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친의 『정토론』에 나타난 십지사상 (Avatamska thoughts in Treatise on Pure Land of Vasubandh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6.02
33P 미리보기
세친의 『정토론』에 나타난 십지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45호 / 239 ~ 271페이지
    · 저자명 : 주명철

    초록

    본고는 세친의 『정토론』에 나타난 십지사상의 요소를 찾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정토는 어떻게 건립되었는지 사상적 배경을 알아보면, 세친은 정토를 하나의 진리(一法句)가 17 국토장엄, 8 불장엄, 4 보살장엄 총 29장엄으로 나타난 것으로 본다. 그 사상 배경에는 하나의 진리와 29종의 장엄이 둘이 아니라는 논리가 깔려 있다. ‘물과 파도’의 관계에 비유하면 하나의 진리, 일심 진여는 물에, 29종의 정토의 장엄은 파도와 같아 일심진여가 현상으로 나타난 것이 29종장엄의 정토인 것이다. 또한 이 비유는 법성법신과 방편법신의 관계로 해석할 수 있다. 방편법신과 법성법신은 하나라는 사고에 바탕하고 있다. 방편법신은 법성법신에 의해서 생기하고, 역으로 방편법신에 의해서 법성법신은 출현한다. 곧 29종의 장엄과 법신은 하나이다. 따라서 이 둘의 관계는 ‘다르면서 서로 분리할 수 없는’ 또한 ‘하나이면서 서로 같지 않는’ 不一不異 관계로 볼 수 있다. 이렇게 법계와 중생계가 하나라는 대승 화엄불교의 사고가 정토 건립의 사상적 배경이며 원리가 된다.
    이와 같은 배경 속에 17종의 국토장엄의 게송과 十地사상은 어떤 상관성이 있을까? 17종의 국토장엄은 『십지경론』의 10지 法雲地의 내용과 여러 부분에서 흡사하다. 또한 4종의 보살장엄 역시 『십지경론』의 제8지 · 제9지의 경문과 상당이 많은 부분에서 유사하다.
    마지막으로 『정토론』의 왕생행인 오염문 수행과 『십지경론』의 보살수행을 비교 검토해 보면 자리이타의 보살수행을 내용으로 하는 점에서 서로 동일하다. 오염문 행의 결과로서 정토에 왕생하는 五果門의 내용과 십지를 비교해 보면, 오과문 중 첫 번째 근문(近門)은 제7지로부터 제8지 부동지로의 전입이며, 두 번째 대회중문(大會衆門)은 계속해서 부동지에, 나머지 택문(宅門)・옥문(屋門)・원림유희지문(園林遊戱地門)은 지바라밀의 증득에 의한 제10지 법운지의 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세친의 정토불교는 『무량수경』보다는 화엄 십지사상의 영향 하에서 체계화 됐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review Avatamska thoughts In the Pure Land Buddhism of Vasubandhu.
    First of all, let's comprehend how the pure land was ideologically constructed. Vasubandhu understood that One truth(一法句) finds expression in 17 land-vyūha, 8 buddha-vyūha and 4 bodhisattva-vyūha.
    The background includes a truth and 29 kinds of magnificence of pure land, which are hanging each other on the logic of one. To understand easily, let's make a comparis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and wave. Tathatā or one truth is the water ; 29 kinds of magnificence of pure land is the wave. Tathatā gets 29 kinds of magnificence, taking the forms of the sublime phenomenon.
    The metaphor is also the same in connection with two Dharmatā dharmakāya and Upāya. Dharmakāya of those two is one. Dharmatā dharmakāya comes from Upāya dharmakāya, and Upāya dharmakāya from Dharmatā dharmakāya in the same way. Dharmakāya and 29 kinds of magnificence is one.
    While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two are different, they can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yet one is not equal to each other(不一不異). So a ideological background of Pure Land is Hwayen Buddhism, which claims that one are the world of humankind and of the truth.
    Under the such ideological background, and then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17 land-vyūha and the daśabhūmi(十地). The 17 land-vyūha is similar in many parts of the content of dharmameghā(法雲地). 4 bodhisattva-vyūha has been the 8th ground(aṣṭamaka-bhumi, 不動地) and 9th ground(navamī-bhumi, 善彗地). In the content, there are a lot of similar parts.
    Finally, entering into the first gate(近門) of the five gates began at 7th ground(遠行地) under the 8th ground(不動地). The second gate(大會衆門) continued on the 8th ground. The remaining third(宅門), the fourth(屋門) and gate number five(園林遊戱地門) can be understood by virtue of the 10th ground.
    In conclusion, it is comprehended that the Pure Land of Vasubandhu is more influenced by Hyuyen Buddhism than Muryangsugye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