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로의 장자 심판 예고 단락(출 4:21-23)과 연결하여 본 출애굽기 4장 24-26절의 신학적 해석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Exodus 4:24-26 in Connection with the Pronouncement of Judgment on Pharaoh’s Firstborn(Exodus 4:21-23))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4.09
33P 미리보기
바로의 장자 심판 예고 단락(출 4:21-23)과 연결하여 본 출애굽기 4장 24-26절의 신학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약학회
    · 수록지 정보 : 구약논단 / 30권 / 3호 / 361 ~ 393페이지
    · 저자명 : 주은평

    초록

    출애굽기 4장 24-26절은 그동안 많은 학자들에게 의문과 논란을 야기해 온 본문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출애굽기 4장 24-26절 단락을 21-23절과 무관한 독립된 단락으로 보았다. 그 주요 논쟁의 핵심은 모세가 여호와의 부름에 순종하여 애굽을 향해 가는 길에 모세의 가정 남자인 누군가를 죽이려고 하셨는지가 핵심 논점이었다. 이 상황 속에서 주인공인 모세의 역할은 침묵 속에 있고 갑자기 십보라가 등장하여 아들에게 할례를 시행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성경은 이 사건에 관한 어떠한 이유나 배경을 설명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출애굽기 4장 21-23절과 다음 단락인 24-26절을 연결하여 탐구하려고 한다. 두 단락이 전혀 다른 심판 대상을 언급하고 있지만, 두 단락의 연결점은 ‘장자 심판 모티브’이다. 출애굽기 4장 18-31절은 여호와의 심판을 주제로 기, 승, 전, 결로 전개하는 서사적 연결 구조를 이루고 있다. 저자는 21-23절의 문맥 속에서 바로의 장자를 심판하는 예고 단락을 앞에 제시하고 다음 단락 24-26절에서 여호와께서 남성 대명사로 표현된 누군가를 죽이려고 하신다. 히브리 성경은 이 남성 대명사를 모세라고 지칭하지 않는다. 끝까지 죽이려고 하신 대상의 정체는 알 수 없다. 그래서 다양한 추정과 가정과 논란이 폭증된다. 그러나 출 4:18-31을 기, 승, 전, 결의 구조로 연결된 한 단락으로 이해한다면 출애굽기 4장 24-26절 속에서 여호와께서 죽이려고 하신 대상인 남성 대명사로 표현된 정체를 특정할 수 있다.
    출애굽기 4장 21-23과 24-26절 두 단락의 공통점은 모두 여호와의 심판이 핵심이다. 바로가 여호와의 소유된 백성 이스라엘을 자신의 소유로 여기고 놔 주지 않는 것에 대한 심판이 예고된다. 다음 단락은 모세의 가정에 대한 심판이다. 모세는 자신의 아들에게 할례를 수행하지 않았다. 할례는 하나님의 소유된 백성이라는 할례 언약의 사실적 증거이다. 모세가 아들에게 할례를 이행하지 않은 것은 하나님의 소유라는 사실을 부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여호와의 소유권을 부정하는 바로의 행태와 동일한 의미로 볼 수 있다. 하나님은 모세 가정의 남성 대명사로 묘사된 ‘그를’ 죽이려고 하신다. 두 사건 모두 여호와의 심판으로 연결된다. 두 사건의 공통점은 여호와의 소유권 부인에 대한 ‘심판’이고 그 대상이 ‘장자’로 연결된다. 하나님의 소유권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이 심판 대상이 아니라 그를 여호와의 ‘장자’로 인정하지 않는 ‘장자’에 대한 심판이다.
    이러한 공통점으로 두 문맥을 연결하여 보면 21-23절 단락에서는 바로의 ‘장자’가 공격을 받아 죽임을 당하는 것이고, 24-26절은 모세의 ‘장자’가 공격을 받아 죽임을 당하게 되는 것이다. 전후로 연결된 구절이기에 23절에서 언급된 심판 대상 ‘장자 모티브’가 다음 24절에서 인칭 대명사로 지칭하는 모세의 ‘장자 모티브’로 연결하여 볼 수 있다.
    출애굽기 4장 21-23절 그리고 4장 24-26절을 전자가 ‘심판 예고 단락’으로 그리고 다음 단락을 ‘심판 적용 단락’으로 이해한다면 여호와께서는 모세를 죽이려고 찾는 것이 아니라 그의 장자 게르솜을 찾아 죽이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히브리 성경 본문은 죽이려는 대상을 모세로 지칭하지 않고 남성 대명사로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출애굽기 4장 18-31절을 기, 승, 전, 결 구조로 연결된 서사 구조로 보면서 여호와 주권과 불순종에 대한 심판 메시지를 신학적인 함축으로 제시하는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영어초록

    Exodus 4:24-26 has long been a source of perplexity and debate among scholars. Previous studies have typically treated this passage as an independent unit, separate from the preceding verses(Ex. 4:21-23). The main controversy has centered on whether Yahweh intended to kill some male within Moses' household, despite Moses’ obedience in heading towards Egypt as commanded by Yahweh. In this perplexing scenario, Moses remains silent while Zipporah intervenes by circumcising her son, thereby resolving the crisis without further explanation or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ole of Exodus 4:21-23 in relation to the subsequent passage. Traditionally, these verses have been interpreted independently; however, this research proposes that they should be read as a contiguous unit. These passages are contextually linked, despite mentioning different subjects of judgment. The overall structure unfolds a coherent narrative of divine judgment, progressing logically through stages of anticipation, development, climax, and resolution.
    The author of Exodus appears to construct a contextual continuity, first presenting a forewarning of judgment on Pharaoh’s firstborn based on a prior implication of judgment, followed by Yahweh’s intention to kill an unnamed male member of Moses’ household. The specific identity of this male is not clarified in the text, leading to numerous speculations and debates. However, understanding Exodus 4:21-26 as a unified structure allows us to identify the male pronoun's referent more precisely.
    This research seeks to connect the pronouncement of judgment on Pharaoh’s firstborn in Exodus 4:21-23 with the subsequent judgment on the male member of Moses’ household in Exodus 4:24-26. The commonality between these passages is the central theme of Yahweh’s firstborn judgment. Pharaoh faces judgment for refusing to release Yahweh’s firstborn, Israel, thereby resulting in the forewarning that Pharaoh’s own firstborn would be killed. Similarly, the judgment on Moses’ household arises from the failure to perform circumcision, thereby not recognizing Yahweh's covenantal ownership. In both cases, the object of judgment is tied to the concept of the firstborn, reflecting the broader theological theme of divine ownership and covenant fidelity.
    Circumcision, as a sign of the covenant, signifies the Israelites' acknowledgment of their belonging to Yahweh. Moses’ neglect in circumcising his son implicitly rejects Yahweh’s ownership, paralleling Pharaoh’s actions. By viewing these passages as a single narrative unit, Yahweh’s attempt to kill the male figure in Moses’ household serves as a direct application of the judgment principle previously outlined. Therefore, the threat to kill Moses’ firstborn is an extension of the judgment theme.
    Connecting these contextual elements, the passage indicates that while Exodus 4:21-23 anticipates the judgment on Pharaoh’s firstborn, Exodus 4:24-26 applies this judgment principle to Moses’ household, specifically targeting his firstborn, Gershom. The absence of Moses' name and the use of a male pronoun in the Hebrew text underline this interpretative possibility. This integrated approach reveals a coherent structure progressing through stages of divine judgment.
    In conclusi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Exodus 4:18-31 can be understood as a unified passage illustrating a divine firstborn judgment motif. The text connects the forewarning of judgment on Pharaoh’s firstborn with the immediate application of judgment on Moses’ household for covenantal disobedience. This linkage underscores the broader theological theme of recognizing Yahweh’s sovereignty and the consequences of covenantal breach, thereby providing a deeper insight into the passage’s theological implic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약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