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숙영낭자전>에 나타난 자살의 의미와 그 사회사적 맥락 (Significance of Suicide in Sukyoung Nangjajeon and Its Socio-Historical Contex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4.03
32P 미리보기
&lt;숙영낭자전&gt;에 나타난 자살의 의미와 그 사회사적 맥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52권 / 1호 / 123 ~ 154페이지
    · 저자명 : 유해인

    초록

    이 글은 숙영의 자살 행위가 갖는 의미를 중심으로 ‘숙영’이라는 인물, 나아가 <숙영낭자전>이라는 작품의 의의를 재조명한 논의다. 숙영의 자살은 훼절 모해가 해명된 이후 행하여진 것으로, 가부장적 질서라는 이데올로기의 의미 체계로는 설명할 수 없는 행위였다. 이를 새롭게 의미화하기 위하여 백씨 집안 내 숙영의 위치를 살피었다. 선녀 숙영은 현실 세계에서 자신의 출처를 설명해 줄 명확한 연고가 없어 가부장적 질서가 강하게 작동되는 백상공의 집안에서 용납되지 못한 존재였다. 숙영의 절대적 타자성은 그녀의 자살이 백씨 가문에 대한 저항이라는 의미를 넘어서게 하였다. 더하여 선녀라는 신분의 문학적 관습과 적강형 소설의 일반적 문법에서 벗어나는 작품의 비극적 결말을 고려하여 보니, 숙영의 자살은 조선 후기 가족 제도에 대한 문제 제기로 확장될 수 있었다. 종합하면, <숙영낭자전>은 낭만적 사랑에 대한 동경의 현실적 이면을 조명하는 작품이었다. 낭만적 사랑을 꿈꾸었으나 무참히 좌절하고 마는 숙영은 타자가 침입할 수 있는 틈이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당대 가부장적 가족 제도의 견고함을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isits the significance of the character Sukyoung and the novel Sukyoung Nangjajeon, focusing on the significance of Sukyoung’s act of suicide. First, this study analyzes Sukyoung’s suicide, which serves as the central motif of the novel. The significance of her suicide becomes apparent when considering its timing. In the novel, Sukyoung takes her life only after the plot to tarnish her reputation has been explained. Furthermore, her suicide is an act that goes against all of the Three Obediences (三從), as she has parents-in-law, children, and the love of her husband Seongun. It is an excessive act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ideological meaning systems of chastity or the patriarchal order. Consequently, Sukyoung’s suicide demands a new interpretation. To reinterpret Sukyoung’s suicide, this study examines her position within the Baek family. An examination of the blood letter left behind by Sukyoung after her suicide, combined with the attitude of her parents-in-law who attempted to cover up the situation, makes it evident that Sukyoung was not assured of her position as a daughter-in-law within the Baek family. Lacking blood ties to explain her origins in the real world, Sukyoung is a character of absolute ‘Otherness’ who cannot be tolerated within the rigidly patriarchal family of Baek Sang-gong. The nature of her position means that the significance of her suicide goes beyond mere resistance to Baek Sang-gong. To discuss the significance of Sukyoung’s suicide, this study analyzes the events following her suicide. After burying her body at pond in Okyeondong, Sukyoung is reborn and ascends to heaven, taking Seongun, Chunyang, and Dongchun with her. This conclusion differs from the happy endings found in novels about celestial beings who descend to earth. Its significance becomes apparent when comparing Sukyoung’s status as a fairy, with the endings of romantic love stories popular in the 19th century. Sukyoung Nangjajeon can be seen as a work that sheds light on the realistic aspects of the longing for romantic love. Sukyoung’s pursuit of romantic love ends in cruel disappointment, and her suicide demonstrates the impenetrable nature of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of the time.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 of Sukyoung herself. Following her suicide, Sukyoung is presented with two opportunities to become a member of the Baek family. However, each time, she refuses to integrate into the family and instead chooses to become an Other. She first becomes a dirty corpse with a knife embedded in her chest, infiltrating every corner of the Baek family home and creating an eerie atmosphere of fear, and then chooses to bury herself in Okyeondong, a space that being devoid of all ties makes her an ‘Other’, rendering herself a complete outsider. It is in this regard that Sukyoung was exceptional. Unlike the myriad female ‘Others’ depicted in classical novels, she did not compromise at a suitable point. By committing acts that were incomprehensible to those around her, she succeeded in rupturing the problematic ideology of the time. Moreover, she achieved this by turning herself into an outsider, solidifying her self-awareness as an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