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James Fowler의 신앙 발달단계에 대한고찰과 문제점 연구 (Die Betrachtung uber “Stufen des Glaubens” von James Fowler und der Streitpunkt)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08.06
22P 미리보기
James Fowler의 신앙 발달단계에 대한고찰과 문제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 / 18호 / 49 ~ 70페이지
    · 저자명 : 강문규

    초록

    교회의 전통적인 신앙(信仰)에 대한 인식은 현대 포스터모더니즘 시대에 들어오면서 그 본질과 범위에 있어서 매우 광범위해졌다. 그러므로 오늘날 신앙을 완전히 이해하고 인식 한다는 것은 심히 어려운 일이 되었다. 현재 포괄적인 신앙의 관점을 기독교 교육학적으로 숙고하여 정리한다면, “성숙(成熟)”, “발달(發達)”, “성장(成長)”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이 집중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발달심리학이 기독교 교육학에 적용 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Moran, 120). 그리고 보다 본격적으로 신앙을 발달적인 시각에서 보기 시작한 것은 1981년 제임스 파울러(James Fowler)가 “신앙의 발달단계(Stages of Faith)”를 발표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파울러의 신앙발달 이론은 종교적, 신학적인 계통에 있어서는 스미스(W. C. Smith), 니버(R. Niebuhr), 틸리히(P. Tillich)에게서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으며, 그의 발달 이론은 삐아제(J. Piaget)에게 기초 하면서 동시에 콜버그(L. Kohlberg)의 도덕발달 이론과 에릭슨(E. H. Erikson)의 심리 사회학 이론에 근거를 두면서 그의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이론을 전개한다. 파울러의 신앙이해에 있어서 포괄적이고 매우 보편적인 개념의 형성으로 인하여 기독교 공동체에서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그의 신앙발달 단계의 이론은 신앙의 발달이 일평생을 통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이해함으로써 신앙이해에 대한 전체적인 관점을 우리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의 이론은 기독교 교육학적인 연구를 좀 더 체계적이고 지속적이 되도록 가능케 하며 동시에 신앙의 부분만을 보는 것을 넘어서서 전인적인 것을 보게 하는 이론이라 할 수 있다. 파울러의 이론은 신앙을 발달심리학적으로 연구하여 신앙의 실천적인 면과 사회과학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기독교교육학의 양육적인 문제에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해 주고 있다. 그러나 그의 신앙발달 이론은 신앙을 어떻게 정의 하느냐의 문제인, 믿음의 정의문제(定義問題)를 비롯하여 몇 가지 제기될 수 있는 문제들이 있다. 본 소논문을 통하여 필자는 파울러 이론의 문제점들을 지적하면서 믿음의 총체적인 문제에 대한 인식에 관해 한국교회에 필요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Im Jahr 1981 entwickelte Dr. James Fowler eine bis heute starkbeachtete Theorie der Glaubensstufen, in der er die kognitionspsychologischen Theorien des moralischen und religiösen Urteils und Erkentnissen Eriksons zum Lebenslauf bezüglich der Herausbildung und Gestaltung von Identität miteinander verband. Fowlers Verbundmodell ist für der christlichen Erziehung und Bildung von besonderem Interesse, denn es verspricht einen weiteren Horizont als die durch die jeweilige engere Fragestellung begrenzten forschungen.
    Fowlers Theorie hat wie folgt die zwei wichtigen Auffassungen “faith”:
    1) Er erläutert ein fundamentales anthropologisches Erfordnis, weil der Glaube das Verhältnis zwischen den vielfältigen Stärken und Verbindungen, die unser Bestehen ernten, gründet. Fowler unterscheidet (im Anschluß an den vergleichenden Religionswissenschaftler Wilfred C. Smith) zwischen Religion und Glaube. “Faith”, viel mehr als “belief” oder Religion, ist der grundsäzlichste Verstandesbegriff bei der Suche des Menschen nach einem Zusammenhang zur Transzendenz.
    2) Bei Fowler befindet der Glaube in aufrechter Haltung in der Spannung zwischen normativ-theologischer und empirisch-sozialwissenschaftlicher Arbeit. Der Ausgebildete Theologe räumt aufrichtig ein, daß für die Entwicklung der Glaubensstufen eine Konzeption der höchsten notwendiger war. Er schließt sich vornehmlich an H. Richard Niebuhrs Theologie des radikalen Monotheismus an.
    Fowlers Glaubensstufen-Theorie hat ein grundlegendes Problem, das die Hierarchisierung bei jeder Stufen-Theorie ist. Denn es ist pädagogisch beachtlich, daß die Menschen die Schwierigkeiten ihres Lebens bewältig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교육 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