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고전종합DB 활용과 문제점 (Utilization of the Korean Classics DB and Limitation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1.11
35P 미리보기
한국고전종합DB 활용과 문제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59권 / 93 ~ 127페이지
    · 저자명 : 정만호

    초록

    한국고전종합DB(https://db.itkc.or.kr/)는 자료의 공유와 확산에 기여함으로써 한국학 발전에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특히 각주정보는 2010년부터 30년 계획으로 시행 중인 권역별거점연구소협동번역사업의 안정적 운영에도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구축 초기에 비해 성능의 발전, 정보의 증가 등 발전도 이루었지만 이용자의 입장에서 불편도 적지 않다. 본고는 한국고전종합DB가 보다 완전한 모습으로 발전하여 우리나라 고전 분야의 표준 DB로 성장하기를 기대하면서 문제점을 지적, 개선을 희망하였다.
    첫째, 불편한 성능을 지적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는데, DB의 성능은 이용자가 편의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상세검색의 영문 연산기호 기호 → ‘한/영’ 전환키를 누르지 않아도 되는 연산기호로 수정.
    ② 상세검색에서 검색 용어 입력 후 ‘검색’ 클릭 → ‘검색’ 버튼 대신 Enter키로 실행되도록 수정.
    ③ 연산기호의 설계 내용과 다른 결과 값 → 본래 설계 내용에 부합하도록 수정.
    ④ 입력창의 한자 입력 방법의 불편함 → Explorer 사용 당시의 기능 회복.
    ⑤ ‘고전번역서 각주정보’의 ‘검색결과 중 다음으로’ 버튼의 비활성화 → ‘검색결과 중 다음으로’ 버튼의 활성화로 수정.
    ⑥ ‘동시 스크롤’ 기능의 원문과 번역문 불일치 → 원문과 번역문이 대응되도록 하고, 식별 기호를 사용하는 방안도 고려.
    ⑦ ‘동시 스크롤’ 사용 중 ‘각주정보’로의 이동 및 복사 불가능 → ‘각주정보’의 복사 가능하도록 수정.




    둘째, 한국고전종합DB의 다양하고 전문적인 정보는 유용하지만 아쉬운 점도 공존한다.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각주정보는 번역서에 포함된 주석만을 포함함 → 이용자가 작성한 주석정보를 접수하여 정보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오류신고’와 유사한 형태의 ‘주석접수’ 운영.
    ② 각주정보의 상이한 정보 내용 → 원전의 내용과 번역을 제공하는 ‘표준각주’ 작성.
    ③ ‘고전용어 시소러스’의 특색 부족 → 백과사전이나 포털 사이트와 구별되는 ‘고전용어’ 중심으로 재구성.
    ④ ‘고전용어 시소러스’의 무의미한 관계도 → 視認性을 높이고 관계를 명료하게 정리.




    셋째, 번역문의 제공은 한국고전종합DB의 핵심이다. 그러나 지나친 한자어 사용, 원문의 형식에 얽매인 번역으로 인해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권역별거점연구소협동번역사업의 성과물이 지속적으로 탑재될 것이므로, 사업의 번역 방향을 가독성 제고 쪽으로 과감하게 전환, 가독성을 높여야 한다. 아울러 20년 이상 지난 번역은 재번역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넷째, 한국고전종합DB 이용의 부정적 측면을 생각하고 주의할 필요가 있다. 번역자가 고전DB를 지나치게 의존할 경우 원전 읽기를 소홀히 함으로써 깊이 있는 이해가 불가능해진다. 초학자들은 가공된 자료만을 접하게 되어 원천 자료의 해독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DB를 무한 신뢰하지 말고 ‘도구’로 활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Korean Classics DB (https://db.itkc.or.kr)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by contributing to distributing and publicizing classical documents. In particular, footnote inform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table management of the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ject among Regional Research Centers, a project which has been ongoing since 2010 with a 30-year plan. Although compared to the early years of its establishment the database has been improved in terms of its performance and the quantity of information, there is still room for enhancement, addressing the inconveniences experienced by users.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DB’s limitations and points for improvement with an expectation that the Korean Classics DB can be advanced further and becomes a standard database in the field of Korean Classics.
    First, this article identied some inconvenient performance issues and proposed suggestions. The performance of the DB should prioritize the convenience of consumers. The followings are the specific contents.
    ① The English symbols of operation in advanced search → New symbols of operation that do not require the use of the English/Korean key.
    ② After entering a search term, users must click the search button → Users should be able to search the term by pressing the enter key.
    ③ The search design through the symbols of operation does not produce the desired results → The search outcome should follow the original search design.
    ④ The inconvenience in entering Chinese characters into the search box → Need to recover the function that was available when the Explorer browser was available ⑤ Deactivation of the “Next within the searched results” button in the footnote information under classical translations → Need to activate the “Next within the searched results” button ⑥ The simultaneous scrolling function does not work consistently for both the original and translated documents. → The original and translated documents should correspond. May consider adopting the identification symbols.
    ⑦ It is impossible to move to the “footnote information” and copy contents while using the simultaneous scrolling function. → Users should be able to copy the content of the “footnote information.” Second, although the diverse and professional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Korean Classics DB is useful, there is some room for improvement, which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① The footnote information only contains footnotes included in the translated documents. → May consider having a footnote registration system, something similar to “report an error,“ in order to increase the volume of information by registering the footnotes users made.
    ② The format of footnote information varies → A standardized footnote style that provides both the original content and translation.
    ③ The features of “classical term thesaurus” are lacking → May need to reconfigure it centered around the classical terms, which may be different from encyclopedias or portals.
    ④ Meaningless relationship diagrams in the classical term thesaurus → Need to increase visibility and make the relationship diagram clear.
    Third, providing translated documents is the core function of the Korean Classics DB, but because of the excessive usage of Chinese characters and translations that follow the formality of the original documents, ordinary users are not able to access them conveniently. As the results generated by the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ject among Regional Research Centers will continue to accumulate, the focus of the translation business should be drastically changed into the improvement of readability. to ensure that readability is enhanced. Furthermore, translations that were completed more than 20 years ago should be retranslated.
    Fourth, we need to carefully think about the negative aspects of using the Korean Classics DB. If translators excessively rely on the DB, it will hinder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texts as they may neglect opportunities to read them. As junior scholars read translated documents, the abilit to read the original text may decline. It is important to use the DB simply as a tool without placing indefinite confidence in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