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체장애인의 자가운전을 위한 Hand control 연구 (A Study on the Hand Control for the Self-Driving of Wheelchair User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2.12
12P 미리보기
지체장애인의 자가운전을 위한 Hand control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11권 / 1 ~ 12페이지
    · 저자명 : 김대현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척수손상 장애인의 자가운전 시 실제 사용되고 있는 수동제어장치(hand control)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보다 나은 기능과 디자인의 수동제어장치(hand control)의 디자인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사회가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교통사고 및 산업재해로 인한 척수손상 장애인의 발생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척수손상 장애인이 이동할 수 있는 수단으로는 버스,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이 있으나 접근 자체가 불가능하고, 가령 접근이 가능하다해도 제한점이 많고, 택시도 있으나 경제적 부담과 승하차의 어려움으로 오히려 택시비로 지출되는 비용 정도라면 자가용을 유지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자가운전 장애인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기 힘든 장애인들에 있어 자동차 운전은 일상생활로 간주될 정도로 그들의 활동범위와 능력을 확대하고 사회에 참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며 일반인보다 몇 배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척수손상 장애인의 자가운전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현대생활에서 이동은 의·식·주 다음으로 필수불가결한 것으로서 이동이 없으면 소득을 얻기 어렵고, 소득이 없으면 소비도 불가능하다. 이동이 없으면 만남과 교육이 어렵고, 만남이 없으면 인간으로서의 성장도 불가능하다. 특히 전체 장애인 중 약48.6%(959,133명:뇌병변장애포함)를 차지하고 있는 지체장애인에게 있어서의 이동은 가장 기본적인 욕구이자 권리이며 이러한 욕구의 충족은 지체장애인에 대한 삶의 기초요건의 보장이라 할 수 있다.
    교통사고나 산업재해 혹은 선천적인 장애인들이 늘어나며 장애인도 사회의 일원으로 더불어 살아가야 한다는 사회적인 인식 전화에 따라 장애인들의 사회참여 기회 및 여건이 호전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대생활의 필수품이 된 자동차에서 장애인 및 노약자들을 위한 장치가 다양하게 고려되고 있다.
    그에 지체장애인도 타의에 의해 활동하기보다는 독립적으로 휠체어를 탑재하고 운전할 수 있는 수동제어장치를 필요로 한다.
    우리나라 자동차회사에서도 지체장애인용 수동제어장치(hand control)을 탑재해서 시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제어장치가 디자인 및 기능에서 다른 일본이나 미국, 영국에 비해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심미적인 면에서도 좋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차량 외관을 해치지 않고 보조장치 라는 인식을 줄일 수 있는, 그렇게 디자인된 수동제어장치(hand control)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지체장애인의 자가운전을 위한 수동제어장치(hand control)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동제어장치의 특성을 분석하고 안전성과 편리성, 심미성을 중점으로 연구하고 디자인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the hand control used actually by the disabled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and to design a hand control with better functions and design.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society, the occurrence of spinal cord injuries due to car accidents and industrial disastersis gradually increasing. Even though the disabled people with spinal injury can use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including the bus and subway, it is almost impossible for them to access those systems. Furthermore, there are lots of limitations on using them, even if they can access the systems. Taxi can be an alternative option, but it causes financial burden to the disabled, and it is difficult for them to get in and out of the taxi. Considering all these difficulties and money involved, more and more disabled people choose to drive by themselves. Therefore, for the disabled who have difficulties i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driving a car is very important, as a part of their daily lives, to expand their activities and abilities and to participate in the society. This is much more important to them than to other people. In particular, the self-driving of the disabled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the disabled people need a hand control with which they can load a wheelchair and drive by themselves, rather than moving with the help of others. The auto makers in Korea also install the hand control for the disabled and sell them.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hand control design for the self-driving of the disabled peopl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and control and to develop a design by focusing on the functionality and esthetic value of the hand control. The specific study processes are as follow:First, a survey is conducted based on a review of various literatures, research papers, professional publications, and related websites at home and abroad. Based on this survey and actual driving scenes, and survey on the drivers, an analysis is carried out.
    Second, the concept of usability and its connectivity with design is discussed in an academic perspective. Also, the user-oriented perspective in the designing process and the driving desire and nature of the disabled people are analyzed.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forming the hand control system, which is suitable when applying the hand control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car, is examined.
    Third, considering the type and structure analysis of the hand control system on the market at home and abroad, necessary information for the design is analyzed.
    Fourth, a designing guideline is suggested for more convenient driving devices through designing of the hand control system, and each item is codified to apply it to the designing.
    Finally, I would like to suggest design criteria for the hand control system that has suitable function for the users by designing based on the items mentioned ab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