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15 개정 漢文科 敎育課程의 주안점과 특징 (Focus and Characteristic in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6.06
48P 미리보기
2015 개정 漢文科 敎育課程의 주안점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敎育論集 / 46호 / 5 ~ 52페이지
    · 저자명 : 장호성

    초록

    이 글은 2015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의 內容을 2009 改定 敎育課程과 비교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일관성 유지 및 대영역 설정의 타당성 제고, 학교급별 학습내용의 위계화에 개정의 중점을 두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지식과 기능을 합쳐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문화를 비롯한 인성 및 한자 어휘 활용과 같은 내용 요소를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 ‘학년별․학교급별 학습시간과 학습발달상황을 고려하여 중학교 학습 내용 감축’, ‘학교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교수․학습 및 평가 관련 내용 강화’를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의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에서는 한문 문장의 독해력과 함께 한자 어휘 학습, 인성 및 문화 소양 함양을 특별히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의사소통 능력’, ‘정보처리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인성 역량’, ‘심미적 감성’ 등의 다섯 가지를 한문과 교과 역량으로 설정하여 성격에 함께 제시한 것도 주목된다.
    ‘목표’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달리 <中學校 漢文>과 <高等學校 漢文Ⅰ>에 ‘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능력’을 별도의 세부 목표로 설정하였고, <高等學校 漢文Ⅱ>의 세부 목표였던 ‘한국 한문학’ 관련 내용을 제외하였다는 점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내용 체계’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달리 ‘핵심 개념’, ‘내용(일반화된 지식)’, ‘기능’ 등이 새롭게 추가되었고, 독해’, ‘문화’, ‘한문 지식’의 3개 영역에서 ‘한문의 이해’, ‘한문의 활용’의 2개 영역으로 변화되었다. ‘한문의 이해’ 영역에는 교육과정 내용 중 기능적 요소를 하나의 영역으로 설정하고자 ‘한자와 어휘’, ‘한문의 독해’를 ‘핵심 개념’으로 두었으며, ‘한문의 활용’ 영역에는 한문과 수업에서 실질적으로 다루어지는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한문과 인성’, ‘한문과 문화’를 ‘핵심 개념’으로 두었다. 그리고 ‘기능’은 ‘읽기’, ‘풀이하기’, ‘이해하기’, ‘조사하기’, ‘활용/적용하기’를 기본으로 하되, 각 핵심 개념의 구체적 내용을 고려하여 ‘표현하기’, ‘분석하기’, ‘토의․토론하기’ 등을 가감하였다.
    ‘성취기준’은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다루기 힘든 성취기준은 제외하거나 통합함으로써 학습량의 적정화를 제고하고자 했다.
    ‘교수․학습 및 평가’는 기존과 달리 ‘영역(성취기준 그룹)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는 방식을 택했다. 먼저 ‘영역(성취기준 그룹)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에는 각 영역 또는 성취기준 그룹에서 학습해야 할 요소를 모두 제시한 ‘학습 요소’와 성취기준 중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 진술이 필요한 항목에 한해 작성한 ‘성취기준 해설’, 선행 연구 결과에서 제시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중 해당 영역 또는 성취기준 그룹의 내용 요소를 학습하는 데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한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영역 또는 성취기준 그룹의 내용 요소를 평가할 때 중점을 두어야 할 사항을 중심으로 서술한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은 미시적 차원의 교수․학습 및 평가를 제시한 ‘영역(성취기준 그룹)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와 달리 한문과의 성격과 특성에 비추어 한문과 교수․학습 및 평가가 추구해야 할 철학, 가치 등과 함께 교과 역량의 계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거시적 차원의 교수․학습 및 평가 방향을 기술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ompared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of content in 2009 with 2015.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focus on content system consistency maintenance and setting the high domain of validity, hierarchic of school level of learning-content.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establish the ‘Knowledge and function’ and ‘Culture’, ‘personality’, ‘Vocabulary’, ‘considering learning of grade and progress in middle school learning content reduction’.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were reconstructed five part ‘Character’ and ‘Goal’, ‘Content system’, ‘Achievement standard’, ‘teaching and learning, evaluation’. First, ‘Character’ goals were underlined the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in real school’ and ‘improving evaluation of content’. Second ‘Goal’ part were emphasized to the character set to Chinese curriculum and competencies of the ‘communication skills’,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creative thinking skills’, ‘ability personality’, ‘aesthetic sensibility’. Furthermore, 2015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were changed <Middle School Classical Chinese> and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 Ⅰ> of ‘Language lives in utilization of capacity’.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 Ⅱ> part was excluded the ‘Korea Literature’. third, ‘Content system’ part were added ‘core construct’, ‘content (generalized knowledge)’, ‘function’, and changed two domain of ‘under standing of the Chinese’, ‘the use of Chinese’. Forth, ‘Achievement standards’ part were included all elements of learning in real schools, such as improving the adequacy of the amount of learning achievement standards. Finally, ‘Teaching and learning’, ‘Evaluation’ part was chosen ‘domain(achievement standard group)’ and ‘direction’. ‘Domain(achievement standard group)’ were presented to suitabl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factors in phase of grade. ‘Direction’ part presented the microscopic (achievement standard group) and macroscopic (philosophy and worth) dimensions to implement the curriculum development capabilities of Classical Chinese in light of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敎育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