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매화점장단의 구조와 원리 (The Structure and Principles of Maewhajeom-jangd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2.06
37P 미리보기
매화점장단의 구조와 원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71권 / 211 ~ 247페이지
    · 저자명 : 류속영

    초록

    이 논문은 한국 전통 가곡의 장단에 관한 연구이다. 가곡장단에는 10점 단위로 반복해서 치는 장구장단과 5점 단위로 반복해서 치는 매화점장단이 있다.
    여기서 장구장단이란 가곡장단을 장구라는 악기로 쳐서 나타내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때 장구를 담당하는 연행자는 장구 소리를 다른 연행자들에게 들려줌으로써, 노래와 관현반주가 서로 조화롭게 진행될 수 있게 해야 한다. 한편, 매화점장단은 가자(歌者)가 스스로 치는 가곡장단으로서, 여기에 맞추어 노래를 부른다. 이때 가자는 어떤 물체의 평면 위에 상하좌우 즉 동서남북과, 중앙이라는 다섯 방향의 각 지점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 돌아가며 한 손으로 치게 된다. 그렇게 방향과 위치가 각기 다른 5개의 점을 치는 모양이 5장의 꽃잎으로 이루어진 매화 꽃송이를 닮았다고 해서 매화점장단이라는 이름이 생겨났다.
    1872년에 박효관이 편찬한 『가곡원류』에는 매화점장단의 악보가 그림 형태로 수록되어 있다. 5개의 점들이 세로로 ‘흑-백-흑-백-흑’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데, 여기서 흑점은 2박의 시가(時價)를 나타내는 부호로서 ‘장(長)’점에 해당하고, 백점은 1박의 시가를 나타내는 부호로서 ‘단(短)’점에 해당한다. 매화점장단의 반복 단위가 되는 5개의 점이 ‘장-단-장-단-장’의 순서로 배열되어서 8박 길이의 장단 토막 하나가 완성된다는 사실을 그렇게 표시했던 것이다.
    그런데, 『가곡원류』에서 이 5개의 점들이 위치한 방향은 ‘중-좌-우-중-중’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 형태는, 매화점장단을 ‘상-좌-우-중-하’의 순서로 쳐야 한다는 사실을 박효관 나름의 기보 방식으로 표현한 것일 따름이다. 『아양금보』에서처럼, 5개의 점을 상하좌우와 중앙에 각각 한 점씩 배치한 형태로 매화점장단의 모형을 그려놓고 점 안에 번호를 매겨 ‘상-좌-우-중-하’의 순서를 나타낸 사례도 있다. 중요한 것은, 매화점장단보에 표시된 5개의 점들이 ‘장-단-장-단-장’과 ‘상-좌-우-중-하’이라는 두 가지 장단 체계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매화점장단의 구조와 원리는 이 두 장단 체계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hythmic Pattern called Jangdan in Korean traditional Gagok. There are two types in Gagok-jangdan. One is Janggu-jangdan, which is the type played repeatedly by 10 spot unit. The other is Maehwajeom-jangdan, which is the type beaten by a unit of 5 spot.
    Janggu-jangdan means the way of playing Gagok-jangdan with beating musical instrument of janggu. The player of janggu plays the janggu first and lets the other musicians hear its sound before starting the performance. That’s because the player of janggu should lead the other players to sing or play his musical instrument in harmony. In contrast Maewhajeom-jangdan is the type that a singer himself beats the janggu and start singing to the beat. The singer sings beating 5 spots: north, south, east, west, middle of the surface of an object with one hand in a regular order. Such motions were thought to resemble the apricot flower which has five floral leaves and the name of Maewhajeom-jangdan stemmed from this.
    『Gagokwollyu』 written by Park Hyogwan in 1872 contains musical notes of Maewhajeom-jangdan illustrated in which five dots are arranged in sequences of black-white-black-white-black color. The black dot marks binary beat, the white dot marks one beat. This musical notes tell us that Maewhajeom-jangdan use one unit which binds five dots with 8 bea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