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편 119편과 145편에서 나타나는 절 단위 평행법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salms 119 and 145 Focusing on Parallelism)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4.12
31P 미리보기
시편 119편과 145편에서 나타나는 절 단위 평행법에 관한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약학회
    · 수록지 정보 : 구약논단 / 30권 / 4호 / 333 ~ 363페이지
    · 저자명 : 임성권

    초록

    본 연구는 시편 119편에 대한 필자의 학위 논문 “시편 119편에 대한 평행법적 의미 해석 : <토라트 아도나이>가 이끄는 경건의 길”에서 이루어진 논의를 토대로 절 단위 평행법적 진행이라는 본문 현상에 대한 관심의 연속성을 갖는 가운데 시편 145편에서 나타나는 절 단위 평행법 현상에 그 논의를 집중, 발전시킨 형태의 논문이다. 한정된 분량 속에서 본 논문은 필자의 학위 논문에서 이미 세밀하게 논의되었던 바, 시편 119편에 나타나는 절 단위 평행법의 실제 사례들을 일일이 다루기보다는 시편 119편의 절 단위 평행법 부분은 다만 논리적으로 약술한 후, 시편 145편에 집중하여 절 단위 평행법의 사례들을 다루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글로서의 문학적 특징에 대하여 적절하게 탐구하는 시도로서 고대 히브리 시문 고유의 표현법으로서 평행법(parallelism)을 주목한다. 히브리 시문에서 행(line)은 평행법적인 상응을 이루는 단위로서 보통은 반절(half verse) 단위 위주로 눈에 띈다. 그런데 알파벳순 이합체(acrostic) 시로서 119편과 145편에서는 반절 단위의 평행법 외에도 절(verse) 단위의 행들이 상응하는 평행법 진행이 비교적 유연한 범주에서 두드러짐을 볼 수 있다. 평행법을 연구한 여러 학자들이 행의 범주를 단순히 반절 단위 위주로 한정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시편 119편과 145편에 관해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연구들은 유연한 범주에서 나타나고 있는 절 단위 평행법적 진행 자체에 대해 관심을 갖기 보다는 단지 정형화된 연(strophe 또는 stanza)의 구조와 구분에 대한 관심 가운데 상응어로서 어휘들의 반복이나 연을 구분하기 위한 표지들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절 단위 평행법적 진행을 있는 그대로 주목하고 연구할 때 정형화된 연의 구분에 한정되지 않는 평행법의 동적 흐름을 이야기할 수 있게 된다.
    119편과 더불어 시편 145편은 같은 시편집 제 5권에 속한다. 또한 145편은 119편보다는 작은 규모이지만 같은 이합체 시이며, 절 단위 평행법의 진행 또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145편에서 절 단위 평행법은 119편에서와 마찬가지로 때로는 군집(cluster)을 이루고 때로는 교차하기도 하는 가운데 정적인 연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 역동적 시의 의미적 흐름을 형성한다. 이러한 119편과 145편에서의 절 단위 평행법 진행을 비교하는 본 연구는 절 단위 평행법 현상에 대한 이해를 도움과 동시에 반절 단위 평행법 위주로 이해되는 평행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힘에 기여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and develop the discussion of the phenomenon of parallelism in Psalm 145, as demonstrated among its verses, based on the author’s dissertation on Psalm 119, “The Exegesis of Psalm 119 based on the Analysis of Parallelism -The Path of Piety led by tôrat-jhwh: An Antagonistic Pendulum Movement-”. This paper briefly describes the parallelism in Psalm 119 and mainly focuses on the cases of ‘verse-level’ parallelism shown in Psalm 145.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plores the literary features, focusing on parallelism, a common way of expression in ancient Hebrew poetry. In Hebrew poetry, a line is a unit of parallelism, and is usually in a half-verse unit. However the parallelism among verses is prominently shown in Psalms 119 and 145, which are alphabetic acrostic psalms. Although many scholars who studied parallelism did not simply limit the line to the half-verse, studies on Psalms 119 and 145 were mainly focused on the structure and division of strophe or stanza rather than the verse-unit parallelism itself.
    Along with Psalm 119, Psalm 145 belongs to the fifth Book of the Psalms. Although Psalm 145 is smaller in scale than Psalm 119, it is also an alphabetic acrostic psalm, and the progression of verse-level parallelism is also prominent. In Psalm 145, the verse-level parallelism sometimes forms clusters and is sometimes crossed over, just like in Psalm 119. It forms a dynamic semantic flow of poetry that is not limited to a static structure like as a strophe or a stanza.
    This study, which compares the dynamics of parallelism in Psalms 119 and 145,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verse-level parallelism and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parallelism, which is mainly understood as half-verse-level paralle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약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