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어 텍스트 읽기이해에서 한국인 학습자의 관계절 처리 양상에 대한 연구 (Relativsätze in der lernersprachlichen Sprachverarbeitung beim Lese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7.05
24P 미리보기
독일어 텍스트 읽기이해에서 한국인 학습자의 관계절 처리 양상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교육 / 68권 / 68호 / 25 ~ 48페이지
    · 저자명 : 김근혜, 이미영

    초록

    외국어교육에서 듣기, 말하기, 쓰기와 함께 외국어 교육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읽기’이다. 일상적인 정보 습득 과정을 보더라도 시각적으로 얻는 정보의 양이 엄청나다는 것을 감안하면 외국어를 통한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한 외국어 학습에서 읽기는 결코 소홀히 다뤄져서는 안 될 분야이다.
    읽기란 주어진 텍스트의 철자, 단어 및 문장 형태의 판별 및 분석을 넘어 이러한 언어적 요소들이 이루는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필요에 맞게 정보를 정리 및 도출해 내는 인간의 인지적인 행위이다(Ehlers 2006, 31-33). 그리하여 외국어 교육에서는 학습자가 읽기이해에 있어 언어적(문법적)인 하위 층위에서의 처리와 내용적 측면에서의 상위 층위의 처리를 모두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는 것이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학습자의 언어적 층위에서의 처리에 초점을 맞추어 외국어 학습자가 읽기를 수행함에 있어 겪는 인지적인 과정과 읽기 시 직면하는 어려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중점적으로 살펴볼 언어적 현상은 독일어 학습자들이 읽기 이해에서 특히 난항을 겪는 관계절이다. 독일어 텍스트를 읽다 보면 4-5줄로 이루어진 긴 문장들이 많은데 이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관계절이 삽입되어 있다. 관계절이 들어간 긴 문장은 학습자들의 문장 처리에 어려움을 유발하여 전체적인 내용 이해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읽기 과정에서 관계절 처리와 관련하여 어떠한 현상들이 발견되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지금까지 아동의 L1 습득을 위주로 수행되어 왔다(대표적으로는 Diessel 2007, Brandt/Diessel/Thomasselo 2008가 있다). 그러나 L2 독일어 학습과 관련해서는 국내외 연구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학습자의 관계절 처리 양상을 포착해 내어 이를 토대로 독일어 교육에 있어 교수법적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2장에서는 우선 다양한 언어들에서 나타나는 관계절의 문법적인 특징을 비교하여 언어별로 관계절이 가지는 유사점 및 차이점들을 살펴본다. 이어서 3장에서는 관계절 처리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관계절 습득 및 처리에 대한 어떠한 현상이 관찰되었고 또 어떠한 설명가설들이 제기되었는지를 짚어볼 것이다. 4장에서는 대학생 독일어 학습자가 텍스트 읽기 과정에서 관계절을 어떠한 방식으로 처리하며 어떠한 어려움을 겪게 되는지를 조사하여 분석한 경험연구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는 본고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독일어 관계절 교수에 있어 몇 가지 제언하며 글을 마무리한다.

    영어초록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eine Studie vorgestellt, in der die lernersprachliche Verarbeitung von Relativsätzen beim Lesen bei drei koreanischen Studierenden untersucht wurde. Hierfür führten die Lerner zunächst eine Textverstehensaufgabe durch und nahmen anschließend an introspektiven Interviews teil. Die Lerner äußerten sich z.B. darüber, wie sie Relativsätze verstanden und dabei vorgingen, sowie mit welchen Problemen sie hierbei konfrontiert wurden. Folgendes wurde dabei festgestellt: 1) Die Lernenden versuchen im Leseprozess zunächst den Hauptsatz vom Relativsatz zu isolieren, indem sie Subjekt und Verb des Hauptsatzes identifizieren und dabei den Relativsatz absichtlich ausschließen. Erst wenn der Hauptsatz verstanden wurde, versuchen sie den Relativsatz zu lesen. Diese Strategie scheint zum Teil im Unterricht erlernt worden zu sein. 2) Beim Verarbeiten von Relativsätzen sind die Lernenden übermäßig auf lexikalische Informationen konzentriert, ohne dabei vorhandenes grammatisches Wissen zu aktivieren. 3) Die Lernenden scheinen Subjekt-Relativsätze leichter zu verarbeiten als Objekt-Relativsätze, z.B. mit dem Relativpronomen im Dativ, was in der Forschung auch beim kindlichen L1-Spracherwerb festgestellt wurde. 4) Lerner tendieren dazu, nominale Satzelemente (Nomen od. Nominalphrasen), die an einer vorderen Stelle des Relativsatzes stehen, als Subjekt zu interpretieren. Diese Verhaltensweisen von Lernenden (3 und 4) können nach einem an der Konstruktionsgrammatik ausgerichteten Ansatz zum Spracherwerb wie in Diessel 2007 erklärt werden. Demnach lernen die Lernenden in einer frühen Phase der Sprachentwicklung Konstruktionen mit transitiven Verben, in denen die syntaktischen Funktionen fest mit semantischen Rollen verbunden sind (Subjekt-Agens und Objekt-Patiens). Da es sich beim Agens um ein willentlich handelndes Wesen handelt, trägt das Subjekt des Satzes oft das semantische Merkmal [+Belebtheit]. Dies soll bei Lernenden in der Sprachverarbeitung die Erwartung erwecken, dass ein Relativpronomen, welches einem Nomen mit dem Merkmal [+Belebtheit] folgt, als Subjekt des Relativsatzes fungiert. Diese Erwartung erleichert die Verarbeitung des Relativsatzes, wenn das Relativpronomen in der Tat als Subjekt dient. Lerner werden aber irritiert, wenn das Relativpronomen als Objekt fungiert, obwohl das Bezugsnomen das Merkmal [+Belebtheit] enthält; in diesem Falle müssen Lernende in der Verarbeitung eine Korrektur vornehmen, woraufhin die lernersprachliche Verarbeitung verzögert wird. In der zukünftigen Vermittlung ist es daher nötig, die Lernenden oft mit Relativsätzen zu konfrontieren, die dieser Erwartungshaltung widersprechen. Sie müssen dabei lernen, dass das Relativpronomen, dessen Bezugsnomen das Merkmal [+Belebt] trägt, nicht zwangsläufig als Subjekt fungiert. Darüber hinaus sollen sie üben, zum Zweck einer angemessenen Analyse von Relativsätzen ihr grammatisches Wissen - z.B. über Wortstellungsregeln und Kasusinformationen - zu aktivieren, insbesondere wenn sie beim Dekodieren von Relativsätzen auf Schwierigkeiten stoß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