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척전>의 작품 구성 방식과 가문 지향적 성격 (The Method of organization and Family-oriented aspects of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3.12
32P 미리보기
&lt;최척전&gt;의 작품 구성 방식과 가문 지향적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65호 / 121 ~ 152페이지
    · 저자명 : 정규식

    초록

    <최척전> 연구의 핵심은 애정서사가 중심인 전반부와 가족서사가 중심인 후반부의 관련 양상을 면밀히 살펴 그것에 의거하여 작품을 해석하는 데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 논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최척전>의 전반부는 첫째, 남녀주인공이 남녀관계가 아니라 부부관계를 지향한다는 점이다. 이는 옥영이, 남자가 아닌 남편으로서 최척을 맞이하려는 태도에서 분명히 확인된다. 둘째, 남녀주인공의 혼전 동침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연애를 통한 남녀관계로서의 애정 추구보다는 혼인을 통한 부부관계로서의 행복 추구가 목적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셋째, 기자 치성을 통한 후사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 작품에서 남녀 주인공이 추구하는 행복은 부부관계를 지향하는 혼인을 통해 아들을 낳아 후사를 도모하는 데서 완성된다. 이 셋은 기존 작품과 변별되는 <최척전>의 특징이며 작품 후반부를 견인하는 동력으로 작용한다.
    <최척전>의 후반부는 기존 작품처럼 남녀관계를 바탕으로 한 애정 지향으로 전개되지 않는다. 전란이라는 역사적 질곡 속에서 최척 일가의 이산과 재회가 드라마틱하게 전개되는데 이 과정에는 다양한 혈연관계와 혼인관계가 등장한다. 그로 인해 작품의 등장인물들은 부부, 부모, 부자, 모자, 고부, 조손, 사돈 등으로 확장된다. 이는 혈연과 혼인을 통한 가문 형성 과정을 우리의 소설에서 최초로 노정(露呈)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등장인물들 역시 가문에 대한 애정과 사랑의 감정을 토대로 한 ‘가문애(家門愛)’를 발현하고 있는데, 바로 이러한 점에서 <최척전>은 본격적인 가문소설이 등장하기 이전의, 가문의식(家門意識)의 잠재태로서 ‘가문애’가 발현되는 가문소설의 맹아적 면모를 갖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researching <Choi Cheok Jeon>, it is important to draw out the theme of the novel by investigating relations between the former and latter halves of the work. Here, the first half of the novel mostly consists of narration about love and the second half, about family. Above all, this study examined how <Choi Cheok Jeon> is narratively developed. With results of the examination, then, the study tried to newly interpret the theme of the novel.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of the novel seeks their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not between man and woman as found in the former half of the work. This is clearly supported by Ok Young's attitude to accept Choi Cheok not as just a man, but as her husband. Second, both the protagonists do not sleep together before marriage. This indicates that they pursue happiness from their marital relationship rather than just love through relationship between the opposite sexes. And third, the two main characters obtain their offspring through praying for son-bearing. Thus,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reach complete happiness by having a son as their offspring after making their marital relationship.
    These three points make <Choi Cheok Jeon> clear discriminated from other works. They also provide a strong basis for narrative development in the latter half of that novel. Unlike other novels, <Choi Cheok Jeon> does not adhere to affection based on man-woman relationship in its latter half. This part provides a panoramic drama regarding situations the Choi Cheok family experienced in the disturbances of war from their dispersion to reunion. Those situations include making lots of kinships and marital relationships, extending character relations from husband and wife to parent and child, father and son, mother and so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grandparents and grandchild, and matrimonial relations. This indicates a process through which a family was properly established by blood and marriage. In the process, characters of the novel developed ‘familyphilia’ with the affection and love of their family. In this sense, <Choi Cheok Jeon> was an embodiment of ‘familyphilia’ based on which the consciousness of family, It was a forerunner of family novels before they began to be written in earnest. This nature of the novel may be seen as an outcome from narrative strategies that its author took to make apparent the theme of family orientation under a full consideration of organic narrative developments from the former to the latter parts of the no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