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월극 춘향전의 시대적 음악 양상 (Periodic music modality of Yue Opera ChunhyangjeonPeriodic music modality of Yue Opera Chunhyangje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1.06
28P 미리보기
월극 춘향전의 시대적 음악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38호 / 71 ~ 98페이지
    · 저자명 : 박은옥

    초록

    춘향전은 한민족의 고전 예술이지만 한국전쟁이라는 특별한 상황에서 중국의 월극 공연자가 춘향전을 접하게 되면서 월극으로 개편한 동기, 조건을 제공해 주었다. 이로 인해 월극 춘향전은 빠른 속도로 개편의 작업을 거쳐 1954년 화동월극단실험극단제2단(華東越劇團實驗劇團第二團)에 의해 상해의 장강극장(長江劇場)에서 초연할 수 있었다. 또한 월극 공연자들은 춘향전이 유입된 원인에 대하여 기존의 한국전쟁설 이외에도 두 가지의 측면이 더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첫째, 월극은 중국의 희곡으로 남녀간의 사랑 이야기를 잘 다룬 양식이며, 춘향과 이몽룡의 사랑 이야기 역시 월극의 기존 주제와 유사한 관계로 자연스럽게 받아드릴 수 있었다는 점; 둘째, 40, 50년대의 월극 공연계에는 외국의 유명한 소재를 월극의 형식으로 개작하는 분위기가 강하게 일어났고, 이러한 작품이 여럿 있다는 점이다.
    춘향전은 월극의 형식으로 중국에 정착된 후, 세월의 흐름에 따라 시대적인 특징도 나타나고 있다. 각 시대의 특징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월극 춘향전은 북한과 한국의 영향을 모두 받았으며, 50년대, 80년대에는 북한의 영향을 많이 받은 반면 2000년 이후부터 한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50년대의 월극 춘향전은 북한의 창극 춘향전을 개작하였으므로 북한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당시 월극 춘향전의 공연내용, 복식, 무대배경 등 부분에는 원작인 창극 춘향전의 것을 따르려고 했던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80년대의 녹화본을 통해서도 그대로 유지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00년 이후부터 한국 예술계와의 많은 교류, 공연을 하면서 한국 예술의 영향도 점차 받게 된다. 이는 2015년의 월극 춘향전에 그대로 나타나며, 장고춤, 부채춤, 칼춤, 학춤, 장수(長袖)춤 등 한국식 무용의 추가, 판소리 형식의 모방, 한국어의 사용, 태평소, 장고 등 악기의 연주가 추가된 것을 통해서 확인된다.
    둘째, 월극 춘향전의 음악은 시대에 따라 약간의 변화가 생겼지만 대체적으로 원래의 선율을 유지하고 있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양가의 선율을 통해서도 확인되며, 시대의 상황과 관객의 감상 기준을 고려하여 가사의 수정이 불가피한데, 가사의 수정에 따라 선율의 변화도 약간씩 발생하였다.
    셋째, 월극 춘향전의 공연형식은 시대에 따라 변화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50년대의 월극 춘향전은 노래를 위주로 한 공연이었고, 이는 80년대까지 유지되어왔다. 하지만 2000년 이후의 춘향전에는 무용의 요소가 점차 추가되어 2015년의 춘향전이 그 절정을 이르면서 가무음악극의 공연형식으로 되었다. 다시 말해 노래 위주로의 공연에서 노래, 춤을 병행하는 공연으로 전환된 것이며, 듣기 위주의 예술 양식에서 보고 듣는 예술 양식으로 전환하게 된 것이다.

    영어초록

    Chunhyangjeon is a classical art of the Korean people, but as China’s Yue Opera performers’ exposure to Chunhyangjeon under the unusual circumstances, i.e. the Korean War, provided the motive and condition for making it Yue Opera. As a result, Yue Opera Chunhyangjeon quickly went through the reorganization process, and in 1954 it was premiered in the Changjiang Theater (長江劇場) by the second experimental troupe of East China Yue Opera Troupe (華東越劇團實驗劇團第二團). Also, Yue Opera performers can say that there are two reasons for the inflow of Chunhyangjeon other than the Korean War. First, the Yue Opera is a Chinese play that dealt with the love story about a man and woman well, and the love story of Chunhyang and Lee Mong-yong can also be accepted naturally as it is similar to the existing subjects of Yue Opera; second, among the Yue Opera performers in the 1940’s and the 1950’s, there was a strong tendency to adapt famous foreign plays to the Yue Opera format, and there are several such plays.
    After it settled in China as Yue Opera, Chunhyangjeon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r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ue opera Chunhyangjeon have influenced from both South and North Korea. As 1950’s Yue opera Chunhyangjeon was an adaptation of North Korea’s Changgeuk Chunhyangjeon, it can be said to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by North Korea. Yue opera Chunhyangjeon at that time tried to follow content of performance, customs, stage background, and others of Changgeuk Chunhyangjeon, which is the original work of Yue opera Chunhyangjeon. We can find that this phenomenon also was maintained in the recorded version of the 1980’s. Since 2000, many interactions and performances with the Korean artistic world have led to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Korean art, and s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art gradually increased. Such changes were shown in Yue opera Chunhyangjeon of 2015, adding Korean traditional dances: Janggo dance, Korean fan dance, sword dance, dance of crane, and long-sleeve dance, and the imitation of Pansori, and the usage of Korean, and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 playing: Taepyeongso and Janggo.
    Second, although music of Yue opera Chunhyangjeon had few changes in different era, it mainly retains its original form. The melody of Duan yang ge represents such tendency. However, modification of lyrics was inevitable according to the appreciation of the contemporary audience so that the melody had changed gradually to harmonize with the lyrics.
    Third, the music of Yue Opera Chunhyangjeon slightly varied in different eras, but on the whole, it maintained the original melody. It can also be verified in the melody of Duan yang ge. Yue Opera Chunhyangjeon of the 1950’s was performed with focus on singing, and this tendency was maintained until the 1980’s. But dance elements were gradually added to Chunhyangjeon after 2000, and as Chunhyangjeon of 2015 reached it peak, it was performed as a dance musical. In other words, it was converted from singing-oriented performance to performance featuring both singing and dancing, and it switched from a audio-oriented art form to an audiovisual art fo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후