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程明道의 천리와 인성에 대한 이해 (Cheng Mingdao’s Understanding about Tian-li and Human na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4.03
26P 미리보기
程明道의 천리와 인성에 대한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40호 / 273 ~ 298페이지
    · 저자명 : 정상봉

    초록

    북송의 유학자 명도(明道) 정호(程顥)는 유가철학(儒家哲學)의 세계관과 인성론에 관한 이론체계를 새롭게 정립하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그는 천리(天理)라는 개념어를 통하여 세계 내의 형이상의 보편적 이치가 만물의 끝없는 생성과정에 내재함을 논하였다. 보편 이치로서의 천리는 순선(純善)하다. 그러나 세상의 사물의 실질적 사태나 상황에는 좋고 나쁨이 있다. 그가 “천하의 선악(善惡)은 모두 천리다.”라고 말한 것은 바로 이러한 맥락 속에서 언급된 것이다. 그리고 기(氣)의 품수에 따라 사람의 기질적 품성(稟性)도 다르다. 이에 “악(惡)도 성(性)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한 것이다. 이와 같이 천리나 인성의 측면에서 악(惡)을 언급한 부분은 그 맥락적 의미를 살펴야만 한다. 왜냐하면 명도는 공맹유학이 표방한 사람의 본성은 선(善)하다는 대전제를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즉 인(仁)이 바로 천리요, 덕성을 대표한다. 생기충만(生氣充滿)한 봄기운⋅연못에서 노니는 물고기⋅삐약 거리며 뛰어 다니는 병아리⋅뛰는 맥박, 그리고 사람과 사람 사이에 나누는 사랑의 마음 모든 것은 존재생성(存在生成)과 가치현현(價値顯現)의 보편 원리인 인(仁)이 온전히 세계 내에 드러난 것이다. 다시 말해 존재(存在)와 당위(當爲), 사실(事實)과 가치(價値)의 구분은 이제 하나의 지평 속에 녹아들게 되었다. 소위 만물일체라는 것도 바로 타자화 내지 대상화 차원을 넘어서 자기화 또는 일체화의 의미를 밝힌 것이다.

    영어초록

    Mingdao Chenghao(1032-1085) has played a great role to establish the new theory of the world and human nature in Confucianism. He insists that there is a metaphysical and universal law called Tian-li through the endless becoming of all things. Tian-li is purely good. But some states of affairs or situations are good or bad. From this context he points out that all goodness or badness is Tian-li. And according to the endowment of Qi,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his or her characteristics. The statement like “Badness also has to be called human nature.” represents these differences. Mingdao who follows Confucius and Mencius indicates that all human beings have good virtues inherently. The representative virtue, i.e. Ren[仁] is Tian-li. For example, vital energy of spring⋅a fish swimming in a pond⋅a little running and singing chicken⋅beating pulse and lovely warm-hearted mind, these are the revelation of Ren as the universal law through the process of beings-becoming and values- manifestation. the difference between ‘Is’ and ‘Ought’ or fact and value is going to be melted into the horizon of the whole ‘Oneness’. So called “Wan-wu-yi-ti[萬物一體]” has its practical meaning in this procedure of ‘Oneness’ beyond ‘Otherness’ or ‘Objective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