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栗溪 鄭琦의 학술정신 -시대인식과 학술저작을 중심으로 (A Scholastic Spirit of Yulgye(栗溪) Jeong Gi(鄭琦) -Focusing on Awareness of Time and Academic Publication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1.12
29P 미리보기
栗溪 鄭琦의 학술정신 -시대인식과 학술저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72호 / 73 ~ 101페이지
    · 저자명 : 함영대

    초록

    栗溪 鄭琦(1879~1950)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 경남 합천과 전남 구례를 중심으로 강학한 유학자이다. 노사의 학맥을 이어받은 정재규의 수제자로 그 학문을 계승하였다.
    그는 서른 즈음에 이미 서양 문물이 밀려오는 당대를 천지가 뒤집어지고 일월이 빛을 잃는 시기로 이해하여 중화의 문명이 夷狄이 되고 사람이 禽獸가 되는 시기에 ‘儒家의 心法’을 부지하는 것으로 그 인생의 행로를 정했다. 그는 ‘仁義가 없다면 이는 곧 금수이고 草木’이라는 강렬한 도덕주의자의 면모를 견지했으며, 또 천하가 곤궁한 시기라면 ‘獨善其身’해야 한다는 가르침을 ‘古今의 通義’라고 여겼다. 그는 어렵더라도 斯文의 도를 면면이 지켜나간다면 언젠가는 이것이 ‘太平의 根基’가 될 것이라고 믿었다. 곤궁한 유학자로서 전통 학문을 강학하며 堅決한 삶의 자세를 지켜나갔던 것은 그러한 신념이 평생을 통해 관철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학술저작은 1930년대 전후에 이러한 저작이 집필될 것이라고는 믿기 어려운 매우 전통적인 유가의 학문 성향을 반영하고 있다. 「華東歷代歌」는 중국과 조선의 역사를 오언절구 형식으로 노래한 장편서사시로 그의 문명의식과 역사의식의 일단을 잘 보여준다. 『近思錄葉本考異』는 근사록에 대한 고증으로 청대학자 江永의 저작을 추가 보완했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다양한 주석서가 제출된 『소학』이나 『심경』과 달리 『근사록』에 대한 탐색은 조선에서 그렇게 활발한 편은 아니었으나 사계 김장생 이래 서인계통으로 전해지던 『근사록』 연구의 여맥을 잇는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미가 있다.
    『字音通考』는 경서의 구결과 언해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여주는 것으로 율계의 긴 강학생활의 산물이다. 경서에 나오는 글자의 字音을 정확하게 읽어야 한다는 의식의 소산으로 『奎章全韻』과 『玉篇』으로 『奎玉考異』를 만들고, 五書三經의 언해로 『諺解考異』를 만들어 이를 합한 것이다. 언해의 역사에 대한 해박한 이해와 경서의 字音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경서학습에 우선되어야 한다는 지론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당대 기존의 언해본을 바탕으로 경전의 번역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진행된 중요한 학술작업이다. 20세기 이후에도 이어진 언해에 대한 검토로서 연구사에서 적지 않은 의미가 있다.
    『四禮儀』는 『喪禮儀』에서 시작된 사례연구의 종합편으로 기존의 사례에 대한 성과를 좀 더 현실적인 맥락에서 조정했다는 데 의미가 있으며, 그 저술 자체가 주변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점은 여전히 기층에 활용되고 있던 전통 예절에 대한 호응을 확인할 수 있다.
    『稽古通編』은 전통 도덕의 부지에 일생을 쏟았던 율계의 관심과 입장이 피력된 율계판 『소학』으로 그 저작의 기본 정신은 천하가 변해도 道는 변하지 않으며 사람의 마음에 있는 지극한 이치는 일시적으로 흐려질 수는 있어도 다시 발휘될 날이 있다는 신념이다. 이는 「화동역대가」와 호응하며 夏商 이래 宋明까지의 중국의 사례와 新羅로부터 조선까지의 인륜을 밝히고 도덕을 실천한 사례 가운데 귀감이 될 만한 것을 모아 편집한 것이다.
    이 외에도 율계가 보여준 학술에 대한 상대적으로 공정하고 열린 시야는 음미할 만한 점이 적지 않은데 특히 ‘義理는 公物’이라는 인식 아래 선유와 다른 견해에 대해 구차하게 합치되려고 하지 않는 자세라든지 학술발전을 저해하는 붕당에 대한 비판적 언급 등은 경청할 만한 내용이 적지 않다. 물론 경제에 치우친 당대의 학문풍토에 대한 문제의식이 있었기 때문에 도학을 중시하는 언급이 많지만 그는 道學과 經濟를 엄연히 體用의 관계로 파악하여 性命을 말하면서 灑掃應對의 기본적인 도덕도 실천하지 않는 세태를 비판했다.
    율계는 자신이 성년이 된 이후 기거한 구례에서 여전히 전통시대 유학자로서의 풍모를 지키고 자신의 도를 고수하면서 묵묵히 자신의 학문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율계의 당대인식과 그 한평생은 지금의 시야로 평가하는 데 주저하지 않을 수 없다. 그의 時宜가 여전히 타당한 것인지에 대해 논의가 요청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Yulgye Jeong Gi (1879~1950) was a Confucian scholar who taught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n and around Hapcheol, Gyeongnam and Guryea, Jeonnam. As the first pupil of Jung Jae-gyu who continued the academic context of Nosa he continued to extend its academic field. At the age of about thirty, he wrote 『Dapgakseol(答客說)』 showing his understanding of time when the western civilization arrived upon the region and entire world was overturned with the sun and moon losing their light that the Chinese civilization became a barbarian and the man became a beast in the time that he determined to live his life path to be living with working on ‘ways of mindset for Confucian family’. He maintained the extreme ethics follower that ‘one is a beat, tree or plant if he lacks generosity and righteousness’, and he preached that, in this troubled time for the world, ‘one has to make good of one’s body alone’ as the ‘universal truth of all times’. He had the faith in that if he kept the right of ways in the Confucian teachings, even during the hard times, it would be the ‘foundation of peaceful time’ at some point of tine. As a poor Confucian scholar, he taught traditional academic field and kept the succinct posture of life with his conviction that carried him all through his life.
    Therefore, his scholastic publications reflect the trend of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hip that would be difficult to consider they were written such publications around the 1930s. 「Hwadongyeokdae-ga(華東歷代歌)」 had the style of Oyeonjeolgu (a poem with five phase pattern) to sing the histories of China and Joseon for the long-piece lyrics and it demonstrates clearly on certain aspects of his perception on civilization and history. 『Geunsarok Seopbongoi(近思錄葉本考異)』 is the historical evidence on the Geunsarok (introductory book for Confucian studies) that it has an implication in that he additionally supplemented the works of Kang Young. Unlike 『Sohak』 or 『Simgyeong』 that submitted various notes, the search on 『Geunsarok』 was not very active in Joseon, but it still has significant implication that it continues the context of the 『Geunsarok』 studies that had been handed down to the Seoin Faction since Sagye Kim Jang-saeng. 『Jaeuntonggo(字音通考)』 displays his profound interests in the phase and annotation (of Chinese language into Korean) of the Confucian classic that it is a byproduct of the long teaching career of Yulgye. As a product of awareness that the consonant of writings on Confucian classic had to be read accurately, 『Gyujangjeongwun(奎章全韻)』 and 『Okpyeon(玉篇)』 were used to make 『Gyuokgoi(奎玉考異)』, and with the annotation of Oseosamgyeong, 『Eonhaegoi(諺解考異)』 was made to combine them. He displayed his profound understanding on the history of annotation and exquisite understanding on consonant of Confucian classic with his principle to study first before taking on the Confucian classic learning. It has significant implication to study the history for review on annotation that was continued after the 20th century while being processed with the translation of the Scripture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annotated version of the time.
    『Saryeui(四禮儀)』 is the comprehensive collection of cases studies started out from 『Sangryeui(喪禮儀)』 that it adjusted the outcome on the existing cases in a little bit more realistic context, and the point that the publication was made by the request of his surroundings that it would affirm the positive response to the traditional etiquette that was still facilitated in the society. 『Gyegotongpyeong(稽古通編)』 is the Yulgye’s version of 『Sohak』 that depicted the interests and position of Yulgye who devoted his like in sustaining traditional ethics that the basic spirit of his publication that the right of way would not change even if the world changes and the rationale truth in the mind of people may be swayed momentarily but the days will come back to light as it was his conviction. It was responded with 「Hwadongyeokdaega」 to compile the cases of China from Xia Dynasty and Zhou Kingdom, followed by Song Dynasty and Ming Dynasty along with Silla and Joseon to disclose the morality to practice ethics in numerous cases to set the role model for all.
    In addition, there are significant aspects to consider with Yulgye’s relatively fair and open view toward the scholarship, and in particular, he had the perception that righteousness is the public object that there are contents to pay attention to, such as, his posture not to merge with other different opinion with Seonyu, criticizing posture toward the faction for various academic fields that interferes the academic advancement and so forth. Obviously, there was sense of issues on the academic tendencies of the time that was overblown to lean toward economy that there was significant mentioning to value Daoism but he understood the Daoism and economy as a relationship of strictly principle and application that he criticized the practice of the people for not even practicing most fundamental ethics in speaking of name to pour water, wipe it in response and so forth. The view on such a scholarship had become the driving force for buttressing his scholarship while defending his right of way as well as sustaining the posture as the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 in Guryea where he resided after his adulthood. However, his awareness of time and entire life of Yulgye still have certain hesitation to evaluate with the view of present time. There are still discussions to be made on whether his timeliness is still reasona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