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낭만적 사랑이야기’로서의 <숙영낭자전> 연구 (Study on SukyeongnangjaJeon as a 'Romantic Love Stor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4.08
31P 미리보기
‘낭만적 사랑이야기’로서의 &lt;숙영낭자전&gt;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과 교육 / 28호 / 159 ~ 189페이지
    · 저자명 : 이유경

    초록

    이 논문은 <숙영낭자전>이 '낭만적 사랑이야기'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 양상과 의미에 대해 살핀 것이다. 낭만적 사랑이란 두 남녀가 자율적인 사랑을 바탕으로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숙영낭자전>은 숙영낭자와 선군의 사랑을 그린 것으로 당시 주류를 이루었던 양반과 기생의 사랑이야기와는 달리 결혼제도 내부의 남녀가 자유롭게 연애를 하고 사랑을 통해 결혼하는 모습을 그린 ‘낭만적 사랑이야기’이며, 이를 통해 당시의 결혼제도와 가부장제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숙영낭자전>이 지니는 ‘낭만적 사랑이야기’의 양상을 애정소설의 구조인 만남, 결연, 위기, 극복의 순서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본 뒤 그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숙영낭자와 선군은 못다 한 사랑의 성취를 위해 적강한 인물들로, 숙영낭자는 옥연동에 거처하고 선군은 인간으로 출생하여 연분 맺기를 기다린다. 그러나 선군의 부모가 이들의 연분을 무시하고 아들의 배필을 구하게 되자 위기의식을 느낀 숙영낭자가 선군의 꿈에 나타나면서 꿈속 만남을 통한 자유연애가 시작된다.
    꿈속 만남을 지속하는 과정에서 선군이 상사병이 걸려 죽을 지경에 이르자 숙영낭자가 옥연동으로 찾아오라는 말을 하고, 선군은 부모의 만류도 뿌리친 채 옥연동에서 숙영낭자와 연분을 맺고 함께 집으로 돌아와 동별당에 거쳐하며 자식을 낳고 행복한 결혼 생활을 하게 된다. 이처럼 숙영낭자와 선군은 부모의 관여 없이 둘만의 사랑을 통해 결혼을 하고 부부 중심의 행복한 결혼 생활을 이어간다.
    그러나 결혼 이후에도 서로에게만 빠져 지내며 그들의 사회적 책무를 등한시함으로써 주위의 우려를 사게 된다. 이에 어쩔 수 없이 과거 길에 나선 선군은 숙영낭자를 못 잊어 몇 번이나 되돌아오는데, 이를 외간남자로 오해한 시부에 의해 숙영낭자가 정절모해를 겪고 결국 자결하게 된다. 남녀의 자유로운 사랑과 결혼은 개인보다는 집단과 공동체의 윤리와 질서를 중시해온 전통 사회의 입장에서 볼 때 위태로운 일이므로 숙영낭자와 선군의 사랑은 봉건적 질서와 규범에 의해 억압당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숙영낭자와 선군은 이러한 일방적인 희생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숙영낭자는 선군을 통해 억울함을 풀고 옥연동에서 장례를 치른 후 재생하여 주위의 방해 없이 선군과의 온전한 사랑을 다시 이어나가는 것이다. 이처럼 숙영낭자와 선군은 죽음도 극복하며 둘의 사랑을 끝까지 이어나감으로써 당대의 사회질서와 결혼제도로 인한 억압을 극복하고 사랑을 추구하려는 의지를 강하게 드러낸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숙영낭자와 선군은 사랑을 통해 결혼하고 평등한 부부관계를 이룸으로써 남녀의 사랑보다는 가문과 공동체의 유지와 번영을 중시하는 결혼제도와 가부장주의에 대한 거부를 보여준다. 선군과 숙영낭자가 보여준 ‘사랑을 바탕으로 한 성과 결혼’은 전통 사회의 일반적인 사랑과 결혼의 양상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근대적 사랑의 방식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숙영낭자전>의 ‘낭만적 사랑이야기’는 ‘여성화된 사랑이야기’를 통해 당대 여성 독자의 욕망을 반영했다는 의미가 있다. 여성의 자아실현이 결혼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던 전통사회에서 ‘영원히 나만 사랑해 주는’ 남성을 만나 사랑의 유일성과 영원성을 실현하고 평등한 부부관계를 이루는 것은 남성에 종속되어 낯설고 배타적인 시집 생활을 견뎌야 했던 여성들에게 있어서 가장 큰 바람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숙영낭자전>이 그리고 있는 ‘낭만적 사랑이야기’는 장애를 넘어선 남녀의 사랑이야기가 보여주는 보편적인 대중성을 넘어서 당시의 결혼제도와 가부장주의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움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ed at investigating the aspect and significance of SukyeongnangjaJe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point as a 'romantic love story'. SukyeongnangjaJeon is a story about the love between Sukyeongnangja and Seongun, a 'romantic love story' which described the figure of marriage through love after free romantic relationship between male and female within the marriage institution of that period, different from other love stories between yangban and gisaeng, which was the mainstream at that time, also, is a work to bring up a problem about the marriage institution and patriarchy of that time through this. Therefore, this paper concretely investigated the aspect of a 'romantic love story' of SukyeongnangjaJeon through the process of meeting, match, crisis, overcome in sequence, which is the structure of a love story, then discussed the significance therein.
    Sukyeongnangja and Seongun were the characters, descended to accomplish unfulfilled love, Sukyeongnangja lived in Ogyeondong and Seongun was born as a human to wait to tie the knot. However, when Seongun's parents disregarded their knot and found out their son's spouse, Sukyeongnangja appeared in Seongun's dream, feeling crisis, and their free love began through the meeting in dreams.
    When Seongun became lovesick to death while continuing meeting in dreams, Sukyeongnangja told him to come over to Ogyeondong, so Seongun tied the knot with her in Ogyeondong, shaking off his parents' dissuasion, returned home with Sukyeongnangja and lead a happy marriage, having their children, living in Dongbyeoldang. This way, Sukyeongnangja and Seongun married only through their love without parents' concern, and continued a couple-focused happy married life.
    However, even after marriage, they only fell for each other and neglected social responsibility, which caused the surroundings' concerns. Here, Seongun departed for Gwageo exam, however, he returned home several times, being unable to forget Sukyeongnangja, which caused a fidelity plot by the father-in-law, who misunderstood this as meeting another man, and finally she stabbed herself with a sword. From the position of traditional society, which emphasized the group and the ethics and order of community more than individual, free love and marriage between male and female was riskful, love between Sukyeongnangja and Seongun could not help being oppressed by feudal order and norms.
    However, Sukyeongnangja and Seongun never accepted this one-way sacrifice as it is. Sukyeongnangja resolved her resentment through Seongun and born again after funeral in Ogyeondong, then continued intact love with Seongun without circumferential interruption. This way, Sukyeongnangja and Seongun overcame the suppression of social order and the marriage institution of that period strongly revealed their will to pursue love by continuing their love till the end even overcoming death.
    As discussed so far Sukyeongnangja and Seongun showed their refusal to the marriage institution and paternalism, which emphasized maintenance and prosperity of family and community rather than love between man and woman, through realizing a marriage through love and equal marital relations. Lastly, 'sex and marriage based on love', which Seongun and Sukyeongnangja showed, has a significance that it suggested a modern love system of a new type, different from the general aspect of love and marriage of the traditional society.
    SukyeongnangjaJeon's 'romantic love story', like this, has a significance that it reflected the women readers' desire of that time through 'feminised love story'. In the traditional society, where self-realization of women could be realized only through marriage, it was the biggest desire for the women, who must have endured their husbands' strange and exclusive family life by being subordinate to male, to meet a man 'who loves only me forever' to realize the exclusiveness and eternity of love to maintain equal marital relations.
    This way, 'romantic love story' which SukyeongnangjaJeon described, can be said to be a work which shows newness, in respect that it presents problems of the marriage institution and paternalism of that time, going beyond the general popularity which the love stories between man and woman beyond obstacle show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과 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