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로마서 7장 14-25절에 고백된 내적 갈등에 대한 현대심리학적 해석 – 자기심리학을 중심으로 (Modern Psychological Interpretations on the Inner Conflict Confessed in Romans 7:14-25)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3.06
21P 미리보기
로마서 7장 14-25절에 고백된 내적 갈등에 대한 현대심리학적 해석 – 자기심리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장신논단 / 55권 / 2호 / 197 ~ 217페이지
    · 저자명 : 이재현

    초록

    이 연구는 로마서 7장 14~25절에 고백된 내적 갈등에 대해 현대심리학적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이 본문이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특별히 현대심리학을 대표하는 네 명의 심리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S. Freud), 카를 융(Carl Jung), 자크 라캉(J. Lacan), 하인즈 코헛(Heinz Kohut)과의 대화를 진행한다. 이러한 네 명의 현대심리학자들과의 대화는 그들의 심리학 이론이 내포한 비기독교적 세계관으로 인해 우리의 성경 이해를 왜곡할 위험성을 수반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현대심리학과의 대화는 “타락했지만 여전히 하나님의 은사를 입은 그 세속지성들 속의 진리의 빛”(칼뱅)을 통해 성경의 의미를 오늘에 맞게 새롭게 발견하는 일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현대심리학과의 대화는 로마서 7장의 화자와 비슷하게 오늘날 신앙인들이 경험하는 그들의 내적 갈등에 대해 어떻게 목회적으로 대처할 것인지에 대한 실천적 지혜를 제공할 것이다.
    이제껏 로마서 7장에 대해 시도된 다양한 현대심리학적 해석은 저마다 의미 있는 시사점들을 던져준다. 먼저 프로이트정신분석학은 현대인들이 과거 유대인들처럼 율법에 매여 살지는 않지만 여전히 유사한 초자아의 지배 아래 있음을 깨닫게 한다. 한편 융심리학은 우리가 외면한 자신의 무의식적 측면이 소위 ‘그림자’의 모습으로 우리 안에서 우리의 자아와 갈등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설명해준다. 라캉 심리학은 우리의 무의식적 욕구와 초자아의 요구가 역설적이게도 서로 강화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생각해보게 한다.
    한편 필자가 생각하기에 우리가 로마서 7장을 이해하는 데 특별히 의미 있는 조명을 던져주는 현대심리학이 바로 코헛의 자기심리학이다. 자기심리학은 특히 그리스도 안의 새 사람의 의미에 대한 새로운 심리학적 통찰을 제공한다. 즉 우리의 죄와 수치스러운 면을 잘 아시면서도 그런 우리 모습 그대로를 수용하시는 그리스도의 마음을 우리가 알고 그 마음을 우리 안에 내면화함으로써 우리 안에 새로운 인격이 형성되어가는 과정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잘 설명해준다. 이런 자기심리학적 기독교 이해는 교회공동체가 그리스도와 함께 내적 갈등과 수치심에 빠진 사람들에게 수용적 자기대상 역할을 감당함으로써 공동체가 함께 그리스도의 형상을 이루어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처럼 자기심리학을 비롯한 현대심리학과의 대화는 우리로 하여금 성경이 말하는 영적 변화를 어떻게 현실에서 구현해갈 것인지 실천적 방안을 마련할 수 있게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Romans 7:14~25 through conversation with modern psychological theories. The four partners of this conversation are Sigmund Freud, Carl G. Jung, Jacques Lacan, and Heinz Kohut. Dialouges with these secular psychologists run the risk of distortion in our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and the Bible owing to the influence of their unbiblical world-views. However dialogues with these modern psychologists can enlighten our understanding of the scripture through “the light of truth which is admirably displayed in their works” (Calvin).
    Various psychological interpretations enlighten the various aspects of the messages hidden in Romans 7. First, the Freudian psychoanalysis reminds us of the inner struggle modern people experience with the demands of their super-ego although their lives are not entangled with the demands of the Law as the ancient Israelites were. On the other hand, the Jungian psychology explains how the disregarded aspects of our mind return to our consciousness in the form of ‘shadow’ that contends against our will. The Lacanian psychoanalysis shows how the demands of the Law and the desires of our unconscious mind are reinforcing each other like the connected two sides of Möbius strip.
    It is also Kohut’s self-psychology that sheds a new light on the meaning of Romans 7 and 8, especially on the meaning of the new born person in Christ. It explains how our personality is newly formed by integrating Christ’s love and grace that accepts us as we are despite our sinful and shameful sides. Likewise the Christian community can function as the image of the Christ that accommodates our weakness and flaws, enabling us to mirror God to one another. By having conversations with modern psychologies in this way, we can find a practical way to help God’s people achieve spiritual change and realize God’s image in their daily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신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