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지용과 ‘교토’라는 장소 (Jeong, Ji-Yong(鄭芝溶) and the place ‘Kyoto(京都)’)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6.02
32P 미리보기
정지용과 ‘교토’라는 장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45호 / 113 ~ 144페이지
    · 저자명 : 김동희

    초록

    이 논문은 정지용이 1920년대 일본 교토 도시샤대학에 재학 중 발표한 작품을 대상텍스트로 하여 교토라는 장소가 지용의 작품에서 문학적 표상 공간으로 내면화되는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교토라는 장소는 지용의 작품에서 문학적 공간으로 등장한다. 지용은 1923 년 4월 일본 교토에 있는 도시샤대학 예과에 입학한 후, 1926년 4월 1일 도시샤대학 영문과에 진학하여 1929년 6월 30일 졸업했으므로 약 6년 2개월 동안 일본 교토에서 생활하였다. 지용은 교토에서 생활하면서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였는데, 그가 시편 말미에 교토에서 창작하였다고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작품은 총 11편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 작품을 대상텍스트로 하여 당대의 사진과 지도를 통해 지용이 생활하였던 교토를 그려보고 교토라는 장소와지용 문학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 논문은 교토의 카페와 노면전차, 가모가와와 히에이잔이라는 장소가 지용의 시에서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지용에게 카페라는 공간은 도시의 네온사인과 전차의 소음이 차단된 공간으로, 안과 밖의 구분이 확연함으로 인해자신의 내면을 탐색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한다. 이러한 공간의 구분이 카페 프란스 의 형식적 분리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 지용에게 교토의 거리는 산책의 장소인데 밤거리에서 마주하는 노면전차의 소리는 공포를 유발한다. 밤거리의 산책과 전차 소리의 공포는 황마차 에서 확인된다. 가모가와와히에이잔을 그린 작품으로는 Dahlia , 紅椿, 鴨川, 조약돌 , 엽서에쓴글 등이 있는데, 지용에게 가모가와와 히에이잔은 일상의 관찰이 이루어지는 공간이자 하나의 풍경처럼 자리한 곳이다. 이처럼 지용의 도시샤대학 유학시기 창작 발표된 작품들의 상당수는 교토라는 공간의 감각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reviewed a series of works by Jeong, Ji-Yong(鄭芝溶) published in the 1920s, during the time when he was in Doshisha University in Kyoto Japan. The article analyzed the process of the place, Kyoto, becoming internalized into literary representational space in his works.
    The place Kyoto is often used as literary space in Ji-Yong’s works. Ji- Yong lived in Kyoto for 6 years and 2 months, and he published a number of works during this period. There are 11 works in which he himself describes specifically that he actually wrote those works in Kyoto.
    This article looked closely into the places like cafes, night streets, Kamogawa(鴨川), and Hieizan(比叡山) in Kyoto, and examined how these places work and what kind of implications they have in Ji-Yong’s work.
    To Ji-Yong, Cafe is the place shut off from outside neon lights and the noise of streetcars in the city. It surely separates the inside of the cafe from the outside world and, therefore, can become the space for exploring inner side of himself. This space division is considered to have influenced the formal separation in his poem 「Cafe France」.
    For Ji-Yong, the Streets in Kyoto are places to stroll, but the sounds of streetcars encountered on night streets cause him to fear. Both strolling the streets and the fear of streetcar sounds are seen in his work 「Covered wagon(幌馬車)」.
    Kamogawa(鴨川) and Hieizan(比叡山) found in the works of 「Dahlia」, 「Camellia(紅椿)」, 「Kamogawa(鴨川)」 are also examined. Kamogawa(鴨川) is the place for his observation of people’s daily life, and Hieizan(比叡山) is depicted as poetic scenery. In this way, Ji-Yong embodies the places in Kyoto that he has actually experienced into his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