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극성 장애 환자의 자서전적 기억 (Autobiographical Memory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2.02
7P 미리보기
양극성 장애 환자의 자서전적 기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생물정신의학회
    · 수록지 정보 : 생물정신의학 / 19권 / 1호 / 63 ~ 69페이지
    · 저자명 : 선자연, 하라연, 이수진, 유빈, 하규섭, 조현상

    초록

    Objectives : Autobiographical memory (ABM) is a special type of episodic memory, containing events that have occurred in a personal life. Overgeneral tendency of ABM refers to the retrieval of memory with only general and categorical descriptions rather than specific events. ABM specificity in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a robust finding with relation to cognitive vulnerability, affect regulation, problem-solving ability. It is also implicated in bipolar disorder with frequent relap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ABM specificity was related to manic or euthymic mood states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Methods : Forty bipolar patients with manic and euthymic episodes and 25 healthy contr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rompted by 5 positively and 5 negatively valenced emotional cue words, each participant was instructed to recall positive or negative memories and describe them in detail. The One-way ANOVA was used to compare ABM scores and post-hoc analyses were done.
    Results : Comapred to the healthy persons, the bipolar patients reported significantly more general than specific negative memories in both manic and euthymic episodes (p = 0.003).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nic and euthymic patients (p = 0.074).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overgeneral tendency of negative ABM may be a trait abnormality in bipolar disorder. Moreover, this phenomenon might be related to underlying cognitive deficits or affect regulation irrespective of the mood state.

    영어초록

    Objectives : Autobiographical memory (ABM) is a special type of episodic memory, containing events that have occurred in a personal life. Overgeneral tendency of ABM refers to the retrieval of memory with only general and categorical descriptions rather than specific events. ABM specificity in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a robust finding with relation to cognitive vulnerability, affect regulation, problem-solving ability. It is also implicated in bipolar disorder with frequent relap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ABM specificity was related to manic or euthymic mood states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Methods : Forty bipolar patients with manic and euthymic episodes and 25 healthy contr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rompted by 5 positively and 5 negatively valenced emotional cue words, each participant was instructed to recall positive or negative memories and describe them in detail. The One-way ANOVA was used to compare ABM scores and post-hoc analyses were done.
    Results : Comapred to the healthy persons, the bipolar patients reported significantly more general than specific negative memories in both manic and euthymic episodes (p = 0.003).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nic and euthymic patients (p = 0.074).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overgeneral tendency of negative ABM may be a trait abnormality in bipolar disorder. Moreover, this phenomenon might be related to underlying cognitive deficits or affect regulation irrespective of the mood st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