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젓새우잡이의 역사와 어로문화 (Opossum shrimp catching in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08.06
28P 미리보기
젓새우잡이의 역사와 어로문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도서문화』 / 31호 / 33 ~ 60페이지
    · 저자명 : 김준

    초록

    우리 식생활에서 새우젓만큼 오래된 음식문화를 찾기 쉽지 않다. 하지만 우리나라 젓새우 잡이가 언제 시작되었는지 명확히 알 수는 없다. 다만 송나라 사신 서긍의 『고려도경』 과서유구의 『난호어묵지』나 『임원경제지』 기록을 살펴볼 때 조선시대에는 중요한 어업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새우젓의 소비층은 왕을 비롯한 권력층은 물론 일반 민초들에게도 깊은 영향을 주었다.
    새우잡이 어업을 해선망(醢船網)이라고 하는데, 해선이란 젓[醢]을 담그는 배[船]를 의미한다. 즉 작은 생선이나 새우를 잡아 즉시 염장하여 젓갈을 담는 배를 말한다. 해선망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동력을 갖추지 못해 ‘멍텅구리배’, ‘젓중선’이라고도 한다. 지역에 따라 ‘곳배’, ‘꽁댕이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중선’은 기선이 도입되기 전 땔감이나 수산물을 싣고 강화에서 한강 마포나루를 돛에 의존해 오가던 배에서 유래했다고 전한다. 중선은 동력선이 등장하면서 중선은 개조되어 조기잡이와 새우잡이 배로 이용되었다. 이후 수산자원 보호, 인력난, 선원안전 등을 이유로 1990년대 보상 후 폐선되었다. 당시 전남 신안 낙월도와 전장포에 경기도 강화, 충남 지역 등에 100여 척의 젓중선이 조업을 했다.
    해선망의 그물을 펼칠 수 있는 수해와 암해가 있어 배의 좌우측에 각각 1개씩 자루그물을 달아 새우를 잡는다. 물이 살아나는 세물에 시작해 조금 전까지 하루에 네 번 양망이 가능하다. 해선망은 뭉퉁한 고물과 이물을 뭉툭한 상자모양의 무동력선이다. 특히 뱃머리인 이물은 강한 조류에 잘 견디고 암해를 잘 끌어 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선미보다 뭉툭하고 높게 만들어져 있다. 해선망 선원은 선장(사공), 영재(영자), 수동무, 동무, 화장 등 총 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새우잡이 철이 되면 해선망도 다른 고기잡이배처럼 세물에 뱃고사를 지냈다. 세물은 선주들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다. 바닷물이 살아나는 물때이기 때문에 그물어업을 하는 선주들은 세물에 조업을 나가며 ‘출어고사’를 지낸다. 해선망은 스스로 움직일 수 없어 선원들은 태풍을 비롯한 안전사고는 물론 어획량 자체가 자연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의례와 금기가 매우 엄격했다.

    영어초록

    Opossum shrimps pickled with salt is aseasoning unique to Koreans. It is as old as any food enjoyed by Koreans. According to Xuanhe fengshi Gaoli tujing (宣和奉使高麗圖景) ("Illustrated Record of Travel Experiences in Gaegyeong, Koreo’s capital") written by Song’s (China’s)envoy, Xu Jing (1091~1153), catching opossum shrimp was an important source of income for fishing households during the Koreo Dynasty. Opossum shrimps pickled with salt was an important seasoning for all Koreans, including those belonging to the noble class.

    The fishermen used box-shaped boats specially designed (with blunt-edged bow and stern) to salt small fish or shrimps right on the spot, to be used for seasoning. In early days, these boats could not move at all by themselves, as they had neither oars nor sails.
    Later, sail boats came to be used for shrimp catching. Over 100 boats engaged in shrimping in the sea off Jeonnam and Chungnam Provinces and Ganghwa were scrapped in the 1990s for various reasons, including the safety of fishermen.
    Nets were hung on both sides of the boat and fishermen pulled them up four times a day between flood and neap tides. The boat’s bow was higher than the stern. It was built to withstand strong currents and in a way that made it easy for the crew to pull up the net. A boat’s crew was comprised of five members, including the master. Like others on fishing boats, they held a ceremony of offering a sacrifice to spirits, praying for their safety, at the time of flood. Being unable to move for themselves, the crew was exposed to natural disasters and their catch depended on sheer luck. Thus, they were, naturally, superstitio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