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시통제경제하 백화점업계의 동향 (The Trends of the Department Store Industry under the Wartime Control Economy)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17.02
53P 미리보기
전시통제경제하 백화점업계의 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학연구 / 66호 / 145 ~ 197페이지
    · 저자명 : 오진석

    초록

    이 논문은 전시통제경제하에서 백화점이 배급통제정책의 전개과정에 어떻게 대응하였으며, 총동원체제 구축에 따라 백화점업계가 어떤 모습으로 변화해 갔는지를 검토한 연구이다.
    1930년대 백화점업계는 치열한 경쟁 속에서 첨단의 광고와 선전 기법을 활용해 소비심리를 자극하고 유행을 전파하여 ‘유행제조소’로서의 명성을 높이고 갖가지 영업전술을 기반으로 성장을 거듭해오고 있었다. 그런데 중일전쟁을 계기로 전시통제경제가 전개되면서 여기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사치품금지령’이 실시되면서 백화점의 주요 취급상품이던 사치품의 판매가 금지되었고, 중소상업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백화점의 영업을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고조되었다. 이에 따라 총독부 관료와 재계 대표, 백화점업계 대표로 구성된 백화점위원회가 조직되어 백화점 영업의 통제에 나섰다. 전시통제경제하에서도 총독부 관료와 독점자본간의 유착관계를 기반으로 형성된 ‘자치통제’ 시스템이 강고하게 작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백화점들의 영업성적은 전시기에 들어서도 오히려 개선되고 있었다.
    한편, 일제는 배급통제정책의 진전에 따라 백화점에게 생필품 공급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부여했다. 이에 따라 조선백화점조합이 결성되고 백화점들이 공동으로 경영하는 배급회사가 조직되었다. 전쟁의 전개양상이 태평양전쟁으로 확대되면서 백화점의 변모양상은 더욱 가속화하였다. 기존의 고급사치품을 판매하면서 만들어졌던 ‘사치의 전당’이라는 이미지는 배급통제정책을 일선에서 구현하는 일용필수품 배급기관으로 바뀌었고, 백화점이 집객을 위해 가지고 있던 전시기능과 광고기능은 사용 목적이 바뀌어 일제의 총동원정책을 선전하는 수단으로 변질되었다. 기존에 사적 이윤을 추구하는 자유주의 경영이념은 ‘공익’을 우선하는 국가주의 경영이념으로 대체되어 갔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tudy of how department stores responded to the rise of the rationing policy under the wartime control economy. It also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depart-ment store industry transformed itself within the establishment of the total mobilization system.
    In the 1930’s, the department store industry was engaged in fierce competition using cutting-edge advertising methods to stimulate consumer psychology. The department stores used business tactics of building its reputation as “trend-makers” to transmit trends to common consumers. However, the department stor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wartime control economy that arose due to the Sino-Japanese War. With the passage of the “Law on the Prohibition of Luxuries,” the department stores were prohibited from selling their main product lines of luxury goods. As small-to-medium-size businesses suffered, more voices called for restrictions on department stores. Consequently, Government-general officials, financial representatives, and department store representatives formed De-partment Store Committee to take charge of implementing controls on department stores. Even under the wartime control economy,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of-ficials and monopoly capital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of an “autonomous control system” for the department stores. Consequently, the business outcomes for the department stores continued to improve even under wartime conditions.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rationing policy under the Japanese, the department stores adopted the role of supplying necessities to consumers. The Joseon Department Store Cooperative was formed and the department stores formed a supply company that they jointly managed. As the war grew with the expansion of the Pacific War, the transfor-mation of the department stores also accelerated. The original image of department stores as “halls of luxury” that sold high-end luxury goods was changed as department stores became institutional suppliers of daily necessities under the rationing policy. The display function and advertising function that had attracted shoppers to department stores were reoriented to promote the Japanese policies of total mobilization. The previously liberal management philosophy which had chased private profit was replaced by a nationalist management philosophy that placed the public interest fir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