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성탄절 새벽송에 대한 예전적 연구 (A Litugical Research on Korean Christmas Carrol in Christmas Daw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6.11
28P 미리보기
한국 성탄절 새벽송에 대한 예전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52호 / 49 ~ 76페이지
    · 저자명 : 전창희

    초록

    성탄절 혹은 크리스마스는 분명 기독교의 종교적 의미를 가진 명절이고 또한 서양의 풍습으로부터 전래되었다. 19세기 후반 기록들을 살펴보면, 이 성탄절을 한국 사회에 처음 전한 외국인들은 대부분 개신교 선교사역과 관계된 사람들이었다. 이들에 의해 소개된 크리스마스는 한국사회에서 처음에는 관찰의 대상일 뿐이었다.
    지난 1세기 동안 크리스마스는 한국인의 삶에 중요한 현대적 세시풍속적 절기로 자리 잡았다. 이제 오랜 시간이 지났고 크리스마스는 이미 서양의 절기로써가 아니라 한국 사회 깊숙이 뿌리박힌 삶의 일부가 되었다. 이것은 단지 기독교인들에게만 한정된 진술이 아니다. 이미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을 떠나 크리스마스는 한 해를 살아가는 한국 사람들의 시간적 주기성과 삶의 패턴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한국의 크리스마스는 ‘이원적’이다. 이것은 어쩌면 크리스마스라는 용어를 이원적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이 잘 드러내 준다. 실제적으로 서양의 용어 ‘CHRISTMAS’를 한국 사회는 두 가지로 받아들였다. ‘아기 예수의 크리스마스’와 ‘산타클로스의 크리스마스’이다. 때로 세속화된 크리스마스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가 있다. 실제로 오늘날 크리스마스는 종교적인 영역과 세속적인 영역에서 갈등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다시 말해, 예수의 크리스마스와 산타클로스의 크리스마스의 이원화된 구조가 경쟁적인 구도로 자리 잡으면서 서로를 비판적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성탄절 새벽송의 예전적 본질은 넒은 의미에서의 다양한 크리스마스에 대한 이러한 이원적인 이해가 전제되어 있다. 다리 말해서 한국 사회에 정착한 CHRISTMAS를 ‘성탄’과 ‘크리스마스’라는 이원론적 구도에서 받아들이는 것은 이 절기 주위에 있는 새벽송의 예전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오히려 새벽송은 다원화된 한국 사회 속에서 이원적으로 형성되어 정착한 크리스마스의 시간성과 공간성을 극복하는 예전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한국사회를 밝히고 공공성을 이루어온 크리스마스의 정신은 예전적으로 그리고 축제적으로 새벽송에 이어져 오고 있다.
    이 논문은 크리스마스 새벽송의 예전적 의미를 발굴하고 재현하는데 그 의미가 있지만 그 출발은 ‘한국화’이라는 주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크리스마스는 이미 우리 안에서 한국화된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새벽송 자체도 이러한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인식 위에서 새벽송에 대한 ‘예전적 접근’을 시도해 보려고 한다.

    영어초록

    Christmas was clearly a religious holiday of Christianity. An it must be originated from the Western culture. If we observe the old record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Christmas was firstly introduced by the Western Protestant missionaries. Actually, Christmas introduced by them was just an object observed by Koreans.
    However, Christmas has been placed at the center of Korean life as a significant annual cyclical rituals. This observation is not limited to Korean Protestants. It has also become a part of Korean life. Christmas is already influencing a pattern of Korean life related to an annual cyclical culture. Christmas is accepted not just as a religious holiday but also an annual cyclical one. More precisely, it has become a year-end culture instead of Dong-Ji which is Korean year-end ritual.
    Christmas in Korea is dualistic. It is perhaps showed clearly in a course of dualistic acceptance of Christmas in Korean society. Actually Korean society accepted the term ‘Christmas’ in two ways. One is Christmas of Jesus and the other is Christmas of Santa Claus. A secular Christmas, Christmas of Santa Claus, used to be criticized by Christians. Unfortunately, there is conflict between religious Christmas and secular Christmas. In other word, it seems that Christmas of baby Jesus and Christmas of Santa Claus are aggressive to each other in Korean society.
    However, the ritualistic nature of Christmas dawn carol widely accepts this dualistic Christmas. Precisely, to understand it is deeply based on a perspective that Christmas in Korean society is dualistic.
    In fact, Christmas carol in dawn has a liturgical importance to overcome the duality of time and space formed in the competition between a Korean Christian culture and a Korean secular consumptive culture. Also, the spirit of Christmas which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public good in Korean society is still working liturgically and festively in Christmas dawn carol.
    The significanc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a liturgical meaning of Christmas dawn carol. At the same time, it tries to observe Korean dawn carol on the perspective of Koreanization. Christmas already exist as a Koreanized Christmas and Christmas dawn carol can be understood on this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