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도통론의 전개와 포은 정몽주의 위상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eo-Confucian Orthodoxy and Poeun Jung Mong-Ju’s Influence in the 16th Century Joseon Dynas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6.06
28P 미리보기
16세기 도통론의 전개와 포은 정몽주의 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포은학회
    · 수록지 정보 : 포은학연구 / 17권 / 5 ~ 32페이지
    · 저자명 : 이경동

    초록

    포은 정몽주는 중종 12년(1517) 문묘에 종사되면서 도학의 조종(祖宗)으로서 위상을 공인받았다. 문묘종사 이후 16세기 전반에 걸쳐 사림은 정몽주의 위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강화하면서 조선 사회만의 도통론을 체계화하였다.
    16세기에 정몽주는 절의를 중심으로 학문과 그에 수반된 실천들이 강조되며 도통의 조종으로 정립되었다. 또한 정몽주는 기자에서 시작되는 동방의 도통을 회복한 인물로서 상징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당대 사림들은 조선 사회의 도통을 확보하고 사림의 정치적․사회적 명분을 강화하였다.
    16세기 정몽주에 대한 사림의 추숭은 문묘종사․서원건립․시문(詩文) 등의 기록물․출판활동 등을 통해 점차 확대되어 갔다. 특히 이러한 사업들은 16세기 후반 사림정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선조대에 집중적으로 추진되었다. 17세기 초에는 5현이 문묘에 종사되면서 조선의 도통론은 국가 및 사회적으로 공인을 받게 되었다.
    16세기의 도통론에 입각한 정몽주에 대한 위상은 단순히 그 시대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이후에도 정몽주에 대한 이해는 조선후기에도 통용되었다. 특히 17세기 심화된 성리학적 의리론과 함께 정몽주는 도통을 기반으로 화이론과 관련된 시대적 흐름의 상징적인 인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이는 17세기 정몽주에 대한 인식이 16세기를 계승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처해진 현실에 따라 재해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역사적 과정은 현재까지 정몽주가 절의 및 동방 도통의 조종(祖宗)으로 인식되는데 주요한 역할을 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hows that how Poeun Jung Mong-Ju established his Neo-Confucian images and acknowledged influence of Neo-Confucian orthodoxy(道統) in the 16th century Joseon Dynasty.
    The influence of Poeun Jung Mong-Ju was established a symbol of fidelity toward royal family, since he died augustly for his filial fidelity in the 15th century. In their speeches and writings produced by literati-scholars in the 16th century noted that Jung Mong-Ju was known as not only a “liege man” to keep filial fidelity but also a “founder” of Korean Neo-Confucianism. Moreover, they directly linked him into Jizi(箕子), legendary sage from end of Shang dynasty(c.1100 BC).
    At that same time, public and private persons urged toward primary enterprises to commemorate Jung Mong-Ju’s remarkable achievements. On the preferential basis, literati-scholars established seowon, Neo-Confucian private academies, for venerating the scholar Poeun and educating rural students. The number of seowon venerating Poeun Jung Mong-ju were five, established between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and King Seonjo. These seowon were established in the region related to the venerated scholar, except for one, which was built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rural literati. Five seowon were dedicated to venerate the scholar: forming rituals and writing literary works. The government also gave privilege to his descendents, such as exemption from taxation and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addition, king Seonjo commanded to publish the collection of Poeun Jung Mong-Ju.
    In the 17th century, the influence of Poeun Jung Mong-ju was expanded with the Cause of Justice theory(義理論). Song Shi-Yeol, one of the representative scholars in the 17th century, reviewed the studies of former masters of the master Jung with the Cause of Justice theory. He indicated Poeun Jung Mong-ju as a symbol of resistance and Neo-Confucian orthodoxy. These perspectives reveals that Poeun Jung Mong-Ju’s influence was originated from the 16th century.
    In conclusion, the establishment of Poeun Jung Mong-Ju’s influence in the 16th century has continued to influence up to the pres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포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