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정규범 코드(household code)에 나타난 에베소서 교회론: 에베소서 5장 21-33절 중심으로 (The Ecclesiology of the Ephesians in Household Code: Focusing on Ephesians 5:21-33)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4.08
29P 미리보기
가정규범 코드(household code)에 나타난 에베소서 교회론: 에베소서 5장 21-33절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피어선신학논단 / 13권 / 2호 / 115 ~ 143페이지
    · 저자명 : 최영숙

    초록

    가정규범으로 불리는 에베소서 5장 21-33절은 1세기 가부장적 사회에서 남성중심의성(性) 이데올로기로 해석되어왔다. 이 본문은 오랫동안 에베소서 전체 문맥과 주제를고려하지 않은 채 가정에서 남녀의 위계질서를 지지하는 해석이 주류를 차지했다. 과연이 본문은 차별적 성(性) 이해가 반영된 것으로서 현대사회에는 적용될 수 없는 비판과분석의 대상일 뿐인가? 이 논문에서는 이런 해석을 지지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 본문은 당시 유대사회와 그리스-로마 사회가 자행했던 가부장적 폐단을 비판하고, 교회가앞장서서 인간 상호관계의 지배와 차별을 거부하며 퇴보적인 관습을 타파하는 본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가정규범을 통해 교회와 그리스도의 관계를 보여주며, 또한 교회의 축소판인 가정을 통해 에베소서 전체에 흐르고 있는 핵심 주제인 교회론의 초석을다지고 있다는 것을 밝히는 데 있다. 이 본문과 평행인 골로새서의 가정규범에는 교회와 그리스도의 유비관계가 없다는 점에서도 에베소서의 가정규범은 교회론적이라는 것이 분명하다. 아울러 가정규범이 당시 가정에서 요청되는 행동지침을 제시한 것은 바로교회의 중요한 사명이라는 것을 제안할 것이다. 또한 교회와 그리스도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교회의 본질이 무엇인지 가정규범을 통해서 논의할 것이다. 가정규범이 가정의 세 그룹을 등장시키지만 이 글에서는 교회-그리스도의관계를 아내-남편의 유비관계로 말하고 있는 5장 21-33절만을 다룰 것이다. 만약 이본문이 가정 또는 남녀의 위계질서로 해석된다면 오늘을 살고 있는 수많은 사람들이불편해할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이 본문의 새로운 해석시도는 오늘의 사회에 큰 울림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Ephesians 5:21-33, the so-called Household Code, has been interpreted as a male-centered gender ideology in a first-century patriarchal society. This text has long been dominated by interpretations that support a hierarchical orde of men and women in the household, without considering the full context and theme of Ephesians. Is this text only subject to criticism and analysis that is not applicable to the modern society? This paper does not support this interpretation. Rather, it can be interpreted as a text in which the church takes the lead in rejecting domination and discrimination in human interactions and overthrowing regressive practic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Christ through the Household Code. It also reveals that the household as a microcosm of the church lays the groundwork for ecclesiology, a central theme that runs throughout Ephesians. It is clear that the Household Code in Ephesians is ecclesiological in the sense that the parallel passage in Colossians does not have the analogy of the church and Christ. I will discuss how the church and Christ are inextricably linked and what the nature of the church is through the Household code. Although the Household Code refers to three groups of the household, this article will focus only on 5:21-33, which speaks of the church-Christ relationship as a wife-husband relation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