인간의 입장에서 사고하고 디자인적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디자인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It is certain that research of design paradigm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new mass-media technology. Also, the technology in cyber environment is not only the expansion of systemic approach but also the instinct function of human communication that is to say the expansion of time and space.Then, is existed design science paradigm still effective even though the new generation appeared which covers all the time and spa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Design is emerged from consumption and the consumption means culture. It is unchangeable truth that the culture is based on the human beings. Design paradigm is transformed from tangible form to intangible one and design objects tend to be transferred from manufactured goods or the residual products of industrial society to culture creation of cyber space. In this environment we should examine new design paradigms focused on the prediction of new future society which is based on science technology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he design is affected by recent digital form.Up until now, actual and visual design was all we have. But then again, it could be appear as an invisible object and the real space becomes a cyber space in the future. It expected that the object for human communication for design could be derived oneself in the future new period. Since the main role of design is to receive the social changes and think in a human situation, design should be contribute to the human life even in this big chan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지식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