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노영의 『중국인의 기회』: 이민 자서전의 가능성과 한계 (No-Yong Park’s Chinaman’s Chanc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Immigrant Autobiography)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08.11
19P 미리보기
박노영의 『중국인의 기회』: 이민 자서전의 가능성과 한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국문학연구 / 32호 / 31 ~ 49페이지
    · 저자명 : 김욱동

    초록

    이 논문은 최초의 한국계 미국 이민 작가 중의 한 사람으로 평가받는
    박노영(朴魯英, No-Yong Park)의 인종적 신분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그
    에 관하여 잘못 알려진 전기적 사실을 바로잡는 데 목적이 있다. 지금
    까지 그는 중국계 미국 자서전 작가로 범주화되어 왔지만, 비교적 최근
    에 출간된 그의 아내 김난혜(金蘭兮, Lanhei Kim Park)의 자서전 『사해
    (四海)를 바라보며』를 비롯한 여러 자료를 근거에 비추어 보면 그는 한
    국계 미국 자서전 작가임이 밝혀진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박노영의 자
    서전 『중국인의 기회(Chinaman's Chance)』의 장르적 특성을 새롭게 규
    명한다. 박노영은 이 책에 ‘자서전’이라고 분명히 못 박고 있지만 좀더
    면밀히 분석해 보면 이 책에서 그는 객관적인 역사적 사실 못지않게 허
    구성과 상상력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이 책의 장르는 ‘이민 자서전’ 못
    지않게 ‘허구적 소설’로 규정지어야 한다. 더구나 이 논문은 미국 사회
    에 동화되려고 노력하는 나머지 식민지 고국에 무관심한 차의석(車義
    錫, Easurk Emsen Charr)과는 달리, 박노영이 오히려 미국 사회와 문
    화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문명 비평가로서의 면모를 지닌다는 점을 밝
    힌다. 박노영의 삶에서는 미국 문화의 ‘탈학습화’ 또는 ‘탈동화’ 과정을
    엿볼 수 있다. 이 점에서 박노영의 자서전은 다른 차의석이나 메리 백
    리(白廣善, Mary Paik Lee) 또는 고태원(高泰媛, Taiwon Koh) 또는 피
    터 현(Peter Hyun) 같은 다른 한국계 미국 이민 작가들의 자서전과는
    크게 다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shed new light on a biography of
    No-Yong Park, the author of Chinaman's Chance (1940), one of the
    early Korean American immigrant autobiographies. Although he has
    been so far categorized as a Chinese American writer or a
    Korean/Chinese American writer, he was in fact a Korean American
    writer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A close reading of Facing
    Four Ways (1980), a newly discovered autobiography by Lanhei
    Kim Park (Mrs. No-Young Park), indicates that Park was born and
    grew up in Namhae-do, South Kyungsang Province in 1897, not in
    Northern Manchuria as Park said in his autobiography and some
    scholars believe. It also reveals that Park was first educated in
    Tongdo-sa, Yangsan, South Kyungsang Province and then in
    Joongang School, in Seoul―not in Manchuria, Nanking, Tokyo, etc.
    This article further argues that Park's Chinaman's Chance is not
    only an immigrant autobiography, but an “autobiographical fiction”
    or a “fictionalized autobiography” as well. Based on Park's
    autobiography, it advances the theory that an autobiographer cannot
    but fictionalize his or her own life story for a variety of reasons and
    thus there is no such thing as a genuine autobiography. In addition,
    this article explores that No-Yong Park is much unlike typicalKorean immigrant writers in that he tries to “unlearn” the civilized
    Western ways of life. Strongly influenced by Henry David Thoreau,
    he was critical of materialism in American society, suggesting the
    Oriental ways of life as a possible alternative. In sum, Park's
    autobiography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in Korean American
    Literature of its horizon from socio-historical and ethnographical
    studies of Korean immigrants' adaption to American society to a
    poignant critique of the adopted coun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