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지용·주체문예·정전(正典) (Jeong, Ji-yong · Juche Literature · Can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3.06
42P 미리보기
정지용·주체문예·정전(正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68권 / 371 ~ 412페이지
    · 저자명 : 최현식

    초록

    이 글은 북한에서 이뤄진 정지용의 시에 대한 배제와 복권, 그리고 학술연구와 신문매체에서의 대중화 과정을 살펴본다. 정지용은 반혁명적․반인민적 예술로 폄훼된 ‘모더니즘’ 예술의 주창자라는 비판적 평가에 따라 배제와 금지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김정일이 주도한 ‘주체문학’론에 의해 반전의 계기가 발생했다. 정지용의 시도 김일성의 ‘항일 혁명문학예술’에 기여한 진보적 ‘민족문화예술’의 유산에 해당된다는 정반대의 평가가 그것이다. 이를 통해 그는 아름다운 민족정서와 민요풍 리듬을 바탕으로 인민의 서정과 호흡을 인상 깊게 노래한 시인으로 올라선다. 이것은 정지용의 시가 ‘혁명의식’과 ‘민족적인 것’의 고양을 통해 인민의 대통합과 김일성—김정일 세습체제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북한식 ‘정전(正典)’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음을 뜻한다.
    1990년대 본격화된 정지용의 시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선집(選集)의 발간은 새로 편찬된 『조선문학사』와 『현대조선문학선집』를 통해 이뤄진다. 두 작업은 그의 시가 처음 실린 신문과 잡지, 『정지용시집』(1935)과 『백록담』(1941)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이 과정에서 1920년대 및 1930년대 『현대조선문학선집』에 총 43편의 시가 실렸다. 대표작 「카페 프란스」, 「고향」, 「향수」, 「백록담」, 「비로봉」 등이 주로 선택되었다. 이 작품들은 민족어에 대한 탁월한 감각과 뛰어난 구사, 그를 통한 ‘민족적인 것’의 전통화와 미래화, 인민들의 슬픔과 건강함에 대한 서정적 화폭의 표현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미지즘’ 경향의 시, 곧 반인민적 퇴폐주의 예술의 혐의를 받던 「바다」, 「해협」 등과 식민지 아동의 호기심과 설움을 표현한 동시(童詩)는 제외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은 ‘고난의 행군’이라는 체제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선군혁명문학론’을 내세운다. 이때 강조된 것이 김일성 항일유격투쟁을 모델로 한 수령 중심의 ‘총의 힘’과 ‘사랑의 힘’, 인민들 서로간의 ‘공존의 윤리’였다. 이를 감안하면 정지용 시는 특히 ‘공존의 윤리’에 부응하는 작품들, 곧 인민의 애국심과 향토적 서정이 배어 있는 작품들이 주목되었을 법하다. 그러나 북한 문단과 연구진은 뜻밖에도 다음의 항목들로 평가의 초점을 돌린다. 첫째, 정지용 시에서 선택, 활용된 ‘고유어’, ‘고어(古語)’, ‘방언’에 담긴 시사적․민족문학적 가치, 둘째, 조선 아동들의 순진무구한 생활과 놀이, 민족과 가족 상실의 아픔을 노래한 동시가 그것이다. 이처럼 정지용 시는 ‘주체문학’의 공식적 인정과 독자에 대한 대중적 호소력을 동시에 획득하게 됨으로써 ‘고전’과 ‘정전’의 지위를 동시에 확보하기에 이른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exclusion and lottery of Jeong Ji-yong’s poems, and the process of popularization in academic research and newspaper media in North Korea. Jeong, Ji-yong was shunned and banned as he was considered an advocate of “modernist” art, which was denounced as counter-revolutionary and anti-people. However, his reputation recovered greatly in the 1980’s with the emergence of a new literary theory under Jucheism, led by Kim, Jung-il. From the perspective of “Juche Literature,” Jeong, Ji-yong’s poetry was assessed as a legacy of progressive “national culture and art” that contributed to Kim, II Sung’s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ry art.” He was praised as a poet who sang the emotions and “breath” of the people based on beautiful national sentiments and folk-like rhythms. In other words, Jeong, Ji-yong’s poetry has come to serve as North Korean “canon” that contributes to national unity and the stabilization of the hereditary succession of Kim, Il-sung and Kim, Jung-il by elevating “revolutionary spirits” and “national things”.
    The positive reception of Jeong’s poetry and the publication of anthologies, which began in earnest in the 1990’s, is reflected in the newly edited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and Collection of Modern Literature of Korea. Both works were centered on the newspapers and magazines in which his poems first appeared, the Collected Poems of Jeong, Ji-yong (1935) and Baekrokdam (1941). In the process, 43 of his poems from the 1920’s and 1930‘s were published in Collection of Modern Literature of Korea, including his representative works — “Cafe France,” “Hometown,” “Nostalgia,” “Baekrokdam,” and “Birobong.” These works were highly praised for their excellent sense of the national language, excellent command of the language, traditionalization and futureization of ‘national things’ through it, and lyrical expression of the people’s sorrow and health. However, Poems with the tendency of ‘Imagism’, that is, “Sea” and “Strait”, which were suspected of being anti-popular decadent art, and children’s poems expressing the curiosity and sadness of colonial children were excluded.
    Since the mid-1990’s, North Korea has promoted “the Military-first revolutionary literature theory”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March of Suffering”. The emphasis was on the “power of the gun” and “power of love” and the “ethics of coexistence” among the people, modeled after Kim, Il 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Considering this fact, a focus might have been placed on the works of Jeong, Ji-yong that lived up to the “ethic of coexistence”, that is, works imbued with patriotism and local lyricism. Unexpectedly, North Korean writers and researchers paid attention to the following: 1) the poetry historical and national literary of the “vernacular,” “archaic language,” and “dialect” selected and utilized in his poems; and 2) the children’s poems that sang about the simple life and innocent play as well as the pain of national and family loss of Korean children. To sum up, Jeong, Ji-yong’s poetry gained both official recognition as “Juche literature” and mass appeal among readers, securing the status of a “classic” and “canon” at the sam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