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7년 〈한국국보전(Masterpieces of Korean Art)〉의 성립과정 검토 (Reevaluation of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Masterpieces of Korean Art’ in 1957)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4.08
45P 미리보기
1957년 〈한국국보전(Masterpieces of Korean Art)〉의 성립과정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74호 / 641 ~ 685페이지
    · 저자명 : 김현정

    초록

    1957년 미국에서 개최된 한국국보전은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세계에 처음으로 알렸고, 국민에게 자긍심을 심어준 역사적 사건이다. 이런 중요성에 비하여 한국국보전의 성사 과정과 성격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그래서 한국국보전이 마치 호놀룰루미술관장 로버트 그리핑에 의해 발의된 것으로 오인되어 왔다. 이 전시는 그리핑이 아니라 아이젠하워 행정부가 기존의 반공 정책을 수정하면서 시작된 국무부의 사업이다. 전시 주체에 대한 오해는 한국국보전 이해에 큰 걸림돌이었다.
    그리핑은 한국미술의 미국전시에 관심을 가졌던 최초의 미국인이었지만, 그의 전시 구상은 6.25 전쟁으로 실행되지 못했다. 이후 그리핑 주도의 한국문화재 미국전시를 한국 정부가 추진하게 되었다. 그런데 국무부가 전시에 관심을 가지면서 그리핑이 주도하는 전시계획은 완전히 폐기되고, 한미 양국의 문화교류로서 국무부 주도의 ‘한국국보전’이 새롭게 시작되었다.
    국무부는 한국국보전을 통해 자유우방의 친선을 강화하고 문화를 중시하는 미국의 이미지 창출하고, 자국민들이 한국을 우호적으로 인식하기를 기대했다. 한국은 이 전시를 통해 한국이 유구한 역사를 가진 국가라는 점을 강조하고, 공산주의에 대항하는 미국의 새로운 동맹이 되고자 했다.
    그런데 한국국보전은 그 성과만이 지나치게 강조된 측면이 있다. 일본에서 분리된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이 한국국보전의 최대 성과로 꼽았지만, 전시품의 선정과 도록 구성 그리고 전시연출은 일본의 시각 안에서 작동했다는 점이 간과되었다. 한국의 대표 문화재가 일본 고고학자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미국 큐레이터에 의해서 그 가치를 인정받는 아이러니가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이 감추어지고 전시의 긍정적인 면만 강조된 것은 한국국보전에 앞서 오랫동안 전개된 전쟁기 문화재 반출에 대한 논란을 잠재우기 위한 성격이 강하다.

    영어초록

    The Korean National Treasures Exhibition, titled “Masterpieces of Korean Art” held in the United States in 1957 was the first event to introduce Korea’s cultural identity to the world, and it was an important historical event that instilled cultural pride among the Korean people. It also elevated the statu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Despite its significance, the process leading to the exhibition and the nature of the exhibition itself have not been thoroughly evaluated.
    The narrative that “Masterpieces of Korean Art” began Robert P. Griffing Jr., the director of the Honolulu Academy of Arts, is mythologized; it was, in reality, an initiative of the U.S. State Department under the Eisenhower administration, which was revising its anti-communist policies.
    Griffing, the first Westerner interested in exhibiting Korean cultural artifacts in the U.S., had his plans disrupted by the Korean War. The Korean government has since entrusted Griffing with a U.S. touring exhibition of evacuated cultural. When the U.S. State Department expressed interest, Griffing’s plans were ultimately discarded, leading to a new “Masterpieces of Korean Art” exhibition driven by the State Department, marking a new phase in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U.S. State Department intended the “Masterpieces of Korean Art” exhibition to enhance bilateral relations and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ulture during the Cold War. It aimed to mitigate American dissatisfaction with its involvement in Korea and to foster a positive perception of Korea as a stronghold against communism in East Asia. This exhibition helped establish Korea as a nation with a rich historical heritage and a valuable ally to the United States in the fight against communism.
    The success of the “Masterpieces of Korean Art” exhibition has often been highlighted without a critical examination of its context. Contrary to claims that it distinctly separated Korea’s cultural identity from Japan, the selection of exhibits, catalogue contents, and exhibition staging were influenced by a Japanese perspective. This led to an ironic situation where Korea’s cultural heritage, first discovered by Japanese archaeologists, was acknowledged by American curators. The lack of substantive evaluations at the time stemmed from the desire to avoid controversies regarding the overseas introduction of cultural properties and to quell debates over the export of cultural artifacts during war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