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폭음하는 신체의 침묵과 해방 -『만세전』 다시 읽기- (Silence and Liberation of the Binge-Drinking Body -Revisiting Mansejeo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2.03
39P 미리보기
폭음하는 신체의 침묵과 해방 -『만세전』 다시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85호 / 405 ~ 443페이지
    · 저자명 : 윤재민

    초록

    이 글은 이인화가 체현하고 있는 식민지 주체의 신체적 수행성의 한 양상으로서 술 마시는 인간(homo imbibens)의 양태에 주목하여 『만세전』을 다시 읽는 시도이다.
    동경 유학생 인화는 자신을 향한 부조리한 조사와 통제를 ‘견딜만하다’라고 합리화하면서 그에 따른 부정적인 정동을 일시적인 소비와 음주를 동반한 향락으로 해소해 왔다. 이러한 그의 행태는 조선인 정체성을 경원시하는 주체의 자기 배려와 관련되는데, 이후 그의 심신은 열등감과 자기 학대에 시달리게 된다. 인화의 조선인 정체성은 귀국 이후 성인 남성으로서 피할 수 없는 술자리에 참여하게 되면서 강도를 더해간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그는 피동적인 삶 속에서 자유의지를 상실한 폭음하는 신체가 되었다고 자조하게 된다.
    소설의 말미에 이르러 폭음하는 조선인-신체 인화는 종전과 혁명 이후라는 신시대에 발맞춰 그간의 관성적이면서 수동적인 자기 배려의 삶에서 해방되길 꿈꾼다. 그 첫걸음은 동경에서 정자와 맺은 술집에서의 피상적인 인간관계를 우정과 호혜적 증여 관계로 전환하는 것이었다. 여기에는 세계의 변혁을 위해 그간의 침묵을 그치고 무람없이 타인에게 말을 걸어 그들의 침묵 또한 깨뜨리고자 하는 당시 청년 염상섭의 해방에 대한 지론이 담겨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interpret Manseje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homo imbibens as an aspect of the colonial subject's bodily performativity embodied in Lee In-hwa.
    As a student in Tokyo, he has rationalized the irrational investigation and control directed at him as ‘tolerable’ and resolved the negative emotions with temporary consumption and pleasure accompanied by drinking. His behavior is related to the self-care of the subject who neglects the identity of Chosun. It makes his mind and body suffer from inferiority and self-abuse. To make matters worse, as In-hwa participates in inevitable drinking parties after returning home, he is obsessed with the feeling that his Korean identity is gradually strengthening. In such a situation, he is frustrated by his ego of himself degenerating into a binge-drinking body that has lost his active life and free will.
    At the end of the plot, In-hwa has a desire to be freed from the inertial and passive self-care of the past to keep pace with the new era of the post-First World War and the post-revolutionary period; the first step is to convert the superficial human relationship with Jeongja, a tavern employee in Tokyo, into friendship and reciprocal gift relationship. This contains thought on liberation of Yeom Sang-sup, a young man at the time, who tried to break their silence and talk to each others without hesitation in order to change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