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랑의 관계성 회복과 치유에 대한통전적 이해- 누가복음 10장 27절을 중심으로 -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Recovery of Loving Relationship and Healing: The Verse of Luke 10:27)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7.09
32P 미리보기
사랑의 관계성 회복과 치유에 대한통전적 이해- 누가복음 10장 27절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56호 / 377 ~ 408페이지
    · 저자명 : 김동영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누가복음 10장 27절을 중심으로 하여 사랑의 관계성 회복과 치유에 대하여 통전적으로 이해해 보는 것에 있다. 이 글은 종교개혁자들이 강조한 하나님의 말씀의 본질을 사랑의 관계성 안에서 고찰하는 가운데, 종교심리학과 영성학 사이의 학문 간의 대화의 방법을 통하여 치유와 상호 돌봄에 대하여 탐구한다. 하나님의 말씀의 본질은 사랑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사랑 그 자체’이시기 때문이다(요일 4:16).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일체 하나님은 사랑 안에 함께 임재해 계시며, 사랑으로 이루어지는 관계의 공간을 창조해 가신다. 인간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형상에 따라 지음을 받은 거룩한 관계적 존재이다.
    종교심리학과 영성학의 관점에서, 죄란 깨어진 관계와 단절의 상태를 가리킨다. 치유(healing)란 깨어진 관계를 극복하고 사랑의 관계(loving relationship)를 회복하는 것을 가리킨다. 사랑의 관계성 안에서의 치유는 다음 세 가지 측면들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온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 나와 하나님과의 관계(self-divine relationship); 2) 나와 나 자신의 관계(self-self relationship); 3) 나와 다른 사람과의 관계(self-others relationship).
    “우리는 서로 사랑하는 만큼 안다”(Tantum cognoscitur quantum diligitur). 상호 내주하는 사랑의 공간 안에서, 우리는 하나님을 알고, 우리 자신을 알고, 나아가 우리 이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호 내주하는 관계의 망 안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을 기초로 하여 우리 자신을 사랑할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을 사랑할 수 있다. 종교개혁자들이 강조하는 것처럼, 우리는 하나님의 은혜를 믿음으로 받아들임으로써 구원에 이르는 된다. 또한 우리는 구원받은 성도들로서 그리스도 안에서 선한 행위와 거룩한 삶의 열매를 맺으면서 살아가야 한다. 상호 내주하는 사랑의 공간 안에서,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 긴밀히 연관되어 있는 것처럼, 우리의 칭의의 삶과 성화의 삶은 깊게 연관되어 있다.
    종교심리학과 영성학 사이의 학문 간의 대화의 방법론은 ‘하나님, 나, 그리고 공동체’의 사랑의 관계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학문 간의 대화의 방법론은 인간의 발달과 영적성숙의 과정의 상호 연관성을 이해하게 하며, 관계적 자기 형성과 관계적 신앙공동체 형성의 과정을 고찰하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학문 간의 대화의 방법론은 상호 내주하는 사랑의 공간 속에서 분열된 자기가 관계적 자기로, 관계적 자기가 사회적 자기로 발달적으로 변화하여 나아가는 것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ccomplish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recovery of loving relationship and healing by using the verse of Luke 10:27. More specifically, while exploring love as the essence of the word of God which had been paid attention to by religious reform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cess of healing and caring by usi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psychology of religion and Christian spirituality. The essence of the word of God is love because 'God is love'(1 Jn 4:16). Trinity, who consists of three persons--the Father, Son and the Holy Spirit, is present in the state of love and establishes continuously the space of loving relationships. A human being, who i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is a holy relational being.
    From a perspective of psychology of religion and Christian spirituality, sin is a kind of broken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disconnection. Healing refers to the overcoming of the broken relationship and to the achievement of the recovery of loving relationships. Healing within the loving relationships occurs in the mutual interchange of the following three dimensions: 1) self-divine relationship, 2) self-self relationship, and 3) self-others relationship.
    "We know as we love one another"(Tantum cognoscitur quantum diligitur). In the space of mutual presence of love, we are able to know God, we are able to know ourselves, and we are able to know neighbors. And in the web of relationships, based on the love of God, we enable to love ourselves, and we enable to love others. As religious reformers point to it, we can receive justification by faith through the grace of God. As the children of God, we need to have good behavior and to show the fruit of the holy life. In the space of mutual presence of love, as the love of God is deeply related to the love of neighbor, the life of justification is deeply related to the life of sanctification.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psychology of religion and Christian spirituality helps us to understand the interrelatedness of 'God, person, and community.' This interdisciplinary approach leads us to explore the mutual relation between human development and spiritual maturity, and to understand the formation of the relational self and the formation of the relational community. Furthermore, this interdisciplinary approach guides us to realize the transformational process from the scattered self to the relational self, and from the relational self to the social self within the space of mutual presence of l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