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寒岡 鄭逑의 程朱學 受容樣相 (Han-gang Jeong-gu’s Development of Jeongjuha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07.12
41P 미리보기
寒岡 鄭逑의 程朱學 受容樣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24호 / 143 ~ 183페이지
    · 저자명 : 권진호

    초록

    본고는 寒岡 鄭逑(1543~1620)의 학문경향과 정주학의 수용양상을 조명해 본 것이다. 한강은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기에 활동했던 영남사림의 대표적 인물이다. 그는 타고난 자질과 家學으로 내려오는 학문적 전통을 계승한 바탕위에 당대의 큰 스승을 찾아뵙고 그들의 학문적 장처를 두루 섭렵하였다. 이를테면, 한훤당 김굉필의 正學과 남명 조식의 正論과 퇴계 이황의 진실한 도[的旨]를 받아들여 이후 당대의 독특한 학문경향을 형성하였다.
    그의 학문경향은 下學重視의 경향과 博學의 추구이다. 하학중시의 경향은 일상생활의 기본예절을 실천하는 하학공부를 통해 天理인 上達로 나아가는 학문차서를 강조하는 학문관점이고, 박학의 추구는 학문의 규모와 범위가 宏博하다는 것인데, 그만큼 현실의 쓰임에 대비하는 실용적인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같은 학문경향은 당대의 학문풍조에 대한 경종과 반성적 의미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한강은 20세 전반에 자신의 학문의 방향성을 분명하게 제시하였다. 그것은 과거의 길을 단념하고 求道의 자세로 정주가 남긴 성리학에 종사하는 것이었다. 그가 남긴 정주학과 관련한 편찬저술의 특징을 살펴보면, 성리이론에 대한 내용은 거의 없고 심성함양이나 내면의 수양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다른 하나는 편찬저술이 자기 학설을 내세우는 저서의 형태라기보다는 경전 중에 학문의 요점을 발췌, 요약하고 간간히 자신의 설을 붙이는 ‘編錄’이나 ‘集錄’의 저술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는 정자와 주자, 퇴계의 편찬저술 방식을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끝으로 한강의 수양론은 퇴계와 남명의 수양론의 장점을 취하여 ‘敬’과 ‘義’를 다 같이 중시하는 ‘敬義夾持’의 수양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가운데 정이천과 주자, 그리고 퇴계로 내려오는 수양론의 학문적 전통을 중요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이 점이 한강 수양론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Han-gang Jeong-gu’s(1543-1620) academic legacy and find out how he developed Jeongjuhak(a branch of Sung Confucianism). He served as one of the leaders in the Yeongnam Sarim Sect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Not only was he a gifted scholar, but he also came from a long line of gifted scholars. In addition, he met with great scholars of his day and stayed abreast of all their academic achievements. In other words, he had studied Hanhwondang Kimgoengpil’s theory of ‘Jeonghak’, Nammyeong Josik’s theory of ‘Jeongnon’ and Toegye Yi Hwang’s ‘Truthful truth’(Jeokji) extensively. Together, he himself established the unique academic trends.
    His academic legacy was to attach great importance to ‘Hahak’ and to seek erudition. The former emphasized the order of learning, which meant after completing ‘Hahak’ study in which students learned basic manners in daily living, the study of natural laws was possible. The latter, erudition, implied a extensive scale and range of studies. Uniquely, practical studies such as medicine were found in his studies as well as metaphysics. These trends also showed vital aspects of the academic drift that scholars should reflect on at that time.
    In his early 20s, Han-gang had clearly decided his academic goal would not be getting ahead but would be studying Sung Confucianism of Jeongju with single minded devotion. A characteristic of the Jeongjuhak developed by Han-gang was that the cultivation of the mind was focused on to the exclusion of the theories of Sung Confucianism. Another characteristic was that when he wrote books, he used the style of ‘Pyeonrok’ or ‘Jipnok.’ This implies that most of his books were compiled through excerpts or brief Confucian scriptures. By using this style and only commenting occasionally he emphasized the texts, rather than his own theories. This style of writing was derived from the tradition of Jeongja, Juja and Toegye. The last characteristic Han-gang developed was his moral training theory(Suyanglon), which was based on the merits of Toegye and Nammyeong’s theory. His theory was called ‘Kyeong-ui-hyeopji’ because both ‘Kyeong’ and ‘Ui’ were considered important elements for training one’s mind. He significantly developed the academic tradition of moral training theory which had been started by the scholars of Jeong Yicheon, Juja and Toegy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