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鄭逑 文學의 創作現場과 遺跡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Jeong Ku(鄭逑: 1543∼1620)’s Creation of literature and its Trace)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08.12
42P 미리보기
鄭逑 文學의 創作現場과 遺跡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29호 / 137 ~ 178페이지
    · 저자명 : 김학수

    초록

    이 글은 조선중기의 학자이자 문인이었던 寒岡 鄭逑의 문학창작의 현장과 관련 유적들을 분석, 정리한 것이다. 남명・퇴계 양문의 고제였던 정구는 17세기 초반 조선학계를 대표하며 유학, 특히 예학 부분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것과는 대조적으로 문학에는 크게 공을 들이지 않았고, 『寒岡集』 등에 전하는 작품의 수도 많지 않다. 그럼에도 정구는 소식의 적벽부를 매우 좋아한 古文 애호가였고, 시에 있어서는 朱子의 시를 좋아하였으며, 57세 때인 1599년에는 『古文會粹』, 『朱子詩分類』 등을 저술하기도 했다.
    정구는 78년이라는 긴 생애를 사는 동안 많은 사람을 만나 교유하며 창화했고, 때로는 사우들을 위해 애도의 글을 지어야 했으며, 다양한 사람들의 문자 청탁에도 응해야 했다. 이것이 비록 그가 문학적 창작활동을 달가와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 시대의 지식인으로 살아감에 있어 문학과 전혀 별개로 존재할 수 없었던 이유였다.
    정구 문학의 창작현장은 일상의 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정구는 성주 沙月里 柳村에서 태어났지만 그의 삶이 역사적인 주목을 받은 것은 31세 때인 1573년 창평산에 寒岡精舍를 낙성하면서부터였고, 이후 그는 檜淵草堂(40∼50대), 武屹精舍(60대), 칠곡의 蘆谷・泗陽精舍(70대) 등지로 거처를 옮기며 학문과 저술, 강학에 힘썼다. 한강정사는 추원과 학술의 공간, 회연초당은 유식과 강학의 공간, 무흘정사는 피세와 은둔, 궁리를 통해 주자의 삶을 체현하려 했던 공간, 노곡・사양정사는 만년강학처이자 고종처라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생활의 공간이자 학문의 공간으로 규정되어야 하겠지만 정구는 다른 어떤 곳에서보다 이곳을 노래한 시를 많이 남겼다는 점에서 창작의 공간이기도 했던 것이다. 정구문학의 창작현장과 유적을 검토함에 있어 이 지역을 우선적으로 다뤄야했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물론 정구 문학의 창작현장을 성주・칠곡 일원에 한정할 수는 없다. 영남 내에서도 가야산, 창녕, 함안, 창원 등지는 그의 문학과 관련하여 빼놓을 수 없는 지역이고, 여기에 사실상 전국에 걸쳐 있는 사환・경유・유상처까지를 포함한다면 그 범위는 더욱 확대될 수 밖에 없다. 이들 지역에 대한 연구는 차후의 과제로 남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trace the material and geographical remains of the creative activities by Jeong Ku who was one of the literati and Confucian scholar in the mid of the Chosun dynasty. As being well known, he was the representative grand student of Jo Sik (曹植: 1501~1572) and YI Hwang (李滉, 1501~1570) and devoted his whole life to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of li (). Accordingly it is not known he created literature and it is rarely easy to find some pieces of literature in the Collected Papers by Han Kangy. But during his long life -he died in his age 78- he traveled many areas of Southern Kyongsang province and other villages such as Dongbok(同福), Tongcheon (通川), Kangnung (江陵), Wonju(原州), Seongchon (成川), Hwoengssong (橫城) Chungju (忠州), Mokchon (木川) , Sahwan (仕宦). So it is not difficult to find historical sited related with his journey and activities.
    In this paper the author divides the relevant places of his activities into two categories: around Seongju (星州) and areas along the Nakdong river (洛東江). Even though he did not quite enjoy making poems for enjoyment, he left some poems which was produced in the places related with daily life such as the Academy of Hankang (寒岡精舍), the Garden of White Apicrot (百梅園), the Academy of Muheul (武屹精舍), the Acedemy of Nogok (蘆谷) and the Academy of Sayang (泗陽精舍) etc. The Mt. Chongpyeong , the Mt. Sudo composes the so called nine valleys of Muheul (武屹九曲) and the Academy of Nogok and Sayang was the places where he gave lectures just in the late part of his life. So the places and academies mentioned above were the space for living, creative activities of literature and self-cultivation embedded in the natural harmony.
    The villages this paper dealt with to understand the life of Jeong Ku were limited clearly to certain area but the space was definitely the center of his creative activities. But to analyze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s there needs to survey other places of Kyeongsang Province including Changnyeong, Changwon, Haman and Andong and, if possible, to the nation wide fur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