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接梨樹村 西溝結社 儒林의 망명 전 교유 양상 고찰 (A Study on the Pre-Exile Social Interactions of the Yulim Scholars in Jeop-risu Village and Seogu Gyeols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4.10
28P 미리보기
接梨樹村 西溝結社 儒林의 망명 전 교유 양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69권 / 153 ~ 180페이지
    · 저자명 : 이은영

    초록

    본 연구는 20세기 초 서간도로 망명을 떠나 安東(현 丹東) 接梨樹村에 기거하며 ‘西溝結社’ 조직에 가담한 유림의 망명 전 교유 양상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盧相益 주도로 조직된 ‘서구결사’에 참여한 13명은 ‘西溝結社錄’에서 확인된다. 노상익을 포함한 8명은 접리수촌에 함께 기거했던 인물들이고, 나머지 5명은 잠시 머물렀던 인물들이다. 그중에는 노상익, 이건승처럼 널리 알려진 인물도 있지만, 인적 사항조차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李慶一, 黃圭顯, 安蘅遠 등도 포함되어 있다.
    13명의 망명 전 교유 양상을 살펴본 결과 이들의 망명 전 교유 양상은 출발지에 따라 크게 경상도 출신 인물들끼리의 교유와 강화도 출신 인물들끼리의 교유로 나누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들 가운데 경상도 출신은 性齋 학파, 寒洲 학파로 나뉘고, 강화도 출신은 양명학파로 묶여 있고, 그밖에 華西 학파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 이들은 대부분 망명 전부터 혈연, 지연, 학연 등으로 엮여 있어 교유 양상이 대부분 겹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에 더해 망명 전부터 교유가 전혀 없던 강화도 지역 양명학자 이건승과 경상도 지역 유림의 교유는 망명 전 이건승의 형 李建昌과 安孝濟와의 교유 관계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사실도 거듭 확인했다. 이를 통해 ‘서구결사록’에 이름이 오른 13명은 망명을 떠나 ‘서구결사록’에 이름을 올리기에 앞서 고국에서부터 유무형의 교유 관계가 있었고, 그 관계를 이어 망명지에서 ‘서구결사’까지 조직하게 된 것이었다.
    이처럼 ‘서구결사록’에 등재된 13명의 망명 전 교유 양상을 살펴본 본 연구 결과물은 그들의 망명 전후 행적의 연관성 파악과 망명지에서의 교유 양상과 활동 반경 연구에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re-exile social interactions of the Yulim scholars who, after fleeing to the early 20th-century northern Manchuria, resided in Jeopilri Village (currently Dandong) and joined the "Seogu Gyeolsa" organization. The 13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ogu Gyeolsa," organized by Sang-ik Noh, are identified in the "Seogu Gyeolsa Record." Among these, 8 individuals, including Sang-ik Noh, resided together in Jeopilri Village, while the remaining 5 stayed there temporarily. This group includes well-known figures such as Sang-ik Noh and Geon-seung Lee, as well as lesser-known individuals like Kyung-il Lee, Kyu-hyun Hwang, and Hyung-won Ahn, whose personal details are not well-documented.
    The study of the pre-exile social interactions of the 13 individuals revealed that these interactions were significantly divided based on their places of origin. Specifically, those from Gyeongsang Province interacted primarily with other Gyeongsang Province natives, while those from Ganghwa Island interacted primarily with others from Ganghwa Island. Among these, those from Gyeongsang Province are divided into the Seongjae and Hanjoo factions, while those from Ganghwa Island are grouped under the Yangming School. Additionally, it is noted that the Hwaseo faction is included. It was also found that most of these individuals were connected by blood, regional ties, or academic connections even before their exile, resulting in overlapping social interactions. 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Yangming scholars from Ganghwa Island, who had no prior connections, and the Gyeongsang Province scholars began with the pre-exile connections of Geon-seung Lee's elder brother, Geon-chang Lee, and Hyo-je Ahn. This indicates that the 13 individuals listed in the "Seogu Gyeolsa Record" had pre-existing tangible or intangible connections from their homeland before their exile and carried these relationships into their formation of the "Seogu Gyeolsa" in their place of exi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hich examined the pre-exile social interactions of the 13 individuals listed in the "Seogu Gyeolsa Record,"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connections between their activities before and after exile, as well as the patterns of their social interactions and sphere of activities in the place of exi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