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이전』지은이에 대한 남북의 관점과 제3의 시각 (South and North's Perspective and Third Perspective on Author of SuiJe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2.09
29P 미리보기
『수이전』지은이에 대한 남북의 관점과 제3의 시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91권 / 157 ~ 185페이지
    · 저자명 : 김종군

    초록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우리 서사문학사 벽두를 차지하는 『수이전』의 지은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그동안 남북 학계에서 논의된 지은이 논쟁을 비교 검토하고, 지은이에 대한 제3의 시각으로 김척명의 실체에 대해 접근해 보고자 한다.
    『수이전』 지은이에 대해 남한 학계에서는 『신라수이전』의 지은이는 최치원으로 인정하고, 고려의 『수이전』은 박인량이 편찬하였는데, 김척명이 일부 작품을 개작하였다고 보는 입장이다. 이에 비해 북한의 학계에서는 『신라수이전』 가운데 <쌍녀분(두 녀자의 무덤)>에 대해서만 지은이를 최치원으로 규정하고, 박인량이 『신라수이전』을 개작 증보하면서 많은 작품들은 새롭게 창작해 편찬했다고 보는 시각이다. 북한 학계에서는 김척명에 대해서는 문학사 한 편에서만 언급하였고, 이후의 서술에서는 다수의 작가들이 『수이전』 개작에 참여하였다 하면서 김척명을 서술에서 배제하는 입장이다.
    남북 학계의 『수이전』 지은이에 대한 논의는 문헌 기록을 철저히 준수하면서 도출한 결과들이다. 그럼에도 북한 학계에서는 『삼국유사』에 언급된 김척명을 지은이에서 배제하고 ‘다수의 작가’로 범주화하는 이유는 기록 문헌을 서로 비교하는 가운데서도 그 근거를 찾을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의구심을 새롭게 구명하고자 중국 송대 주휘의 『청파잡지』에 수록된 루인량의 기사 가운데, 그의 자가 척명이라는 데 착안하여 박인량=김척명일 수 있다는 제3의 시각을 제시해 보았다. 이 추론이 힘을 얻기 위해서는 『청파잡지』가 『삼국유사』 편찬 전에 고려에 유입된 사실과 일연이 이를 접했다는 정황이 포착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author of Suijeon, which occupies the forefront of the history of narrative literature in Korea. To this end, I would like to compare and review the author's debates that have been discussed in the inter-Korean academia, and approach the reality of Kim Cheok-myung from a third perspective on the author.
    Regarding the author of Suijeon, South Korean academics recognize that the author of Shilla Suijeon is Choi Chi-won, while Suijeon in Goryeo was edited by Park In-ryang, and it is posited that Kim Cheok-myung reworked some works. In contrast, North Korean academia recognizes Choi Chi-won as only the author of “The Tomb of Two Women” among Shilla Suijeon, and holds that many works were newly created and compiled while Park In-ryang reworked and supplemented Shilla Suijeon. In the North Korean academic circle, Kim Cheok-myung was mentioned only in one kind of literary history, In later descriptions, many writers participated in the rewriting of Suijeon, and Kim Cheok-myung was excluded from the description.
    The discussion on the author of Suijeon in the South and North Korean academia is the result of strictly observing the literature records. Nevertheless, the reason that North Korean academics exclude Kim Cheok-myung, who is mentioned in the Samguk Yusa as a prospective author and categorize it as having been written by “many writers” seems to be that no evidence of Kim Cheok-myung’s authorship can be found even while comparing historical documents with one another.
    In order to find a new answer to these doubts, among the articles of Lu In-ryang included in the Cheongpa Jabji of Juwhi of the Song Dynasty in China, I tried to suggest a third perspective that he could be Park In-ryang = Kim Cheok-myung, focusing on the fact that his courtesy name was Cheok-myung. In order for this reasoning to gain strength, the fact that Cheongpa Jabji was introduced to Goryeo before the compilation of Samguk Yusa and the circumstance in which Ilyeon encountered it must be stud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