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직지사 대웅전 벽화의 도상과 특징 (The Iconography and Characteristic of Wall Painting of Daeungjeon Hall at Jikjisa Temple in Late Joseo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9.03
41P 미리보기
조선후기 직지사 대웅전 벽화의 도상과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73호 / 137 ~ 177페이지
    · 저자명 : 김정희

    초록

    직지사 대웅전에는 다양한 주제의 벽화가 그려져 있어 일찍부터 주목을 받아왔다. 그중에는 용을 탄 관음보살, 용을 탄 동자, 관음보살삼존도(관음보살․선재동자․용왕)처럼 다른 사찰벽화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독특한 도상이 많아서 조선후기 사찰벽화의 독창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그 가치를 널리 인정받고 있다. 본고는 직지사 대웅전의 내부벽화를 중심으로 배치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용을 탄 관음보살, 용을 탄 동자, 관음보살삼존도, 한산습득도 등 다른 사찰벽화와 차별성을 갖는 도상에 대해 도상적 연원과 전개과정을 고찰하였다. 이어 대웅전의 중창기록 및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벽화의 조성연대를 고찰하였다. 대웅전 내부벽화 대부분은 1713~14년에 雪岑과 性澄을 비롯한 20여명의 화공이 중심이 된 단청 불사 때 조성되었으며, 1735년의 대웅전 중창 때도 부분적으로 벽화의 조성이 이루어졌음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용을 탄 관음보살, 용을 탄 동자를 비롯한 일부 벽화는 도상과 채색 등에서 19세기 이후의 특징이 보이고 있어, 중창 이후 부분적으로 개채와 보수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직지사 대웅전의 후불벽 뒷면 벽화를 포함한 내부 벽화는 18세기 전반 사찰벽화의 제작기법과 양식 및 다양한 도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조선후기 사찰벽화 연구에서 자료적 가치가 크다.

    영어초록

    The Daeungjeon Hall at Jikjisa temple attracted attention long ago with wall paintings of various themes. Among them, as in the Avalokitevara riding a dragon, the Buddhist child riding a dragon, and the Avalokitevara Triad (Avalokitevara‐Sudhana‐Dragon King), there are many unique iconographies that cannot be seen in other temple wall paintings, which shows the originality of its value that is widely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work of temple wall paintings in late Joseon. This study examined the layout of the wall painting of the Daeungjeon Hall at Jikjisa temple, and explored the iconographical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painting which show differentiation from other temple wall paintings such as Avalokitevara riding a dragon, Buddhist child riding a dragon, Avalokitevara Triad, Chinese Monk Hansan(寒山) and Seupdeuk(拾得) painting, etc. Next, this study examined the compositional ages of wall paintings focusing on the Daeungjeon Hall’s rebuilding records and document records. Most of the wall paintings were created during the painting work Buddhist construction, which was centered on about 20 monk‐painters who painted painting works including Seoljam(雪岑) and Seongjing(性澄) in 1713‐14, and it was found that wall painting was partially made in the rebuilding period of the Daeungjeon Hall in 1735. However, some wall paintings, including the Avalokitevara riding a dragon and the Buddhist child riding a dragon, are showing characteristic of iconography and coloring of the post 19th century, and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repair and maintenance were partially performed after the rebuilding. The wall painting of the Daeungjeon Hall at Jikjisa temple is well preserved inside the wall painting including the wall painting behind the Buddha, and therefore, it is said that it is a representative work showing the production technique, style and various iconographies of temple wall paintings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and that there is a great value to the study of temple wall paintings in late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