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총력전시기 경성방송국 음악프로그램과 ‘국민’의 호명 (Music programs of Kyungseong Broadcasting Station during the all-out war period and the Naming of 'the Citize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4.10
41P 미리보기
총력전시기 경성방송국 음악프로그램과 ‘국민’의 호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음악학회
    · 수록지 정보 : 음악과 현실 / 68호 / 5 ~ 45페이지
    · 저자명 : 이은진

    초록

    경성방송국은 개국 초기부터 조선인 청취자를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중일전쟁 발발 이후 총력전체제로 돌입하면서경성방송국의 편성은 점차 정치적 프로파간다 쪽으로 기울기 시작한다.
    이 연구에서는 중일전쟁 발발 이후의 경성방송국 음악프로그램을 살펴봄으로써 일제가 음악방송을 전쟁 프로파간다의 도구로 이용한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가장 큰 변화를 보여주었던 아동대상음악프로그램과 대중음악 프로그램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경성방송국은 1941년부터 ‘국민학교방송’과 ‘소국민의 시간’을 편성하여 아동을 어린이가 아닌 총력전 체제에 적합한 ‘소국민’으로 훈육하고군국주의 프로파간다를 주입하기 위한 강좌와 음악을 방송했다. ‘소국민의 시간’에서 방송된 음악은 저학년 아동의 정서함양을 위한 동요와 창가에서부터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파간다적 창가와 국민가가 포함되어 있었다.
    한편 중일전쟁 발발 이후 건전오락에 대한 논의가 촉발되었는데, 경성방송국은 건전오락 담론을 ‘가정가요지도’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구체화했다. 또한 국민가 현상공모에서 선정된 국민가요들을 방송하는 ‘국민가요’와 ‘애국가요’, ‘국민합창’ 프로그램이 신설되기도 했다. 기존의 대중가요 프로그램에도 변화가 나타났는데, 소위 대륙물과 군국가요의 비중을높여가기 시작했다.
    즉 총력전체제하 경성방송국 음악프로그램은 ‘국민’을 강조함으로써내선일체사상을 주입하고, 총후의 국민에게 적합한 ‘건전’하고 ‘명랑’한오락을 군국주의 프로파간다와 연계시킴으로써 식민지 조선인의 일상과감각을 재배치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Since its inception, Kyungsung Broadcasting Station has made various efforts to attract Korean listeners. As part of these efforts, the system was reorganized into a dual broadcasting system from April 26, 1933, and the proportion of music and entertainment programs favored by Koreans was expanded.
    However, after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the organization of the Kyungsung Broadcasting Station gradually began to lean toward political propaganda. This study examined the music programs of Kyungseong Broadcasting Station after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and analyzed the ways in which the Japanese imperialists used music broadcasting as a tool for war propaganda.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children's music programs and popular music programs, which showed the greatest changes since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After 1941, Kyungseong Broadcasting Station organized the programs for the children such as the "National School Corner" and the "Corner for the Young Citizens" to train children as "citizen" suitable for the system of total war, and to broadcast lectures and music to instill militaristic propaganda. The music that was broadcast on "Corner for the Young Citizens" included nursery rhymes and songs aimed at the emotional cultivation of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as well as propaganda songs and National songs aimed at older students.
    On the other hand, after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there was a lot of discussion about wholesome entertainment, especially criticism of popular songs and the need to purify them. Kyungsung Broadcasting Station embodied the discourse of wholesome entertainment and music purification by introducing a new genre called 'household song' through a program called 'Household Song Guidance'. In addition, the programs such as 'National Song', 'Patriotic Song', and 'National Chorus' were newly established to broadcast the national songs selected in the several song prize contest for the national song. Changes were also made to the existing popular music programs, and the proportion of so-called continental songs and military songs began to increase.
    In other words, under the all-out war system, the music programs of Kyungseong Broadcasting Station emphasized the "citizen" and tried to instill the ideology of Japan-Korea Integration. At the same time, it sought to rearrange the daily life and sensibility of colonial Koreans by emphasizing "wholesome" and "cheerful" entertainment suitable for the all-out war system, while linking the sense of "wholesomeness" and "cheerfulness" with militaristic propagand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음악과 현실”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