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尙書』 성립 과정에 대한 연구 - 淸華簡 『程寤』의 전승과 사상을 중심으로 ­ (The Path of Shang Shu(尙書) : Focus on the Cheng Wu(程寤) text of the Tsinghua Collection of Bamboo Slip Manuscript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9.03
36P 미리보기
『尙書』 성립 과정에 대한 연구 - 淸華簡 『程寤』의 전승과 사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74호 / 29 ~ 64페이지
    · 저자명 : 성시훈

    초록

    이 논문은 『逸周書』의 한 편으로 여겨졌던 문헌인 『程寤』의 전승 상황과 그 사상적 의미에 대하여 논하였다. 이를 위하여 『淸華大學藏戰國楚竹簡(壹)』에 수록된 『程寤』의 문헌적 문제와 내용을 전래문헌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걸음 더 나아가 『尙書』의 성립 과정을 추론하였다.
    『程寤』에는 周 文王의 正妃 太姒가 꿈을 통해 계시를 받고, 일련의 종교 의례를 거친 후, 文王과 훗날 武王이 되는 태자 發이 上帝로부터 商의 命을 수여받았다는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이는 다른 전래 문헌들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던 내용이다. 이렇듯 天命 수여에 관하여 꿈에 의한 계시라는 종교적 요소가 짙게 깔린 『程寤』의 신비주의적 사고는 『尙書』, 특히 五誥에서 드러나는 민본주의적 사고와 충돌하며, 이 때문에 『尙書』를 비롯한 유교 경전에서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고 추측된다. 이를 논증하기 위하여 이 논문은 『程寤』의 여러 판본을 비교 분석하여 『程寤』가 유교 경전에서 도태된 양상을 살펴본 후, 그 내용이 『尙書』 五誥를 비롯한 유교적 민본주의적 사고에 입각해 서술된 西周의 受命과 양립 불가능함을 추론하였다. 이를 통하여 『程寤』의 신비주의적 사유는 도태되고 통치 권력의 운용이 피통치자를 위해야만 한다는 민본주의적 天命觀이 유교의 정통적인 사유방식으로 자리 잡게 되었음을 논하였다.
    유교의 민본주의 사상이 인간 사회에 통치-피통치의 구조를 타파하거나 부정하지는 않는다. 도리어 이 구조를 더욱 공고히 했다고도 말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天이라는 초월적 존재의 의지가 꿈이나 종교 의례와 같은 신비적 수단을 통해 파악되는 것이 아니라, 현실 세계에 실존하는 피통치자를 통해 파악된다는 이 사상은, 통치 권력이라는 불평등한 지배권이 이 세계에 부정할 수 없이 엄존하는 이상, 그 권력의 올바른 운용을 위하여 진지하게 음미해 볼 만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passing down situation and significance of Cheng Wu(程寤) which people have regarded as one chapter of Yi Zhoushu(逸周書). To write the paper, it is to conduct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content in the excavated text which Qinghua University preserves with the traditional Chinese text.
    Cheng Wu(程寤) narrates that the king of Wen’s wife, Taisi(太姒), received divine revelation in her dream, and the king practiced a rite, and then Shangdi(上帝) gave him and his crown prince whose name was Fa(發) who became the king of Wu(武王) later the Ming of Shang(商命). Since it is to confer of the Mandate of Heaven(天命) by a revelation in a dream and contains a religious and mystical factor, especially with regard to contrasting with the concept of Minbenzhuyi(民本主義, rooted in the people) in Wugao(五誥) conferring of the Mandate of Heaven through the revelation in the dream, I guess that it is to not consider Cheng Wu(程寤) as a Confucian text, including Shangshu(尙書). To demonstrate my argument, I infer that the contents of Cheng Wu(程寤) is not possible to record the Confucian text which has the Minbenzhuyi(民本主義) concept such as Shangshu(尙書) Wugao(五誥) after analyzing and comparing Cheng Wu(程寤) to other texts to trace the process of its omission. From my inference, I argue that the Mandate of Heaven ideology on Minbenzhuyi that a ruler should serve his people replaces of mystical thought of Cheng Wu, then becomes the orthodox Confucian thought.
    The Confucian ideology, Minbenzhuyi, does not deny and prevent a breakdown of the social system which indic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ruler and subjects. Minbenzhuyi even had enhanced this relationship. Although Heaven makes the people perceives the will of the transcendent thing through a dream or religious rite, I believe that we should think of this thought which are seized by existed objects to exercise power in a proper way because there is still inequal and governing power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