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대한제국기 선원전 다례(茶禮)와 다기(茶器) (The tea‒ceremony and ritual vessels of Seonwonj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Korean Empire)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0.06
44P 미리보기
조선후기・대한제국기 선원전 다례(茶禮)와 다기(茶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3권 / 2호 / 149 ~ 192페이지
    · 저자명 : 구혜인

    초록

    본 글은 조선후기와 대한제국기에 운영된 선원전 다례와 다기의 관계에 대해 논한 연구이다. 선원전은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차를 올리는 의식인 다례가 거행된 공간이었다. 선원전 다례는 조선시대 왕실 제향의 다양하고 유연한 형태를 보여주고, 유교식과 비유교식 제향 의례가 독립적이면서도 동시에 조화롭게 공존한 사실을 시사한다.
    선원전 다례는 왕실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온 일상 생활, 연향, 상장례 등에서 행해지던 다양하고 복합적인 속성의 다례의 연장선상에 있다. 선원전이 궁궐 내에 위치한 덕분에 다례를 자주 거행되는 공간이 되었고, 선원전 다례는 엄격한 유교식 제사가 아닌 보다 일상적이면서 가족적인 의례로 인정받았다.
    선원전에서 거행된 다례의 종류는 시기와 목적에 따라 탄신다례, 삭망다례, 명절다례, 고유다례 등 다양한데, 그 중에서도 탄신다례가 중요하게 여겨졌다.
    탄일에 술과 차를 올리는 행위는 국상기간뿐만 아니라 탈상을 한 이후에도 이루어졌는데, 선원전은 탈상 이후에도 탄신의례를 거행하는 중요한 제향공 간으로 기능했다.
    다례는 원래 차를 올리는 의식이라고 여겨져 왔는데 선원전 진설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례의식에서 술을 함께 올리고 탄신다례에 육선을 올리기도 했다는 사실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차뿐만 아니라 술을 함께 올리는 의례도 다례라고 불렀고, 역으로 술을 올리는 작헌례에서도 차를 함께 진설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례에 차뿐만 아니라 술도 올리는 것은 당시 제사에서 술을 중시했기 때문으로 여겨지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례가 사라지지 않고 존속한 것은 다례를 조상제향의 일부로 유지시키고자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 라고 할 수 있다. 또 현전하는 선원전 진설도에서 동일한 진설방식을 보이는 경우가 없다는 사실을 통해, 선원전 다례는 목적과 상황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었다고 여겨진다.
    한편 조선후기 선원전 제기제도는 정조대부터 본격적으로 정립되기 시작했 다. 헌종~철종대 선원전기명발기를 통해 선원전 제기의 전체 수량은 약 50 기에 이르며 특히 잔의 경우 전체 제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특별히 옥, 금, 은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직접적으로 차와 관련된 제기는 진옥배, 자다기(대한제국기 은다기), 은다초아(대한제국기 은작설다 기), 은다엽표 등이다. 그 외 찬기, 향기, 조명기 등이 있으며 실제 차를 담는 용도의 다기를 제외하고 대부분 작헌례용 제기와 겹친다. 대한제국기에 편찬된 영정모사도감의궤(1901)를 통해 보면 작헌례용 옥잔과 다례용 옥잔은 같은 공간에서 같은 대상에게 술이나 차를 담아 올리는 제기로 사용되었지만, 의례의 속성에 따라 다르게 불리고 다른 조형방식으로 제작되었다.
    이처럼 선원전의 다례는 진설방식과 제기 구성으로 보았을 때 일상의 모습과 가까운 의례라고 할 수 있다. 선원전 다례는 유교식 정제와 진설방식에서 차이가 있었고, 마찬가지로 선원전 다기는 정제용 제기와 확연한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의례와 제기는 긴밀한 관계에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pecifically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ritual vessels and the arrangement and presentation system of the tea ceremony (darye) held in Seonwonjeon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Korean Empire. Seonwonjeon Hall was a place where the tea ceremonies were held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tea ceremony performed in the space of Seonwonjeon was an example of various and flexible forms of royal ancestral rites held during the Joseon Dynasty. Also, it can be said that Confucian and non-Confucian rituals were harmoniously coexisted.
    The tea ceremony performed in Seonwonjeon is an extension of those with the various and complex attributes that have been performed at the everyday tea ceremony, banquets, and funerals, traditionally handed down from the royal family. Since Seonwonjeon was located inside the place, the tea ceremonies were frequently held. They were recognized as more common and family rites by breaking away from strict Confucian ritual. The types of the tea ceremonies held at Seonwonjeon Hall vary depending on the timing and purpose of the ceremony, and among the diverse tea ceremonies, the birthday tea ceremony was considered especially important.
    The tea ceremony was originally thought to be a ritual to serve tea, bu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able setting pictures of Seonwonjeon confirmed that liquor was served at the tea ceremony and meat was served at the birthday tea ceremony. Additionally it is believed that the tea ceremony which was not only filled with tea but also the liquor was valued at the memorial service.
    Meanwhile, the Seonwonjeon ritual vessels system was esta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total quantity reaches about 50 units, and a high portion of that was silver ware. Especially in the case of ritual cups, jade, gold and silver materials are the main ingredients. The ritual vessels related to the tea ceremonies include jade cups, white porcelain cups (silver cups in the Korean Empire), silver teapots and a bowl for tea leaves. In addition, there are containers for foods, scents, and lighters.
    According to the book titled Yeongjeongmosa-dogam uigwe(1901), cups made of jade for wine ceremony and tea ceremony were used as ritual vessels for the same object in the same space, but were call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eremony and produced in a different forma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ceremony, it was confirmed that the cup used only for tea was silver tea cup.
    Seonwonjeon’tea ceremony is a routine ritual that is closer to the deceased, free from the strict rules of Confucian rites. In addition, the tea wares of Seonwonjeon Hall was different from the Confucian ritual vessels and at the same time the vessels were used to serve alcoholic beverages, indicating that the ritual ceremonies and ritual vessels were closely rel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