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淸津의 팽창과 정어리 어업 (Pilchard Fishery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Expansion of the Cheongjin Area)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7.08
45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淸津의 팽창과 정어리 어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실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실학 / 63호 / 133 ~ 177페이지
    · 저자명 : 심재욱, 이혜은, 민원기

    초록

    일제강점기 東海는 ‘일본의 內海’로써 대륙 진출을 위한 통로로, 그리고 魚族 자원 수탈의 장으로 활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동해안 지역에 다수의 항구 도시들이 출현하였고 팽창하였다. 이중 러일전쟁 당시 일본군의 군사 목적으로 개발된 이후 무역항으로, 어항으로, 그리고 공업도시로써 확장을 계속한 ‘식민도시’ 淸津의 모습은 매우 주목된다.
    淸津의 확장에 있어 주목되는 점은 바로 정어리 어업과 도시 팽창과의 연관성이다. ‘정어리의 淸津’이라 불릴 만큼 정어리 어업은 淸津의 팽창에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1920년대 중반부터 급증한 정어리의 대량 回遊와 선진 漁法의 유입을 통한 정어리의 대량 어획, 그리고 1910년대 중반 이후 정어리 기름을 가공한 硬化油를 원료로 하는 일본 유지화학공업의 급격한 발전과 같은, 수요와 공급의 측면에서 상호 상승작용을 일으켜, 대규모의 정어리 어획과 가공을 이끌어 냈다. 그 중심에 淸津이 있었다.
    淸津의 도시 팽창과 확장은 192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 진행된 淸津港 築港과 輸城川 改修 등과 같은 도시개발 사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여기에는 당시 팽창 일로에 있던 정어리 어업이 상당한 영향을 끼쳤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시 개발과 정어리 어업의 발달은, 값싸고 안정적인 원료 공급을 원하는 일본 자본의 침투도 유도하였다. 1933년 본점과 공장을 淸津에 설립한 朝鮮油脂株式會社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후 다수의 정어리 어업 관련 공장 및 중공업 관련 공장들이 속속 설립되면서, 淸津은 무역항·漁港, 그리고 공업도시로써 보다 팽창하게 되었다. 1930년대부터 조선총독부가 진행한 북한 지역 중공업화 정책 및 1931년 ‘만주사변’으로 가속화되는 일본의 대륙침략도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 비록 1942년 이후 정어리 어획의 급감으로 淸津의 정어리 관련 공업은 커다란 쇠퇴를 맞이하였으나, 정어리 어업과 관련 공업은 淸津의 도시 팽창과 공업도시화에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

    영어초록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Korea’s East Sea (which was considered ‘an inland sea of Japan’ by the Japanese colonial empire) was utilized as one of Japan’s entry points into the continent of Asia and a site for the exploitation of Korea’s fish resources. In the process, the coast of the East Sea saw the formation and expansion of multiple port cities. ‘The colonial city’ of Cheongjin is especially noticeable in that the port area was first developed for a military purpose by Japan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n expanded itself into a trade port, a fishing port, and an industrial city.
    Notably, the enlargement of Cheongjin implies the relevance between the pilchard fishery and the urban expansion in the area. The pilchard fishery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expansion of Cheongjin as shown in its nickname, ‘Cheongjin with pilchard’. Starting from the mid-1920s, it became possible to catch large volumes of pilchard due to the soaring number of the fish breed migrating to the area for spawning and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fishing techniques. Particularly, Japan’s chemical industry based on oils and fats, seeing a rapid growth after the mid-1910s, began using hydrogenated oils from pilchard as raw materials, which enhanced reciprocal synergies between supply and demand. At the core of all the said events existed Cheongjin.
    Cheongjin experienced a full-fledged expansion through a series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from the mid-1920s to the 1930s,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the Port of Cheongjin and the improvement of the Suseongcheon Stream. Obviously, the pilchard fishery, which was on an ever-exploding trend,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circumstances. Meanwhile, the development of the city and the advancement of its pilchard fishery also induced the Japanese capital inflow backed up by Japan’s high hopes for sustainable supply of cheap raw materials. A representative case can be found in Chosun Oil and Fat Co., Ltd., which established its headquarters and plant in the Cheongjin area in 1933. With the subsequent opening of a number of other pilchard-related plants and heavy industrial plants, Cheongjin saw a continued expansion, turning itself into a trade port, into a fishing port, and eventually into an industrial city. The expansion of the city was also partially influenced by the promotion of heavy industries in the current North Korean region that began in the 1930s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s well as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continent of Asia spurred by the 1937 Manchurian Incident. Although the sharp decline in the pilchard catch in 1942 led to a dramatic fall of pilchard-related industries in Cheongjin, it remains clear that industries based on the pilchard fishery played a huge role in the expansion of the city of Cheongj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