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捷解新語』 断定表現의 改修 (Amendment of Predicative Expressions in Cheophaeshine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2.08
21P 미리보기
『捷解新語』 断定表現의 改修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어문학 / 98호 / 97 ~ 117페이지
    · 저자명 : 이동욱

    초록

    本研究は『捷解新語』原刊本に表れる日本語断定表現が改修本․重刊本に於ていかなる変化を見せているのかについて調べてみたものである。考察結果は下記のようである。本研究の総合判断によれば下記の②③④⑥の特徴は資料の持つ特定目的、編者の意図や性向などが作動した結果として考えられ、①⑤⑦⑧の特徴は当時の日本語の現実が反映された結果として考えられる。 ① 「なり」「である」「ぢゃ」「でござる」が主導形式として、「にある」「にござる」 「にそうろう」 などは非主導形式として用いられている。 ② 改修過程に於いて断定表現の総数は原刊本․改修本に比べて重刊本で顕著に減少する。 ③ 常体と敬体の使用比率が原刊本と改修本․重刊本に於いて相反する。 ④ 原刊本に比べて改修本․重刊本での「なり」「ぢゃ」の使用は減少し、「でござる」の使用は大幅に増える。 ⑤ 「なり」の使用は前代に比べて大きく弱化され、その場に「である」「ぢゃ」「でござる」が置かれる傾向がある。 ⑥ 「である」はもっぱら連用形の形で出現する。 ⑦ 「ぢゃ」は 終止形と連体形に限られて用いられる。 ⑧ 原刊本「でこそござれ」は改修を経てすべて姿を消している。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predicative expressions of Cheophaeshineo Wonganbon and how they are changed in Kaesubon․Chungganb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②, ③, ④ and ⑥ are affected by the specific purpose of the data and the editor's intentions and propensities. The characteristics of ①, ⑤, ⑦ and ⑧ reflect the reality of Japanese language at that time.
    ① The predicative expressions NARI, DEARU, DZYA, DEGOZARU are used in a leading way while NIARU, NIGOZARU, NISOUROU are used in a non-leading way.
    ② The total usage of the predicative expressions in Chungganbon is not significant compared to the usage in Wonganbon․Kaesubon.
    ③ The usage frequency of the impolite predicative expressions in Wonganbon differs from the usage frequency of polite predicative expressions in Kaesubon․Chungganbon.
    ④ NARI, DZYA are less used in Kaesubon․Chungganbon compared to the usage in Wonganbon and DEGOZARU, which is more used significantly in Kaesubon․Chungganbon.
    ⑤ NARI is less used than before and its usage is changed to NARI, DEARU, DZYA, DEGOZARU.
    ⑥ DEARU is only used for conjunctive-form.
    ⑦ DZYA is only used for End-form and Attributive-form ⑧ DEKOSOGOZARE disappeared during amendment process in Wonganb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