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공간디자인 분야 공모전 현황 및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patial Design Competitions)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3.02
10P 미리보기
국내 공간디자인 분야 공모전 현황 및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1호 / 349 ~ 358페이지
    · 저자명 : 류혜지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실무를 하고 있는 공간디자이너들과 학교에서 공간디자인을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 모두에게는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요구되는 공간디자인 주제를 창의적으로 선정하는 디자인 방법은 매우 어려운 부분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디자인 사례들과 특히 공모전 수상작들의 디자인 주제들을 연구해봄으로써 다양한 디자인방법론을 조사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간디자인 관련 공모전의 현황과 특성을 조사하고, 공모전 수상작을 대상으로 작품의 특성과 디자인 주제에 대해서 분석하여 다양한 디자인방법론을 조사해 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사례조사로 진행되었다. 문헌조사를 통하여 공간디자인 관련 공모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한 후, 온라인상에서‘공간디자인 공모전’을 검색어로 하여 국내 공간디자인 관련 공모전 중에서 인지도가 높고 홈페이지에서 개최 요강과 수상작을 확인할 수 있는대한민국 실내건축대전, 공간디자인대전, 한국 인테리어디자인대전, 주제공모전 4개를 선정하여 사례조사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공모전마다 주제, 세부 공모 분야, 공모 자격, 출품 인원, 시상 규모, 마감일, 출품 규격 등이 서로 달랐으며, 공모전별로 개최 요강을 잘 확인하고 매년 주제와 일정에 맞게 정확하게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파악되었다. 둘째, 2012년부터 2021 년까지 10년 동안의 대한민국 실내건축대전 수상작 77개를 분석한 결과, 주요 대상 공간은 복합문화공간, 상업공간, 특수공간, 주거공간, 업무공간 순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복합문화공간이 71.4%로 가장 높게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주요 타겟 집단은 대중, 특수 대상, 직장인, 청소년·어린이 순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대중이 80.5%로 가장 높게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디자인 주제는 지속가능성·자연 친화, 전통, 여가 문화, 소통, 힐링, 사회적 배려, 감성·디지털, 기타(팬더믹 이후)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디자인 주제로 지속가능성과 자연 친화가 각각 23.4%로 가장 높게 차지하고 있었으며, 지구온난화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앞으로도 중요하게 사용될 디자인 주제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공모전 디자인 주제는 그 시대상과 사회 분위기를 잘 반영하고있는 특징이 발견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중요 공간디자인 분야 공모전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공모전을 준비하는 학생, 일반인, 전문 디자이너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공간디자인 관련 교육자와 학생들에게 현재와 미래의 공간디자인 트렌드와 디자인 주제에 대해 디자인방법론적 측면에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For both space designers in practice and students studying space design at school, the design method of creatively selecting the spatial design subject required in the spatial design process is a very difficult par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various design methodologies by studying various design cases and especially the design themes of contest winn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various design methodologies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patial design competitions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design themes of the competition-winning work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After conducting a theoretical review of the spatial design-related contest through a literature review,‘spatial design contest’was used as a searching term online. Among domestic spatial design related contests, 4 contests(Korea Interior Architecture Competition, Spatial Design Competition, Korea Interior Design Competition, Theme Competition) with high recognition were selected,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heme, detailed contest field, contest qualification, number of entries, award size, deadline, and entry standards were different for each contest, and it was necessary to check the guidelines and prepare them.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77 winning works of the Korea Interior Architecture Competition for 10 years from 2012 to 2021, the main target spaces were in the order of complex cultural space, commercial space, special space, residential space, and work space, and complex cultural spaces accounted for the highest with 71.4%. Third, the main target groups appeared in the order of public, special target, office workers, teenagers and children, and the public accounted for the highest at 80.5%. Fourth, design themes appeared in the order of sustainability/nature-friendliness, tradition, leisure culture, communication, healing, social consideration, emotion/digital, and others(after the pandemic). Sustainability and nature-friendliness accounted for the highest share at 23.4% each as design topics, and were identified as design topics that will be used as important in the future in a situation where global warming is a serious problem.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design theme of the contest had characteristics that well reflected the phases of the times and the social atmosphere. (Conclusion) This study can provide information to students, the general public, and professional designers preparing for the competition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competitions in the field of important spatial design in Korea, and to provide space design-related educators and students with current and future space design, and it has significance in presenting guidelines in terms of design methodology on current and future spatial design trends and design topics to educators and students related to spatial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